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계적인 로봇윤리의 정립을 위한 로봇 존재론, 특히 로봇의 분류에 관하여

        고인석(Ko, In-Sok)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70 No.4

        로봇윤리를 구체적인 규범의 차원까지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그 적용 대상인 로봇이라는 존재 범주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 특히 그것의 적절한 분류학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려는 일단의 시도다. 이 논문은 먼저 로봇의 분류라는 문제의 의미를 음미하고(1절), 분류체계가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들을 분석한 후에(2절), 로봇윤리 관점의 로봇 분류라는 문제의 특수성을 염두에 두면서 로봇 분류의 가능한 원칙들을 검토한다(3절). 이어 4절에서 필자는 기존의 로봇 분류체계에 해당하는 몇 가지 사례를 2절에서 논한 중첩 금지, 전포괄성, 분류원칙의 체계성 등의 관점에서 검토, 평가함으로써 이 논문의 문제의식을 충족시키는 로봇의 분류체계가 아직 만들어져야 할 과제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5절에서 합리적인 로봇의 분류체계를 구성하는 데 적용할 만한 분석의 두 차원을 제시한다. 로봇은 인간의 도구지만 특정한 방식으로 제한된 수준의 자율성을 구현할 수 있는 도구라는 점에서 여느 인공물과 다른 고유의 지위를 지니며, 인간과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상호작용하는 존재자의 특성을 지닌다. 이런 까닭에, 로봇윤리와 유관한 로봇의 분류는 이와 같은 인간-로봇 상호작용(HRI)의 특성을 분석의 주된 축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분석은 로봇시스템이 구현하는 인공지능의 양상에 대한 분석과 인간-로봇 상호작용의 구조에 대한 분석의 합으로 구성될 것이다. In order to get a practical system of roboethics up to its details we need a systematic ontology of robotic beings, especially a reasonable taxonomy of them. This paper looks into some basic questions on the taxonomy of robotic beings by discussing qualifying conditions of a taxonomy in general and some unique aspects of the classification of artifacts. No-overlap, exhaustiveness, and consistency are analyzed to be essential conditions for an effective classification. It reviews then several examples of robot taxonomy from this evaluative viewpoint. None of the examined examples proves to satisfy all three basic conditions. The paper investigates some peculiar difficulties of robot classification which were the background of the unsatisfactoriness of the given examples, then proceeds to suggest a set of basic classificatory principles for systematics of robotic beings. Considering the target, to provide systematic ontological foundation of roboethics, the mode of human-robot interaction(HRI) should be the core taxonomic principle. The analysis of HRI in this respect includes inqui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ealized by the robotic system and that of the structure of H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