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朱子书院文化与韩国书院的发展

        张品端 ( Jang¸ Pin-dan ) 한국서원학회 2020 한국서원학보 Vol.11 No.-

        본 논문은 朱子書院文化가 조선시기 서원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고, 이 영향을 받은 조선시기 서원들이 이를 토대로 어떻게 건립되고 발전한지를 논술했다. 이를 위해 논문은 <한국 서원 건립에 사상적 근거를 제공한 주자서원문화>와 <한국 서원문화의 발전>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1장 <한국 서원 건립에 사상적 근거를 제공한 주자서원문화>에서는 世宗시기부터 宣祖 시기까지 서원이 설립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설명했다. 세종 때는 朱子의 『白鹿洞書院揭示』의 영향을 받아 서원들이 점차 세워졌다. 中宗 시기에 과거제도의 부실운영과 관학의 학생 수 급감으로 서원이 널리 세워지는 계기가 되었다. 서원이 제도화되고 독립성을 갖게 된 것은 李彦迪과 李滉 등의 노력이 있었다. 이언적은 『玉山書院學規』를 이황은 『白鹿洞學規集注序』와 『白鹿洞規圖』를, 李珥는 『隱屛精舍學規』를 만들어 서원운영을 체계화하였다. 마지막에는 19세기에서 지금까지 서원의 상황과 서원의 복구 및 서원의 역할 등을 설명했다. 2장 <한국 서원문화의 발전>에서는 주자서원문화의 영향을 받고 설립된 조선시기 서원들이 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중국 서원과 대별되는 조선시기 서원들의 독특한 발전특징을 기술했다. 논문에서는 조선시기 서원들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유가의 지식전수와 문화전승, 제사활동, 禮學의 발전과 『朱子家禮』의 전파, 예학 저술의 발달, 주자를 높이는 활동 등을 꼽았다. This study states that how Zhu Xi’s Seowon(Shuyuan) culture affected Seowons in Joseon and how Seowons in Joseon were established and developed with the influences. For this, the study reviews both < Zhu Xi’s Shuyuan culture offering intellectual bases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eowons > and < Development of Korean Seowon culture >. Chapter 1 < Zhu Xi’s Shuyuan culture offering intellectual bases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eowons > explains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eowons at the time between King Sejong and King Seonjo. In the era of King Sejong, with the influences of Zhu Xi’s ≪A Note on Bailudong-Shuyuan≫(≪白鹿洞書院揭示≫), Seowons had been established. Because of bad management in civil examinations and dramatic decrease in students in the governmental school in the era of King Jungjong, Seowons were widely established. The systematization and independence of Seowons came from efforts of Yi Eon-jeok and Yi Hwang. Yi Eon-jeok wrote ≪Educational Regulation of Oksan Seowon≫, Yi Hwang wrote ≪Bailudong Educational Regulation Commentaries≫(≪白鹿洞學規集注序≫) and ≪Bailudong Regulation Schemes≫(≪白鹿洞規圖≫) and Yi Yi wrote ≪Educational Regulation on Eunbyeongjungsa≫(≪白鹿洞規圖≫), respectively, systemizing Seowon operation. In final part, the situations of Seowons from the 19th Century to present, and its restoration and roles are explained. Chapter 2 < Development of Korean Seowon culture > describes that the Seowons in Joseon Era, which had been established under the Zhu Xi’s Shuyuan culture’s influences, played a role of educational institutes and its uniqueness in development, contrasting to the Chinese Shuyuans. In the study,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the Seowons in Joseon include transiting Confucian knowledge and inheriting culture, sacrifice activities, development of Yehak(禮學), spreading << Chu-tzu Cha-li >>(≪朱子家禮≫), development of writing Yehak(禮學), and praising Zhu Xi,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