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회사회사업 프로그램으로서 영성수련회에 대한 효과성 검증

        유장춘(Jang Choon You),강병덕(Byung Deok Ka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3 No.-

        This thesis will be about a study of the experience of the internal change of the people who attended ‘Finding the Beautiful World’, the first stage of Dail spiritual training program. The study is based on the quantitative inquiry of the postscript and survey of the people after the training. As a result of the survey , first of all, the participants showed great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program. Second, through quantitative inquiry, it was possible to see the perspective and idea of oneself and the world has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training. Third, the training could be evaluated as it attributed to the participants to become positive toward God, neighbour, family and themselves. It is clear that this spiritual training had great impact on the participants by seeing them forgiving their most unforgivable people in their lives throughout the training. 본 논문은 다일공동체의 영성수련 프로그램 1단계 ‘아름다운 세상 찾기’에 참석한 사람들이 기록한 후기와 설문을 바탕으로 양적조사를 통하여 그들에게 일어난 내적인 변화의 경험을 제시한 연구이다. 이 조사의 결과를 통하여 먼저, 참여자들은 영성수련 과정에 대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으며, 둘째로, 조사를 통하여 이 영성훈련이 개인에게 자기 자신에 대한 관점과 세상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높아졌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셋째로, 하나님, 이웃, 가족, 그리고 자신과의 관계에 대하여 모두 긍정적으로 변화되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특별히 용서할 수 없었던 사람들을 이 수련의 과정을 통하여 용서할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은 이 영성수련 프로그램이 관계의 회복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한국교회의 선교사자녀 캐어와 동원에 관한 연구 : H대학 선교사자녀 사례를 중심으로

        마민호 ( Ma Min Ho ),강병덕 ( Kang Byung Deok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1 복음과 선교 Vol.54 No.-

        초·중·고의 학령기의 필요에 대한 단순한 캐어의 대상이었던 MK에 대해 한국선교계가 새로운 관점에서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H대학의 MK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MK에 대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캐어 방안과 나아가 이들을 한국선교의 선교 자원으로 동원할 수 있을 것인지의 가능성에 대하여 탐색하고 있다. MK 캐어가 선교 현장에서의 적응과 단기적으로 한국에 귀국했을 때의 필요를 채워주는 사역에서 벗어나 성인이 되어 대학생으로 돌아온 MK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이들에 대한 캐어가 충분한지에 대한 조사를 통해, MK 캐어 기간을 인생의 가장 중요한 결정의 시기인 대학생 기간까지 연장하여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체계적인 캐어를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특히 MK 캐어에 대한 기존의 일방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MK의 실제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자료 관리를 통해 다양하게 차별성을 갖는 MK들의 그룹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캐어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선교 현장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선교 사역에 필요한 상당한 자질들을 갖추고 있는 대학생 MK들이 상당수가 실제 선교사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지고 있으며, 또 선교사가 되고 싶어하는 의지가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이를 위해 MK 대학생들에 대하여 체계적인 신앙교육과 선교 훈련의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이러한 캐어를 위해 한국선교계의 관련된 기관들의 총체적인 연합과 협력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A discussion of caring Missionary Kids (MKs) which has been most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school-age childcare is now drawing new attention from the Korean missionary societies.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comp-rehensive and long-term care plan for the MKs and furthermore the MK’s potential to be a Christian missionary resource for the Korean church. Through the empirical studies on the challenges of college-aged, repatriated MKs and the effectiveness on the current caring program, the paper suggests that the caring program for MKs should be extended to college students with a systematic and long-term approach as the choices made in their college year have life-long ramification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segmenting MKs on the basis of various attributes and tailoring the caring efforts to fit the need of each group through a continuous research and data management would be crucial. The findings of the study also indicates that missionary kids in colleges have a great potential and willingness to be a missionary, which addresses the fundamental research question on the needs of systematic missionary training and Christianity education with the close cooperation with the Korean missionary societies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 KCI등재

