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구 고고학의 패러다임(paradigm) 변화와 한국 고고학의 방향

        강봉원(Kang, Bong-Won) 한국상고사학회 2001 한국상고사학보 Vol.34 No.-

        서구 고고학의 패러다임은 1960년대까지 전통고고학,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까지 신 고고학 혹은 과정주의 고고학, 그리고 현금까지 후기과정주의 고고학으로 변모되어 오고 있다. 해방 후부터 출범한 우리나라 고고학은 그 역사가 아직도 일천하여 학문적 수준이 서구는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 일본의 고고학에 비해서도 낮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1970년대 들어와 한국의 고고학이 상당히 활성화되어 고고학자들의 수나 고고학 관련 연구업적이 괄목할 만큼 증가하였다.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고고학도 유적조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유물․유적의 수습과 단순 반복적 자료 집적의 차원을 넘어서 보다 더 의미 있는 고고학적 혹은 역사학적 해석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시점에 왔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에서 서구에서 그 동안 변모하여 오고 있었던 패러다임을 간단하게 일별하여 보면서 한국 고고학의 상황과 대비시켜 보았다. 나아가서 한국 고고학의 근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한국 고고학이 궁극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서구의 이론과 방법론을 개인적인 습득과 학계에 단순히 소개하는 차원에서만 그칠 것이 아니라 이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의 고고학 자료에 실제로 적용하여야 우리나라 고고학의 학문적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rchaeological methods theories that have been formulated and widely used by Western archaeologists. Description of artifacts and features of archaeology and establishment of precise chronology are fundamental to archaeology. But it should not be an end in itself. By the same token, archaeological methods and theories should not be done for its own sake. Korean archaeology has made a significant, the economic growth in the 1970s witnessed many large scale construction works and concomitantly a great number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sites throughout the country. Many unprecedented archaeological features have been exposed and a tremendous amount of artifacts have been recovered in many different sites. This has played a critical rol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archaeology over the last three decades. Unfortunately, however, compared to the total amount of the archaeological work that has been done, the overall quality of Korean archaeological studies is still poor. This i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most Korean archaeologists have not had a strong desire to adopt appropriate archaeological methods and theories to interpret the materials collected. While the paradigms of the Western archaeology have shifted from traditional to interpret the materials collected. While the paradigms of the Western archaeology have shifted from traditional archaeology, to processual archaeology, and to post-processual, the academic atmosphere of Korean archaeology has not changed much until the present. In this paper, I contend that now is the time for us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paradigm movement, and to try to apply methods and theories to interpret culture changes that took place in Korea.

      • KCI등재

        신라 적석목곽분 출현과 '기마민족 이동' 관련성의 비판적 재검토

        강봉원(Bong Won Kang) 한국상고사학회 2004 한국상고사학보 Vol.46 No.-

        이 논문은 신라 경주의 적석목곽분의 출현이 북방 기마민족(騎馬民族) 이동의 산물이라는 학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 학설이 고고학적으로 타당하지 않다는 것을 서술한 것이다. 이 글에서 북방 아시아 지역과 경주 사이에 놓여있는 시간 및 공간적 공백이 너무나 크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되었고 이것이 고고학적으로 극복해야 할 가장 심각한 과제라는 것을 지적하였다. 더욱이 적석목곽분의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두 지역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거론하였다. 또 그간에 경주에서 많은 적석목곽분이 발굴조사 되었으나 기마민족 이동설 주창자들이 아직 원형(原型) 혹은 조형(祖型)이라고 간주 할 수 있을 유구의 검출이 없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기왕에 발굴조사된 유물과 유적을 토대로 기마민족의 이동설을 주장하는 것과 상반되어 논리적·고고학적으로 타당하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다른 한편, 두 지역의 적석목곽분에서 검출된 유물의 형식이나 양식, 재질, 그리고 동물 문양의 모티프 등은 기마민족 이동설과 연계해서 친연성을 부각시켰던 내용과는 판이하게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만약 기마민족들이 북방·중앙아시아에서 경주까지의 원거리를 무시할 정도로 급속하게 한반도로 이동하여 온 것이 역사적인 사실이라면 금과 같은 귀중품들이나 특히 그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였던 마구들은 동일한 재질의 동일한 물건, 아니면 지극히 유사한 양식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경주의 적석목곽분에서도 검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금까지 경주에서 발굴조사된 바로는 그런 물건의 출토 예가 없거나 있어도 피상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신라 적석목곽분의 출현과 기마민족 이동 연계’의 학설은 고고학적으로 재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The mortuary style of the stone compiled wooden chamber tomb in the Silla Kingdom Kyongju has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digenous peoples. Accordingly, some Korean archaeologists have argued that the mortuary practice was newand abruptly appeared in the Silla Kingdom. They have asserted that the emergence of the new burial type was the direct result of migrations of horse riders from either Northern or Central Asia. This is often referred to as the "Central Asian horse rider hypothesis." Nevertheless, re-examination of the archaeological data suggests that the appearance of the stone compiled wooden chamber tombs in Kyongju, the capital of the Silla Kingdom at the beginning of the fourth century A.D., was not associated with the purported migration of the Northern or Central Asian horse riders. A number of critical factors exist that weaken the Northern or Central Asian horse rider hypothesis. For instance, significant time and geographic gaps exist between Kyongju and the Northern or Central Asian regions in terms of the adoption of the stone compiled wooden chamber tomb. In addition, there is substantial variation in the burial structures, in the associated archaeological assemblages, and the motifs of the artifacts recovered from both areas. In particular, the horse riding gear and ornaments discovered in the two regions display very little typological similarities. Thus, analysis of the Silla Kingdom stone compiled wooden chamber tombs fails to support the Central Asian horse rider hypothesis in Korea.

