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부 풍환경 변화에 따른 단동 비닐온실의 열손실 변화 분석

        김영화 ( Younghwa Kim ),강연구 ( Yeonku Kang ),장재경 ( Jaekyung Jang ),강석원 ( Seokwon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시설원예 경영비에 있어서 토마토, 고추 등 주요작목의 난방비 비중은 30~50%에 분포하고 있으며 농가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가온온실의 난방비는 난방부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난방부하는 온실 피복재의 관류전열손실, 토양전열손실, 틈새환기로 인한 열손실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온실 피복재의 관류전열손실은 전체 열손실의 60~80%를 차지하는 주요한 인자이다. 온실피복재의 관류전열손실은 외부풍속과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크게 영향받는데 현재 난방부하 산정방법에는 강풍지역의 경우 전체 난방부하의 10% 가산하게 되어있으나 풍속에 따른 세부적인 기준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부 풍속에 따른 온실의 열손실을 산정하기 위하여 피복재 표면의 관류전열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 전동 배부식 중경제초기 제초날 형상 및 폭에 따른 제초성능 분석

        이상희 ( Sanghee Lee ),최승렬 ( Seungryul Choi ),전현종 ( Hyunjong Jun ),강연구 ( Yeonku Kang ),신소영 ( Soyoung Shi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최근 국내에서는 유기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기농산물 생산에 있어 화학적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는 물리적 제초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제초작업의 투입 노동량은 평균 12.76시간으로 상당히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는 작업이며, 제초 기계화율은 대부분 60% 미만으로 기계화가 미흡하다. 또한, 농촌 인구 감소와 여성화·고령화로 여성·고령 농업인도 사용하기 편리한 중경제초기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여성화 되고 있는 국내 농촌에서 고령·여성 농업인도 사용하기 편리한 소형 전동 배부식 중경제초기 개발을 위하여 제초날 형상 및 폭에 따른 제초성능을 분석하였다. 제초 성능으로는 제초율을 조사하였으며, 시험구간 내 제초 전 총 잡초의 주수와 제초작업 후 남은 잡초의 수를 세어 제초율을 분석하였다. 시험은 로타리 작업 후 1달이 경과한 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제초깊이는 20mm 내외로 유지하였으며, 조사된 데이터는 SAS(v9.4., SAS Institute Inc., USA)4를 이용하여 유의수준 5%에서 최소유의차 검정을 실시하였다. 제초율은 원형 제초날을 부착하였을 때 90.4~96.4%, 삼각형 제초날은 84.5~91.6%, 일자형 제초날은 84.3~89.8%로 나타나 원형 제초날을 사용하였을 때 높은 제초성능을 보였다. 하지만, 15, 20, 25mm 3수준의 제초날 폭에 따른 제초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폭 15mm의 원형 제초날을 사용하였을 때 반력을 줄일 수 있고 높은 제초성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국내외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및 발전 방향 고찰

        신소영 ( Soyoung Shin ),이상희 ( Sanghee Lee ),장성혁 ( Sunghyuk Jang ),최승렬 ( Seungryul Choi ),김영근 ( Youngkeun Kim ),강연구 ( Yeonku Kang ),최용 ( Yong 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노지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농업 전반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농업경쟁력 향상을 통한 정밀농업의 주도권을 확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정밀농업은 지리정보와 환경정보, 빅데이터, 드론, 위성영상 등 4차 산업의 핵심기술을 통하여 작물 생산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처방을 통한 실질적인 경제적 이익을 실현할 수 있다. 다양한 정밀농업 기술 분야에서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포장의 실제 수확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구간별 이익을 산출하여 농업인의 실질적인 이익을 수치화 할 수 있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용화되고 보급화되어 대형 콤바인에 설치되어 있으며 글로벌 농기계업체에서는 해당 기술을 개발하고 제품을 양산하고 있다. 수확량 모니터링은 작물의 수확량측정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간별 수확량을 데이터화한다. 수확량 측정방법은 곡물유량 측정 방식과 곡물탱크 총중량 계측을 통한 총량센서로 크게 구분하며, 곡물유량측정방식은 충격판형식, 광학방식, 볼륨측정, 마이크로웨이브타입, 레이저타입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수확량 정보 뿐만 아니라 식미정보를 함께 산출하여 수확량 지도에 함께 표시하여 수확물의 품질을 나타내는 척도를 표시하고 있다. GPS 기술과 결합된 수확량 모니터링 기술은 농업인에게 현장 내 수확량 변동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제공하기 위해 현장의 수확량 지도를 작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술 현황과 시스템 구성요소를 분석하며 적용 가능 시장 및 국내상황에 적합한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 토양소독기 약제 살포량 자동제어 시스템 설계 및 제작

        김태형 ( Taehyeong Kim ),이상희 ( Sanghee Lee ),신소영 ( Soyoung Shin ),장성혁 ( Sunghyuk Jang ),최용 ( Yong Choi ),전현종 ( Hyunjong Jun ),강연구 ( Yeonku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국내 밭작물 재배 면적은 2010년 731.1ha에서 2020년 740.9ha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논농사에서 밭농사로 전향하는 농가의 증가로 전체 농경지 면적 대비 밭작물 재배 면적은 2010년 43%에서 2020년 47%로 크게 상승하였다. 하지만 밭작물 재배의 경우 연작장해로 인해 토양이 악화되고 병원균의 증가에 따른 생산량 저해요인이 있다. 특히 인삼 뿌리썩음병균(Cylindrocarpon destructans)과 뿌리혹선충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은 국내 인삼재배의 연장장해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생산량 증가를 위해서 토양 방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닐피복과 액제 훈증성 토양 소독제를 동시에 살포하는 트랙터부착형 토양 소독기의 약제 살포량 자동제어 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자동제어 시스템은 작업속도의 변화에도 약제 살포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설계 및 제작되었다. 작업 속도는 시작기의 측면에 부착된 구동륜의 회전속도를 통해 계측하고, 약제 살포량은 다이어프램 펌프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제어가 가능하다. 구동륜의 회전속도와 펌프 구동축의 회전속도는 w<sub>2</sub> = πcADw<sub>1</sub>/na의 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소독제 살포량 자동제어 장치는 작업 시작 시 근접 센서의 신호에 따라서 컨트롤러의 엔코더 회전속도를 받아 펌프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비례제어하는 방식으로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작업 속도 감지 시스템은 구동륜과 엔코더로 구성하였으며, 구동륜은 시작기가 출발하게 되면 지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구동륜의 원주길이와 회전속도의 관계에 따라 시작기의 작업속도를 계산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펌프는 펌프막의 상하 운동에 의해 액체를 퍼올리고 배출하는 형식의 다이어프램 펌프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설계조건으로 약제 살포량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작하였으며, 추후 여러 요인실험을 실시하여 성능검증 및 최적 작업조건을 구명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