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의료비에 미친 영향

        김관옥(Kim, Kwan-ok),신영전(Shin, Young-jeo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7 비판사회정책 Vol.- No.54

        실손의료보험으로 인해 불필요한 의료수요가 유발되어, 개인의료비가 증가하고 국민건강보험 재정이 악화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7차 년도(조사기간 2012년 2월-7월), 9차 년도(조사기간 2014년 3월-9월) 자료를 이용하여 실손의료보험 신규가입으로 개인의료비가 증가하는지를 이중차이모형(difference-in-differences)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액의료보험 신규가입자는 미가입자에 비해 의료비의 유의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지만(p>0.05), 실손의료보험 신규가입자는 정액의료보험 신규가입자에 비해 ‘비급여’(p=0.008), ‘교통비(입원간병비) 포함 처방약값’(p=0.046), ‘총진료비(건보부담금+법정본인부담금+비급여)’(p=0.026)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또한 실손의료보험 신규가입자는 미가입자에 비해 추가로 ‘총의료비(건보부담금+법정본인부담금+비급여+교통비(입원간병비) 포함 처방약값)’(p=0.028)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실손의료보험의 신규가입은 개인의료비와 국민건강보험 재정지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러한 의료비 지출 증가가 적절한 것인가에 대한 평가와 민간의료보험 가입에 따른 의료비 증가에 대한 적절한 대처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a continued assertion that medical insurance for actual expense causes unnecessary medical demand to increase personal medical expense and worsen the financial condi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study analyzed if buying new medical insurance for actual expense increased personal medical expense based on the 7th year (study period from Feb. ~ Jul., 2012) and 9th year (study period from Mar. ~ Sep., 2014) data of Korea Health Care Panel Study using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o significantincrease was found in medical expense of new fixed-return policyholders, compared with non-policyholders (p>0.05). But, new actual-expense-indemnity policyholders were found to experience significant increase in non-payment item (p=0.008), prescription drug expense including transportation expense (hospitalization nursing fee)’(p=0.046), and resin filling treatment expense (national health insurance payment + statutory payment by policyholding patient + non-payment item)’(p=0.026), compared with new fixed-return policyholders. Also, new actual-expense-indemnity policy holders experienced additional significant increase in total medical expense (national health insurance payment + statutory payment by policyholding patient + non-payment item + prescription drug expense including transportation expense (hospitalization nursing fee) (p=0.028), compared with non-policyholders. Consequentially, this study found that buying new medical insurance for actual expense increased personal medical expense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pending. Such increase in medical expense will need to be assessed for its appropriateness and a proper measure will be required regarding the medical expense increase caused by private insurance holding.

      • KCI등재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이 의료비에 미친 영향: 본인부담금을 중심으로

        김관옥 ( Kim Kwan-ok ),신영전 ( Shin Young-je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2

        가계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4대 중증질환(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희귀난치질환)의 고액 의료비를 경감시키기 위해, 2013년에서 2016년에 걸쳐 4대 중증질환 보장 강화 정책이 시행되었다. 이 연구는 2013년 4대 중증질환 보장 강화 정책 시행 전·후에 나타난 4대 중증질환의 의료비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2013년에 시행된 4대 중증질환보장 강화 정책 효과의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료패널 7차 년도(조사기간 2012년 2~7월)와 9차 년도(조사기간 2014년 3~9월) 자료를 이용하여,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결합한 이중차이분석(Difference in Difference)으로 정책효과를 확인하였다. 성향점수매칭 후 다중이중차이분석 결과, `비급여`, `처방약값`, `법정본인부담금`, `본인부담금(법정본인부담금+비급여+처방약값)`, `건강보험공단부담금`, `총진료비(건강보험공단부담금+본인부담금)`는 일부에서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한 수준의 감소는 아니었음을 확인하였다(p>0.05). 4대 중증질환자의 고액 의료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보장성 강화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In South Korea, cancers, cardiac diseases, cerebrovascular diseases and rare intractable diseases cause huge financial burden on households. To help lower their medical cost, the government implemented the policy of expanding insurance coverage for the four major diseases from 2013 to 2016. This study identifies changes in household expenditure on the four major disease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verage expansion policy in 2013. By doing so, the study seek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he study used the 7th-year and 9th-year data from the Korean Health Panel (KHP) (surveyed from February to July, 2012 and from March to September, 2014, respectively).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was assessed based on the difference in difference method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As a result of multiple difference in difference after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it was confirmed that although `non-payment items`, `prescription drug expense`, `statutory payment by patient`, `out-of-pocket payment (statutory payment by patient + non-payment items + prescription drug expense)`, `national health insurance payment`, and `total treatment expense (national health insurance payment + out-of-pocket payment)` decreased in some parts, this decrease was not at the significant level (p>0.05). In order to ease the large financial burden of medical cost spent on the four major diseases, it will be necessary to pursue a stronger policy to reinforce the coverage of relevant insur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