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뇌사의 법적 측면

        주호노(Ho-No Joo)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19 생명, 윤리와 정책 Vol.3 No.1

        이 논문은 법률상 법률효과를 달리하는 사람과 사체의 경계선으로서의 사람의 종기에 관하여 고찰하고 있다. 이 논문은 현행법상 사망의 판정 기준을 전통적으로 인정되어 온 심장사와 장기이식에 제한된 범위에서 새롭게 등장한 뇌사로 파악하고 있다. 나아가 이 논문은 의학기술의 비약적 발달로 인하여 사망의 판정방법에 있어서 심장사와 함께 뇌사의 이원화가 도모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심장사에 있어서도 새로운 판정방법으로서의 심장사 후기증(donation after cardiac death, 이하 DCD)의 도입이 요청됨으로써 사망 판정방법에 있어서의 의료화의 방법이 과제로 남게 되었다고 진단하고 있다. 끝으로 이 논문은 결어로서 규범적 평가에 있어서 자연사와의 동등성, 즉 DCD 또는 뇌사가 심장사와 같이 생명의 종국적이고 불가역적 소멸이라는 의학적 평가의 정확성과 일반인에 의한 사회적 수용의 당연성이라는 요건의 충족을 전제로 DCD의 도입 가능성과 뇌사의 독자성을 긍정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nd of human life as a boundary between living person and dead body that differs in legal effects. Under the current law, this paper considers a traditionally accepted cardiac death and a newly emerged brain death from a limited range of organ transplantation as a criteria of death determination. In addition, this paper diagnoses that the method of medicalization in death determination criteria remains a future problem not only due to needs of dualization of cardiac death and brain death in criteria of death determination but also due to introduction of donation after cardiac death in criteria of cardiac death determination based on the rapi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accept possibility of donation after cardiac death and brain death as criteria of cardiac death determination and death determination depends on the equivalence with natural death in normative evaluation, that is satisfaction of conditions such as the accuracy of the medical determination about ultimate irreversible extinction of life and the logic of the social acceptance by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이재석(Lee, Jae-Suk)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52 No.-

        본고에서는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와 관련해 제기되는 문제 중 태아에 대한 형법적 보호, ‘죽음의 개념’과 장기이식, 안락사와 존엄사, 특히 후자에 대해서는 ‘연명의료의 환자결정권 제도화’를 중심으로 이것의 당부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 현행법이 기한과 관계없이 임신 후 모든 낙태행위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예외적으로 허용하는 지금의 입법방식은 재고되어야 한다. 그것은 사회통제(Sozialkontrolle)의 일부로서의 형법은 그 제정 및 운용에 있어 법공동체에서 승인된 기본적인 가치표상에 의존함을 전제할 때 더욱 그러하다. 여기에서 태아의 생명보호와 함께 임부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여 현행보다 낙태의 허용범위를 넓히는 입법방식이 타당하다. 둘째 ‘죽음의 개념’의 문제에 있어서는 뇌사자의 장기이식실시는 죽음의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뇌사를 심장사와 함께 보편적인 죽음으로 인정하는 것은 국민의 의식변화 등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문제로서 우리의 경우에 있어 아직도 이러한 합의에 도달하였다고 인정될 수 없으며 국민일반의 보편적 죽음의 개념에 반한다고 하겠다. 셋째 말기의료에 있어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근거한 안락사와 존엄사의 제도화문제 있어서는, ① 적극적 안락사는 환자의 생명을 고의적으로 끊는 행위이며, 이는 비윤리적임은 물론 불법행위이다. 이것은 자기결정능력이 있는 환자에게 가능한 치료와 성공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최선을 다해 전한 다음 모든 치료의 시작과 끝은 환자의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학적 처지의 거절권과는 또 다른 문제영역이다. ② ‘연명의료의 환자결정권 제도화’는 입법이 가지는 장점 이상으로 그것의 가장 큰 단점은 남용의 위험성으로 의학적 타당성과 적절성을 기본으로 신중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그것은 입법이 직접 의료현장에서 직면하게 될 모든 상황을 제도화하는 것은 한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This thesis considers ‘The Protection of life in Criminal Law’ and explores several solutions to the problem.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main parts. Ⅰ. Introduction, Ⅱ. Criminal protection for the unborn child, Ⅲ. ‘Definition of death’, Ⅳ. Active Euthanasia and the Death with Dignity,Ⅴ. Conclusion. To begin with, I analyse ‘criminal protection for the unborn child’. Its contents are as follows: Are embryos and fetuses ‘persons’ worthy of legal protections? Should the potential to be a person give embryos and fetuses a right to life? Does a fetus gain rights as it gets closer to birth? Does a woman have an absolute right to determine what happens in and to her body? Secondly, this thesis deals with the ‘Definition of death’. That is “what is human death and how can we determine that it has occurred?” Traditionally, death was defined as the cessation of all body functions, including respiration and heartbeat. However in recent decades, the concept of ‘brain death’ has emerged. Brain death applies to the situation when the heart continues to beat with the breathing maintained mechanically after the brain has permanently ceased to function. In many countries it has been accepted that when the brain is dead the person is dead. Thirdly, this thesis researches ‘active euthanasia and the death with dignity’. To begin with, active euthanasia is the termination of life by a doctor at the express wish of a patient. The request to the doctor must be voluntary, explicit and carefully considered and it must have been made repeatedly. Moreover, the patients suffering must be unbearable and without any prospect of improvement. But suicidal intent is typically transient and modern medicine has the ability to control pain. So, active euthanasia is an illegal act of murder. Finally, I analyse the disputation on the death with dignity and explore current issues fac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eath with dig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