      • KCI등재

        한국 고대 국가형성에 있어서 관개수리의 역할

        강봉원(Kang, Bong Won) 한국상고사학회 2003 한국상고사학보 Vol.39 No.-

        1950년대 카를 위트포겔(Karl Wittfogel)에 의하여 제시된 관개수리와 농업에 관한 가설은 1970년대 세계의 인류학 및 고고학계에서 국가형성에 대한 연구와 더붕러 학자들의 상당한 관심을 끌었다. 많은 학자들이 국가 단계 사회의 출현을 자발적인 협동과 관련하여 위트포겔의 가설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일부의 학자들은 대규모의 관개수리시설들의 축조는 국가형성의 ‘요인’이라기 보다는 국가형성의 ‘결과’로 간주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하여 국가형성에 대한 고고학 및 인류학적 연구에서 관개수리의 역할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명확하게 해명되지 않고 있다. 물은 식물재배에 필수불가결한 것인데 특히 논벼는 추수될 때까지 상당한 양의 물을 필요로 한다. 그리므로 수리시설은 벼농사[水稻] 및 다른 작물 재배를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음에 틀림없다. 따라서 대규모 수리시설의 축조가 궁극적으로 지배 관료 체제의 등장 즉 국가형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수리이론의 주안점이다. 이 논문에서는 문헌의 기록, 금석문, 그리고 고고학 자료를 토대로 관개수리시설 축조 작업이 고대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사회발전 특히 복합사회 형성에 있어서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 아니고 결과였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Irrigation agriculture theory, formulated by Karl Wittfogel (1995, 1957),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anthropologists and archaeologists in conjunction with the question of state formation. Although many people have used Wittfogel's hypothesis to explain the emergence of state-level society in terms of cooperative voluntaristic perspectives, many scholars have argued that a large scale irrigation works should be viewed as a result of state formation rather than as a cause. Thus, some questions concerning the role of the irrigation works in association with the state formation still remained unsolved. While water is indispensable for any plant cultivation, wet-rice needs a tremendous amount up until it is harvested. Therefore, irrigation needs a tremendous amount up until it is harvested. Therefore, irrigation systems may have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success of wet-rice agriculture and other plant cultivation as well and may have closely related with the appearance with the ruling bureaucracy. This paper examines historical documents, epigraphic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to determine whether irrigation works were related to the sociopolitical development in ancient southern Korea.

      • KCI등재

        한국 고대 국가 형성에 있어서 관개수리 역할의 재고 : 영천 청제를 중심으로

        강봉원(Kang Bong-Won) 호서사학회 2009 역사와 담론 Vol.0 No.52

        The major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reservoirs was a cause or result of centralized political organization. Karl Wittfogel argued that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irrigation systems played a critical role for the emergence of state-level societies. This paper, however, by combining the historical record of the Samguk sagi, a couple of stele inscriptions, and some basic archaeological information, argues that large-scale reservoirs were a result of centralized political organization of Silla Kingdom in ancient Korea. According to the epigraphic records inscribed on the monumental reservoir stele discovered beside Cheong reservoir located Yeongcheon, southeastern part of Korea, it turned out that many central- and a few local-governmental officials were delegated to the reservoir construction site to have supervised the entire project. This directly supports the interpretation that the construction of Cheong reservoir was an outcome of centralized political organization of Silla Kingdom some time betwee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A.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Samguk sagi, 18 fortresses and two large architectures were constructed in the territory of Silla Kingdom in the fifth century alone. It is of interest to point out that some of the fortresses were constructed in the remote area of Silla Kingdom. More importantly a great number of people did not voluntarily take part in the reservoir construction. Rather they were apparently drafted by Silla royal government for the civil work. This indicates that Silla Kingdom already witnessed a state-level society to have mobilized people carry out large-scale civil works such as reservoir and fortress. In sum,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irrigation systems was not a cause but result of the state formation at least in ancient Korea.

