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명치료 중단"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법적 논쟁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적 인간관과 윤리관의 관점에서

        이상원 ( Sang Won Le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2 No.-

        최근 한국의 법원들은 폐질환 치료를 받다가 혼수상태에 빠진 환자로부터 인공호흡기를 제거하라는 판결을 내림으로써 소극적 안락사의 적법성을 둘러싼 논쟁을 다시 한 번 촉발시켰다. 법원들의 판결근거는 환자는 불가역적인 사망의 상태에 있다는 것과 환자 가족들의 대리적 추정판단은 환자자신의 의사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대법원의 판결이 확정된 이후에 법제화를 통하여 대법원 판결을 지원하기 위한 법안들이 준비되었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보건복지부 주관의 사회적 협의가 진행되었다. 모든 논쟁은 환자의 상태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추정 및 대리판단의 타당성 문제에 집중되었다. 이 두 문제에 대한 개혁주의적 관점에서의 평가는 다음과 같다. Ⅰ. 혼수상태의 환자는 영혼이 살아 있고 신체적 생명도 살아 있는 존재로서 다만 외부로 자기 의사를 표현하는 일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뿐이다. 그러므로 이 환자로부터 연명치료장치를 제거하는 행위 곧 소극적 안락사는 살아 있는 사람의 생명을 인위적으로 종결시키는 비윤리적인 행동이다. 다만 환자의 명백한 의사표시를 통하여 의학적으로 의미가 없는 치료를 중단할 것을 요구할 때 다수의 의사들의 중층적인 진단과 병원윤리위원회 등의 신중한 검토를 통하여 이 요구를 수용하는 것 곧, 무의미한 진료의 중단은 윤리적으로 타당한 조치로서 소극적 안락사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Ⅱ. 생명의 주관권은 오직 하나님에게만 있으므로 생명의 종결에 관한 한 환자의 자기결정권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환자가 자기 의사를 표명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추정 및 대리판단은, 환자의 생전의 언명이 사건 발생 시에도 유지될 수 있는가가 불투명하고 환자의 언질에 대한 여자적 해석이 환자의 마음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추정판단비판), 가족은 환자 보다는 자신들의 입장에서 판단할 우려가 있다(대리판단비판)는 점 등에 근거하여 환자의 의사표시로 볼 수 없다. Recently the South Korean courts provoked the hitted debates about the ethical and legal legitimacy of passive euthanasia by ordering the hospital to remove a respirator from the patient who fell into coma during the treatment of her lung-disease. The reasons of the decision of the courts were that the patient was in the irreversible dying state and the presumptive and substitutive opinions of the family of the patient about the intent of the patient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true intent of the patient herself, After the final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several bills were proposed and the social conferences hos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re prepared in order to support the decision legally. The two central issues of the debates were: how the medical state of the patient must be diagnosed and to what degree the presumptive and substitutive judgments of the family can reflect the true intent of the patient. The appraisals about these two issues in terms of the Christian Reformed viewpoints are as follows. I. The patient in the state of coma (PVS) is one whose spirit and whose physical life are alive, but has only some trouble in expressing his idea to other people. Therefore it is an unethical behavior to remove life-sustaining facilities from him and suspend his life artificially. This means that passive euthanasia must not be permitted legally and ethically. But, when the patient demands the suspension of a medically meaningless treatment voluntarily and apparently, the hospital can accept the demand and suspend the treatment after the repeated diagnoses of several medical doctors and the serious discussions of the hospital ethics committee. This means that the suspension of medically meaningless treatment can be ethically valid and must be distinguished from passive euthanasia. II. The right of self-decision of the patient does not exist in terms of suspension of life, for the right to decide about the suspension of human life belongs to God alone. Presumptive judgment cannot reflect the true intent of the patient, for it is uncertain whether he would have the same mind before and after he fell into coma, and whether the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sayings of the patient would reflect his mind. Substitutive judgment cannot be identified with the judgment of the patient himself, for family members are prone to think in terms of family interests rather than the patient`s benef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