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법상 성적 자기결정권 개념에 대한 성찰

        박혜진(Park, Hye Jin) 한국형사법학회 2009 刑事法硏究 Vol.21 No.3

        The concep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is not unfamiliar with the Criminal Law. However,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sexual self- determination," is not easy and so this issue needs to be further discussed. This is why Sexual Self-Determination is gradually distorted, extended, or disregarded according to the speaker’s intention or other circumstances. Sexual Self-Determination has been usually discussed and advocated with Specific Crimes, etc., not with its nature, legal foundation, and development background. Now, the concept that the legal interest prohibiting sexual offences is considered, not a sense of virtue or sex liberation, but Sexual self-determination, is established, and thus there is necessity for a correct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as to the element of sexual offense, and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sexual offenses needs to be formed again.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cep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the scope of such concept, and the issue of whether the understanding about sexual self-determination, which is the legal interest of sexual offense, is appropriate or valid. In addition, as one of the important matters, if its new reflection or comprehension need, this paper focuses on what should be done. For this, I studies the relation between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constitutional self- determination, and reviews its character based on the dual structure of the sexual self- determination. Then, I inquiries about its main points and analyzes two sides of view, i.e., the freedom of decision-making and the protection of bodily harm. This paper looks into an offense subject to prosecution only on complaint from the victim and its contradiction. Lastly,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study concerning sexual offense and then, proposes its new concept.

      • KCI등재

        헌법상 치료거부권 -의사무능력자를 중심으로-

        허순철 ( Soon Chul Huh ) 한국법정책학회 2011 법과 정책연구 Vol.11 No.2

        최근 헌법재판소는 환자가 미리 의료인 등에게 연명치료 거부 또는 중단에 관한 의사를 밝히는 등의 방법으로 죽음에 임박한 상태에서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지키기 위하여 연명치료의 거부 또는 중단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헌법상 기본권인 자기결정권의 한 내용으로서 보장된다고 하였다. 그런데 환자가 의식이 없고 사전의료지시서와 같이 환자의 의사를 확인할 수 있는 ``명백하고 확신을 주는 증거``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과연 자기결정권을 치료거부 내지치료중단의 근거로 볼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는 특히 연명치료 중단의 경우처럼 의사능력이 있다가 이를 상실한 경우뿐만 아니라 영·유아와 같이 처음부터 의사능력이 없는 경우에도 문제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치료거부는 종교적 이유로 수혈을 거부한 경우에 주로 문제되어 왔으나, 1990년 연방대법원은 Cruzan 판결에서 처음으로 헌법상 치료거부권이 자기결정권과 신체의 불훼손권에 의하여 인정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자기결정권은 자신의 운명 내지 삶에 관한 중대한 사항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의사능력이 없는 환자의 경우에도 치료중단의 근거를 자기결정권으로 볼 것인가에 대하여는 견해가 대립한다. 이는 결국 기본권 보유능력과 기본권 행사능력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자기결정권과 같이 기본권 주체에 의하여 직접 행사되어야 하는 기본권의 경우에는 그 주체가 의사능력이 없어서 기본권을 행사할 수 없다면 기본권 보유능력도 인정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환자의 의사능력이 없는 경우에는 치료거부권의 근거를 자기결정권에서 찾을 수 없다. 그렇다면 기본권을 행사하는 능력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는 신체의 안전성 내지 신체의 불훼손권을 헌법상 근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 역시 절대적 기본권은 아니며 헌법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Recentl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decided that a patient on the final stage of irreversible death is able to reject or choose to withdraw her life-sustaining medical treatment for her human dignity and value with a prior medical instruction expressing her wish to refuse or terminate the medical treatment to hospital employees, and that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grants her a right to refuse the treatment as a constitutional right of self-determination. However, it is uncertain whether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is the legal basis of the right to refuse treatment when a patient is incompetent and there is no clear and convincing evidence such as prior medical instruction. This difficulty also occurs when a patient is regarded as mentally incompetent not only because of a persistent vegetative state but also because of mental capability such as a newborn child or an infant. In the U.S. the problem of the right to refuse medical treatment had been related with some cases of Jehovah`s Witness patients rejecting blood transfusion. However, in 1990 the U.S. Supreme Court assumed for the first time that the U.S. Constitution would grant a competent person a constitutional right of self-determination and bodily integrity to refuse lifesaving treatment. This right to self-determination needs the ability to decide some important choices regarding his/her destiny and life. Therefore, different theories conflict regarding whether even a mentally incompetent patient has a constitutional right of self determination to refuse medical treatment. It seems that it is a problem between an ability to have a consitutional right and an ability to exercise his/her right. Thus, as for a consitutional right such as a right to self-determination which is required to be exercised by the owner of the right, it seems reasonable to say that a patient has no ability to have the right when he/she has no ability to exercise that right because of his/her incompetency. Accordingly, I think that an incompetent patient is not able to have a constitutional right to self-determination to refuse medical treatment. Consequently, it seems that the right of bodily integrity is an alternative constitutional right because it does not need the owner`s ability to exercise it. However, the right of bodily integrity is not so absolute that the State may impose some limitation on the right according to Article 37 (2)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출산의 의료화와 여성의 재생산권