      • KCI등재
      • KCI등재

        반구대 암각화 편년에 대한 비판적 검토

        강봉원(Bong Won Kang) 한국상고사학회 2022 한국상고사학보 Vol.117 No.117

        본고는 반구대 암각화 제작 시기가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BC 300-100 AD)라는 기존편년을 비판하고 ‘신석기시대’(대략 BC 4000-BC 3000)에 조성되었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한것이다. 1980년에 도출된 반구대 암각화의 편년 안은 학계에서 대세를 이루고 있으며 적지 않은연구자들에 의해 여전히 지지를 받고 있다. 특히, 이 편년은 현금 고등학교 각종 국사 교과서에실려 있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간 이 암각화가 ‘신석기시대’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시사하는 여러 가지 물증이 출토되었고 이를 토대로 다수의 연구자들이 기존 편년을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해 오고 있다. 본고에서 반구대 암각화의 편년사를 일별하고 문제점을 검토하여 새로운 편년을 수립함에 있어 필요한 몇 가지 변수와 고고학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물상 판독과 그에 따른 고고학적 해석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새 편년의 타당성을 입증하기위해 필요한 고고학적 맥락과 관련하여 반구대 암각화가 위치하고 있는 울산과 우리나라 동/남 해안지역에서 출토된 각 종 자연 및 인공 유물(예: 고래 뼈, 고래사냥 도구, 배와 노, 흑요석) 등을고고학적 맥락에서 검토하였다. 나아가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생업경제와 관련하여 각 시대의 패총 빈도수를 비교하여 보고 유물로써 수렵⋅어로 및 농경 관련 석재 도구 등 실증적인 자료를 토대로 반구대 암각화는 최초로 신석기시대에 제작되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the chronology of the Bangudae petroglyphs established in 1980 and generate a new chronology. This paper argued that the chronology of the rock art should be dated to the ‘Neolithic.’ According to the old chronology of the Bangudae rock art formulated in 1980, the date ranges between the Korean Bronze and Early Iron Ages (BC 300-100 AD). This chronology is still playing a critical role in Korean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societies and supported by a number of rock art researchers. In particular, since the Korean National History text books are adopting the old chronology, almost all the Korean students have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it. In the mean time, various material evidence discovered at different archaeological sites suggests that the rock art may have been engraved much earlier than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s.’ Based on newly collected materials, many researchers have been arguing that the rock art may have been manufactured during the Korean Neolithic (ca. 4000-3000 BC). This paper pointed out some problems that the old chronology has and focused on a few variables and archaeological context necessary to formulate a new chronology of the Bangudae petroglyphs. This pap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nterpretation and appropriate archaeological explanation of the motifs in which we are interested. To testify the new date of the rock art, ecofact and artifacts such as whale bone, whaling gears, oceangoing vessels and oars, obsidian discovered in Ulsan and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archaeological context. This paper focused on the subsistence patterns and frequency of shell midden of both the Neolithic and Bronze Ages, hunting-fishing and stone tools related to agricultural practices.

