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LNG 저장설비에 대한 체계적인 위험성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강미진(Mee jin Kang),이영순(Young soon Lee),이승림(Seung Rim Lee) 한국가스학회 2009 한국가스학회지 Vol.13 No.1

        LNG 수요증가에 따라 저장설비의 규모가 커지고 있고 그 수 또한 증가되고 있어, 저장설비의 안전 건설과 안전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가를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위험성 평가 모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LNG 저장설비의 위험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객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위험성평가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연구 및 국내외 규격을 조사하고 검토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부지선정, 배치도 선정, 설계/건설 및 운전의 4개 단계로 구분한 위험성명가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사고피해규모를 예측하기 위해 필요한 대기조건과 합리적인 영향거리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고피해규모와 직접 연계된 사고의 발생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구조로 제안되었다. 따라서 향후 LNG 저장설비를 새로 건설하고자 할 경우, LNG 저장설비 부지 및 배치도를 결정할 때 본 모델을 적용하여, 보다 근원적인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 consumption of LNG has increased, the capacity and number of LNG facilities are getting bigger and bigger. Such circumstances supports the need for a dedicated risk analysis model to help review and check major issues of the safer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LNG storage facilities systematical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n appropriate risk analysis model that enables us to evaluate hazards of LNG storage facilities more easily and systematically, and then to use its result in siting, design and construction stages of the facilities. In order to develop the model, lots of existing studies and domestic and foreign codes and standards were fully reviewed and a series of case studies also were carried out The suggested model consists of 4-stage evaluations: in selecting a site, in determining a layout, in designing and constructing the facilities, and in operating them. This model also suggests the weather condition necessary for estimating the consequence of accident-scenarios, and the easy, systematic approach to the analysis of their probability. We expect that the model may help secure LNG storage facilities’ inherent safety in determining their site and layout.

      • KCI등재

        목차 : 대학의 연구실 안전환경관리자 선임기준 합리화 방안

        강미진 ( Mee Jin Kang ) 한국안전학회(구-한국산업안전학회) 2012 한국안전학회지 Vol.27 No.2

        Absfract This paper shows survey result on safety management status of laboratories in Korea In Korea, many studies and reports on laboratory safety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enforced the Act on Establishing a Safe Environment of Laboratories (Lab Safety Act) in 2006. The MEST has surveyed status of safety management in institutions subject to Lab Safety Act in 2008 and 2010.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safety management statu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has been improved on several factors such as establishment of safety manual and implementation of safety inspection while the number of safety manager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increased However, the difficulties in performing duties of safety managers has increased because the number of exclusive safety managers has decreased. This paper identifi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Lab Safety Act on assignment and duties of safety manager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standard to determine the number of safety managers and decide whether or not their duties should be exclusive. Besides current standard that is based on the number of researchers, the number of individual laboratories should be considered The new method would be helpful to determine the number of exclusive safety managers because the amount of safety managers` duties generally do not depend on only the number of people who may be exposed to any risk but also the number of facilities that rosy be cause of any accident

      • KCI등재후보

        석유화학 공정의 가상사고 시나리오 유형분석

        윤동현,강미진,이영순,김창은 한국안전학회 2003 한국안전학회지 Vol.18 No.3

        This paper presents a set of typical pseudo-accident scenarios related to major equipments in petrochemical plants, which would be useful for performing such quantitative risk analysis techniques as fault tree analysis, event tree analysis, etc. These typical scenarios address what the main hazard of each equipment might be and how the accident might develop from an "initiating event". The proposed set of accident scenarios consists of total thirteen (13) scenarios specific for five (5) major equipments like reactor, distillation column, etc., and has been determined and screened out of one hundred and twenty-five (125) potential accident scenarios that were generated by performing semi-quantitative risk analysis practically for twenty-five (25) petrochemical processes, considering advices from the operation experts. It is assumed that with simple consideration or incorporation of plant-specific conditions only, the proposed accident scenarios could be easily reorganized or adapted for the relevant process with less time and labor by the safety engineers concerned in the petrochemical industries.

      • 고 신뢰성 시설에서의 수소 화재위험도 분석사례

        이영순,강미진 서울産業大學校 2005 논문집 Vol.54 No.1

        원자력 시설과 같은 고 신회성이 요구되는 시설에서 사용되는 수고취급걸비에 대해 수소의 화재위험도 분석사례를 제시하였다. 원자력 시설에서 사용되는 가연성 물질중 하나인 수소의 화재폭발 위험험요인을도출하고 그에따른 피해영향규모 산출을 통해 원자로 설비에 미치는 영향을 푀소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따. 수소는 분자량이 작아 누출 시 쉽게 확산되고 소규모 설비에서는 사용량이 작아 누출 후 지연점화로 인한 화재나 폭발의 위위험은 거의 없다. 다만, 최소 점화에너지가 작아 누출 시 마찰 등에 의해 점화될 경우 제트화재의 우우려가 있고 수소탱크 주변에서의 화재로 인한 용기폭발 가능성이 있다. 각각의 가상사고 발생 시 원자로 설비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수소배관 설치 시 고려하려랴 할 몇 가지 사항을 도출하고, 평가결과를 통해 수소탱크 주변에 내화방벽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고 신뢰성이 요구되는 시설에서는 사고의 발생가능성이 비록 낮다고 할지라도 수소로 인한 화재폭발 위험으로부터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설계기준에 고려되어야 할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사전 위험성평가의 개념으로 수소의 화재위험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