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권도 겨루기선수와 시범단원 간 주요발차기 궤적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김기태(KiTaeKim),강성철(SungChulKang),권문석(MoonSeokKwon),이태현(TaeHyunLee),김태완(TaeWhanKim)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발차기 궤적의 형태와 그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들을 분석함으로써 개정된 경기규칙에 대비해 효과적인 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규모 대회 입상경력의 숙련된 겨루기선수와 대학 시범단원 각각 6명씩 선발하여 3차원 동작분석 장비를 이용해 4가지 기본발차기 동작에 대한 소요시간, 타격 합성속도, 타격 합성속도의 성분별 비율, 발끝의 궤적, 회전반경등의 운동학적 변인들을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소요시간에서는 모든 발차기 유형에서 A(겨루기선수)집단이 유의한 차이로 짧게 나타났다. 둘째, 합성속도에서는 돌려차기, 뒤차기에서 A집단이 유의한 차이로 빠르게 나타났다. 셋째. 합성속도 성분별 비율에서는 B(시범단원)집단의 경우 돌려차기, 뒤차기, 뒤후려차기의 속도벡터가 목표물과 이루는 각도가 수직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차기 궤적에서는 돌려차기, 내려차기, 뒤후려차기에서 A집단이 보다 간결하고 직선에 가까운 궤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내용을 종합해 볼 때, A집단의 경우 경기 득점에 중점을 둔 형태의 발차기를 구사하였고, B집단의 경우는 정확한 타격에 중점을 둔 형태의 발차기를 구사하였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kicking trace and kinematic variables that have been changed to rapid kicking focus for getting score in the rule in order to provide basic resources to effective training over respond revised rules. For this purpose, 6 skilled competition players who had a winning career at nationwide and 6 demonstration member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examined under 3D motion analysis device for a comparative analysis of kinematic variables including lead time, kicking combination velocity, component rate of kicking combination velocity, kicking trace and rotation radiu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o lead time, competition players were significantly shorter than demonstration members in all types of kicks. Second, as to kicking combination velocity, competition players were significantly faster in roundhouse kick and back kick. Third, as to component rate of kicking combination velocity, the demonstration members was closer to vertical over target in the velocity vector of roundhouse kick, back kick and spin whip kick. Fourth, as to kicking trace, the competition players had simpler and more straight trace in roundhouse kick, downward kick, spin whip kick. All in all, the competition players had focused on rapid and simple movement to reduce lead time rather than on delivery impulse. On the other hand, the demonstration members had large rotation radius of foot closer vertical to target focusing on accurate kicking.

      • KCI등재

        태권도 손날몸통막기 유형에 따른 메커니즘 비교분석

        신현무(HyunMooShin),고석곤(SukGonGo),강성철(SungChulKang),고광후(KwangHooKo),김태완(TaeWhanKim)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대표 품새 시범단 선수들을 대상으로 3차원 영상분석(Vicon Camera 7대)과 지면반력기(AMTI 2대)를 이용하여 두 가지 유형의 태권도 손날몸통막기 동작의 특성들을 알아보고 두 유형의 차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분석 변인으로는 시간, 손날의 최대합성속도, 중심변인, 지면반력이 있다. 각 변인별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한 후, 두 가지 유형별로 종속 T test를 실시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지면반력 변인에서 좌·우 지면반력은 유형1이 유형2보다 좌우 지지발 모두에서 더 큰 지면반력값을 나타냈으며, 전·후 지면반력은 유형2가 유형1보다 좌우 지지발 모두에서 더 높은 값을 보였다. 수직 지면반력은 좌측 지지발에서는 유형1이, 우측 지지발에서는 유형2가 더 큰 지면반력값을 나타내었다. 전·후 지면반력(좌: p<.037 , 우: p<.004)과 상·하 지면반력(좌: p<.016, 우: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inetical and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double knife-hand body blocking movement and to verify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of the two types. For the experiment, 3D image analysis(Vicon camera 7) and ground reaction force plates(AMTI 2) are used and the subjects are selected from the Korean National Poomse Demonstration Team. The analysis variables are time, velocity, mid-point balance, and ground reaction force. Each variabl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s calculated and then a dependent T test is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Ground Reaction Force(GRF) of type1 is measured higher than that of type2 in the medio-lateral plane for both supporting feet, whereas the GRF of type2 is observed higher than that of type1 in the anteroposterior plane for both supporting feet. The vertical GRF shows that type1 is higher in left supporting foot, but type 2 is higher in right supporting foo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oth supporting feet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left: p<.037, right: p<.004) and superior-inferior direction (left: p<.016, right: p<.0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