      • KCI등재

        한반도 청동기시대 마제석촉의 무기적 기능에 관한 역사,고고학적 고찰

        강봉원 ( Bong Won Kang ) 한국고대학회 2013 先史와 古代 Vol.38 No.-

        본고는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마제석촉이 전쟁 수행 시 무기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문헌과 고고학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 것이다. 마제석촉의 기능에 관한 연구는 선학들에 의해 이미 적지 않게 수행되어 무기로서의 기능이 강조되었다. 아울러 현금 대부분의 발굴조사자들도 마제석촉이 ``무기 및 사냥도구로 사용되었다``는 견해를 일반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근래 일부 고고학 연구자들은 마제석촉이 전쟁 무기라기 보다는 신분을 상징하는 유물이었을 것으로 간주하는 견해를 제시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해 경주지역의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 검출된 마제석촉 123점의 기본 적인 속성을 『삼국지』위서 동이전에 보이는 석촉의 용례 그리고 독(毒)의 사용 가능성 과 연계하여 이들이 전쟁무기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돌화살촉의 용례에 대한 일본의 야요이 시대와 기타 외국의 고고학적 사례를 비교·검토하여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마제석촉도 무기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지질학적인 측면에서 마제석촉이 경도(硬度)가 낮은 쉐일(shale) 혹은 이암(泥岩) 계의 암석으로 제작되었음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석촉의 재질이 그리 단단하지 않기 때문에 전쟁이나 사냥에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본고에서 는 재질이 무르다는 바로 그 점 때문에 마제석촉이 전쟁에서 인명을 살상하는데 더 효과적 이라는 점을 거론하며 무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unction of polished stone-arrowheads manufactured and used during Korean Bronze Age. Almost all the samples utilized in this paper was excavated from semi-subterranean pit-houses in Gyeongju,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Althoug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olished stone-arrowheads may have had symbolic meaning and/or functioned as a status marker, this paper emphasizes that they were a weaponry artifact in the study area in specific and prehistoric Korea in general. So far, many Korean archaeologists have had a tendency to focus their research on the typology of polished stone-arrowheads in conjunction with the chronology, while some other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function of the artifact. Recently a few Korean archaeologists began to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artifact more in hunting games than in warfare, while others have a tendency to see the ritual or symbolic meaning with it. However, by combining Chinese documentary sources such as Samguk ji, Hu Han seo, Buk sa, and Jin seo with material evidence of bow and arrow depicted on rock art in Spain, and with stone-arrowheads embedded in human bones in Japan, this paper attempted to demonstrate a critical weaponry role of the artifact in prehistoric warfares in Korean Bronze Age.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f typology of arrowheads are not denied in this paper in the first place. This paper attempted to point out that Korean archaeologists will academically be productive, if some of us turn our research orientation away from typology and chronology to the function of artifact in direct association with dynamic past human behavio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와 박물관: 기능 및 역할 변화를 중심으로

        강봉원 ( Kang Bong Won ),김경택 ( Kim Gyongtaek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건지인문학 Vol.- No.32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박물관도 변화하고 있다. 중요한 학술 자료와 오브제를 수집·보존·전시하는 박물관은 대중에게 소장품 관람 기회를 제공하며, 학문 연구는 박물관의 고유 업무 중 하나이다. 새로운 패러다임이 대두되면서 박물관은 다양한 교육·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근대 박물관의 정착 이후 오랫동안 고전적 정의에 부합하는 박물관 운영이 이루어졌다. 국내외 박물관 대부분은 전시실을 운영하며 관람객을 기다렸다. 오늘날 고유 기능과 역할 이외에 사회교육과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민속놀이, 음악회, 연극, 어린이 박물관 운영 등이 박물관 업무에 추가되었고, 고유 업무인 현장 조사와 학술 연구는 상대적으로 축소되었다. 한국 사회가 현대사회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겪은 사회문화적 변혁을 상장·제례 문화와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박물관을 대변한다. 박물관은 근현대사회의 산물에도 관심을 보이게 되었고, 운영 방식도 변화되었다. 다문화 가정은 현대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요소이자 과제 일부가 되었고, 마약, 알코올 중독, 인터넷·게임 중독, 가정 폭력과 이혼 등의 사회 문제 해결에서 박물관도 자유로울 수 없게 되었다. 그렇지만, 박물관 고유의 기능과 역할은 변하지 말아야 하며, 특히 전시와 학예직의 연구 기능은 계속 강조되어야 한다. 이벤트성 사업의 긍정적 효과를 부정하진 않지만, 주객전도는 곤란하다. 사회 변화에 따라 박물관도 변신하고 있고, 임무와 역할이 확장되고 있지만, 박물관은 기본적 임무와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박물관은 박물관이고, 그렇지 않으면 아무것도 아니다.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 museum is also changing. A museum collecting, preserving, and displaying important scholarly material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public to appreciate the collections. Research on the collections is one of the important roles of the museum. As a new paradigm of cultural heritage and museum emerges, the museum runs a variety of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s. The museum operation has been in line with the classical definition for a long time. Most domestic and foreign ones had operated exhibition halls and had waited for visitors. Today, in addition to its original functions and roles, diverse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folk games, concerts, plays, and museum for children are also added. Instead, field surveys and scholarly investigations are seriously reduced. The sociocultural change in the Korean society in the last half century was reviewed in the mirror of funeral and ancestral rite rituals. Computers and smartphones well represent a museum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useum became interested in the product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operating system was changed. A multicultural family is an element and task of the modern Korean society, and the museum is not free from solving our social problems. However, the basic role of the museum should remain unchanged, and in particular, the function of the exhibition and research should be emphasized. Despite positive effects of the events recruiting visitors, a case of the tail wagging the dog is more than undesirable. The museum is transforming to the social change. Though the mission and role of the museum has been expanded, the museum must adhere to its basic mission. The museum is a museum, or it is noth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