        지역사회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자 간 복지의식 비교: 중소도시 공무원, 복지위원 및 기관종사자 간 비교를 중심으로

        고혜진 ( Hye Jin Ko ),정숙희 ( Sook Hee Jung ),강병덕 ( Byung Deok Ka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地方行政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복지위원, 복지기관종사자 간 복지의식 차이에 주목하여, 이들간 인식 차이를 규명하고 인식 차이가 효과적으로 융합될 수 있는 민관협력 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사회복지의 질적 수준 제고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공무원과 복지위원, 기관종사자 모두 대체로 긍정적인 복지의식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복지의식의 수준에서 차이가 있다. 먼저 복지위원은 타 비교대상 집단보다, 현행 사회복지제도에 대해서 우호적이지만, 제도의 효과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다음으로 빈곤과 장애 영역에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자 간 인식의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지역사회복 지의 수준을 제고하고, 사회복지서비스제공자 간 복지의식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호교류 기회의 마련과 함께 특히, 복지위원을 위한 지역사회 복지교육의 기회를 확대하여야 한다. 이때 지역사회복지협의체나 사회복지사협회 등 이미 마련된 제도적 장치를 활용한 적극적인 민관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며, 서비스 제공자들간 공감대 형성을 통한 복지유지 및 확대 분위기 조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community social welfare through developing more effective collaboration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ocial welfare providers. For this, we have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welfare consciousness among the providers.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searchers conducted survey on the social welfare providers: community welfare councilors, public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private social workers. The res ults are a s follows. Firs t of a ll, a ll p roviders had p os itive welfare consciousness. However, the levels of welfare consciousness were different among the providers. While the community welfare councilor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of current social welfare systems, they had the lowest perception of social welfare effectiveness. Second, the social welfare areas that the providers showed a big difference were related to poverty and disability. To achieve a better community social welfare and to decrease differences of welfare consciousness among the providers, community education are provided, especially to the councilors. For this, it should be considered to use preexisting institutional systems and networks such as local social welfare councils and associations of social work organizations.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평가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류

        오종현(Jong Hyun Oh),나은영(Eun Yeong Na),강병덕(Byung Deok Kang)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H대학교 학생들의 핵심역량 진단 결과(이하 K-CESA)를 잠재 프로파일 모형을 사용하여 분류한 연구이다. 분석결과, H대학 학생들의 K-CESA 잠재집단은 ‘전반적 저조’, ‘전반적 보통’, ‘전반적 우수’, ‘인지기능 및 의사소통 중심’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H대학 신입생들이 각 잠재집단에 소속될 확률은 교수와 학생 간 교류, 능동적·협력적 학습, 학업적 도전, 수업준비정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면, 인지기능 및 의사소통 중심 집단은 다른 잠재 집단에 비해 교수와 학생 간 교류, 학업적 도전, 수업에 대한 준비가 높고 능동적·협력적 학습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업적 도전이 높은 신입생일수록 전반적 보통 집단 보다 전반적 우수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에, 전반적 저조 집단과 전반적 보통 집단, 전반적 저조 집단과 전반적 우수 집단을 변별하는 유의한 학습과정 변수를 찾을 수 없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각 잠재집단의 특성에 맞는 시사점과 교육적 피드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H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e K-CESA using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he students are classified as ‘overall low-level skill’ group, ‘overall mid-level skill’ group, ‘overall high-level skill’ group, and ‘cognitive function and communication oriented’ group. A set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tudent faculty interaction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level of academic challenge and class preparation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latent profile membership. Students who reported high level of student faculty interactions, academic challenge, and class preparation, but low level of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overall high-level skill’ group than other latent groups. High level of academic challenge was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overall high-level skill’ group than the ‘overall mid-level’ skill group. In contrast, there was no significant learning process variable to discriminate multiple groups: ‘overall low-level skill’ versus ‘overall mid-level skill’ group and ‘overall low-level skill’ versus ‘overall high-level skill’ group.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and educational feedback were suggested in terms of latent profil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