        조영미(Cho Young Mi) 한국여성학회 2004 한국여성학 Vol.20 No.3

        출산의 의료화는 여성과 아이의 건강과 안전에 유용하기도 하였지만 의료 권력에 의해 여성의 재생산 권리가 침해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 자결권과 신체 통합권이라는 재생산 권리 개념을 도입하여 어떠한 여성들의 권리가 규제되고 있는지, 여성들은 이에 어떻게 저항하고 있는지를 다루고자 하였다. 여성들은 출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서 자신의 몸과 아이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여성들에게는 의학적 조치를 취할 때도 의료진이 제시한 결정을 수용하는 제한적인 결정권이 있을 뿐이다. 산전관리와 분만의 과정에서 여성의 몸은 기계와 같이 다루어지며 인격체로서 존중되지 않고 있다. 여성들에 대한 정서적 지원이나 배려가 부족하며 여성의 출산 능력을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는 여성들의 출산 경험에서 상실감과 무력감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여성들은 여성의 권리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고,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출산을 정의하기 시작한다. 여성들 간의 집단적 연계망을 통해 이러한 인식은 보다 확고해 지며, 이를 통해 기존의 의료체계 내에서 자율성을 확대할 수 있는 전략적 저항과 의료체계를 넘어서는 전면적 저항-조산사 분만-으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의료된 출산 관행의 문제점을 여성의 권리 차원에서 부각시킬 수 있으며, 여성 중심적 출산 관행이 되기 위해서는 출산 조력자와의 비위계적 관계 형성, 정보의 수평적 공유, 다양한 수준의 출산 조력자-의사, 조산사, 둘라-등의 참여를 제안하게 된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women's reproductive right is regulated by authoritative medical professions and in what condition women can challenge the dominant medicalized childbirth practice. Women have experienced violations of their bodily self-determination right such as information supply focused on medical experts, hierarchical distribution of information, and lack of decision-making right in medical monitoring and intervention. And, women's body has been handled machine-likely with respect to use of medical services and the bodily integrity right has been also restricted by the lack of respect for women's reproductive capacities and insufficient support for their emotional needs. These violations of women's reproductive rights cause women under pregnancy and childbirth to be disempowering. Some women have started to challenge the medicalized childbirth. Women try to redefine their reproductive process as an natural physiological process and begin to ensure their reproductive capacities. Their resistance varies from going to hospital lately, not speaking of physical pain to the medical staff, moving and relaxing freely to changing the medical attendant into the midwifery. It will be suggested that women should be recognized as an autonomous subject in their childbirth and horizontal relation between medical experts and pregnant women shall be established. More effort to provide various delivery attendants and services- such as midwifery, doula-will also be recommended.

      • KCI등재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이선순(Lee, Seon Soon)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4 젠더와 문화 Vol.7 No.1

        2011년 우리 헌법재판소는 낙태죄 규정에 대한 헌법소원을 심사하였고 2012년 낙태죄 처벌조항은 합헌이라는 최종 결정을 내렸다. 이제껏 우리사회에서 낙태가 제대로 공론화된 적이 없었기에 헌법소원은 그 자체로 사회의 주목을 받았지만, 내용면에서 여전히 이분법적 권리 대립구도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본 논문은 법의 영역에서 낙태담론이 대립적 구도를 벗어나지 못하는 근본적 이유를 법의 관계성 부재로 보았다. 헌법소원 결정에 앞서 열렸던 공개변론은 이러한 관계성 부재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로, 청구인과 법무부 양측이 전개하는 법적 논리와 함께 이들에 대한 재판관들의 질문과 대답, 재질문 과정을 통해 우리의 현재 낙태에 관한 법담론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개변론에서 나타난 법의 모습은 먼저 형식적 절차와 추상적 생명론에 치중하였다. 또한 임부와 태아의 관계를 적대적으로 취급함으로써 임부의 다층적 고민을 간과하였다. 마지막으로 낙태문제를 임부와 태아만의 문제로 제한해 봄으로써 젠더관점이 부재했다. 또한 법이론에서도 관계성의 부재함이 나타났다. 근대의 자유주의 법이론인 권리개념으로는 불평등구조나 상황이 파악되지 못하며, 임부와 태아는 한 몸임에도 불구하고 공/사로 나뉜 법익은 임부의 신체통합성을 훼손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법은 임부의 자율성을 태아와 사회적 맥락에서 분리하여 개인적 책임을 추궁하였다. 이 모두는 법에 부재한 관계성으로 인해 나타난 문제들이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공허한 법담론을 넘어 각자의 삶과 경험들이 반영되는 인식틀로 법을 재구성하고 젠더에 접근해야 할 것이다. In 2012,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eld that the crime of self-abortion was constitutional because it didn’t violate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This Article intends to illuminate dis-relationship in the legal discourse in the debate on abortion. In spite of the prevalence of women’s abortion, it is significant to see the discourses that explain, or affirm the women’s action in society. The experience of abortion seems particularly detrimenal to the relationship with a male partner who is unable to sympathize with her experience of the abortion. In this regard, abortion tends to reconstruct women’s perception about sexual relationship and subjectivity. This article identifies and problematizes the condition of dis-relationship in the legal discourse through Constitution Court. Liberalism legal theory does not accurately factor in the special situations that pregnant women, who are responsible for various human beings at the same time, are faced with. In particular, ‘autonomy’, which is considered the absolute principle of respect for human beings in the discussion on the legal theory. As such, autonomy of pregnant women as the ones responsible for multiple relationships has not been mentioned in any liberalism law theory. Despite the fact that a new approach is needed, there are instances in which bodily integrity, which is endowed on existing abstract individuals when it comes to pregnant women, has been violated. Now we will have to approach for the reconstruction of law and reflected women’s life and experiences from gender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