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증외상환자의 주 손상 부위별 특성과 간호활동

        김명희,김명희,박정하 기초간호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5 No.4

        오늘날 산업화와 경제성장에 따라 교통사고, 재해, 산업 재해 등의 각종사고가 증가하면서(Kim, J. J. et al., 2011) 매년 12만 5천 명의 중증외상환자가 발생하고, 이 중 1만 1천 명이 사망하고 있지만, 적절하고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살릴 수 있는 중증외상환자도 3천 5백 명에 달한다(Joo, 2010). 외상환자의 예방가능 사망률은 그 나라의 전체적인 외상체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Mackenzie, 1999) 미국과 일본의 중증외상환자 예방가능 사망률은 10-15% (Esposito, Sanddal, Reynolds, & Sanddal, 2003; Kunihiro, 2005)인 데 비해 국내는 33%로(Kim, 2011) 2배가 넘는 실정이다. 외상진료체계를 구축하여 외상환자의 예방가능 사망률을 줄이고 있는 외국사례를 토대로(Stewart, Lane, & Stefanits, 1995) 국내에서는 2009년 중증외상 특성화 후보센터를 지정하였고, 향후 전문외상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Centr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09). 현재 중증외상환자들은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치료를 전담하고 있으나 입원대기 환자들이 정체되고(Chun, 2008) 치료전담 의료 인력이 부족(Lee, 2011)하여 중증외상환자의 진단, 치료 및 처치가 지연되고 있다. 외상환자는 외상초기의 적절한 치료여부에 따라 예후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Nguyen, Rivers, & Havastad, 2000), 진단 및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빠른 시간 내에 처치가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Kim et al., 2007). 외상환자의 대부분은 다발성 외상환자들로(Kim, T. Y. et al., 2011) 복합적인 문제들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생명유지를 위한 기본적인 처치와 동시에 손상부위에 따른 사정, 처치 및 간호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국군간호사관학교의 외상간호교육과정(Trauma Nursing Core Course, TNCC)에 신체의 해부학적 부위에 따른 간호가 있지만, 이는 사고현장에서부터 병원에 도착하기까지의 상황에 대한 것(Korean Nurses Association, 2013)이고, 응급환자 매뉴얼의 외상환자 간호처치는 이론적이므로 임상실무현장을 반영한 병원 도착 후의 중증외상환자의 간호활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중증외상환자의 치료경과 시간과 활력징후에 따른 응급처치 및 간호활동

        김명희,박정하,김명희,구지은 기초간호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6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ecessary emergency treatment and nursing activities for severe trauma patients according to elapsed time and vital sign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1 patients over 15 points ISS on EMR from June 1, 2011 to May 31, 201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pplying McNemar’s test using SPSS 12.0. Results: Almost all of the subjects were men and the mean age was 46.9. Run-time for primary diagnosis, treatment decision, and leaving for the hospital room was 0.19, 4.36, and 4.21 hours, respectively, and stayover time was 9 hours. Regardless of vital signs, emergency treatments involving ambu-bagging, intubation, ventilator, and central vein catheterization insertion were offered within an hour. Central venous pressure, Foley catheter/Levin tube preparation and maintenance were performed in cases of unstable vital sign patients within an hour. Unrelated to vital signs, nursing activities for consciousness assessment, skin assesment and wound care, bed sore/fall down assesment and care, intravenous injection insertion and maintenance were conducted for all severe trauma patients within an hour. Foley catheter/Levin tube drainage care was performed for patients who had unstable vital signs within an hour. Conclusion: Emergency treatment and nursing activities for severe trauma patients were specific according to elapsed time and vital signs.

      • 뇌혈관 환자에 대한 간호진단 적용 분석

        김명희 대구보건대학 1996 대구보건대학 論文集 Vol.16 No.-

        간호진단의 실무적용을 증진시키고 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해 대구시내에 소재한 Y의료원 신경계 변동에 입원한 환자 102명에게 적용된 간호진단수 총 109개를 NANDA회의에서 채택된 간호진단명 105개에 준하여 분석한 결과 환자 1인당 평균1개를 사용하였으며 총 사용 NANDA 간호진단명은 9개로 대상자 102명중 가장 많이 사용된 간호 진단은 안위의 변화 44.0%, 불안 19.3%, 부적절한 개인적 대응 12.8%로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적용된 간호진단의 종류 및 빈도가 매우 낮았으며 간호진단에 대한 사정도구개발의 연구와 간호사들에게 지속적인 보수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This research was done for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appliance of Ng. diagnosis and for the elevation of nursing guality(level). I analized the Ng. diagnosis with 109 diagnosis used by NANDA conference from 102 patients who were admitted for Neuro Surgery Ward of Y medical Center which is in Taegu. The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re as follows ; by sex, men were 57 cases(55.9%) and women were 45 cases(45.1%). In age, 26~29 were I case(1.0%), 30~39 were 10 cases(9.8%), 40~49 were 30 cases(29.4%), 50~59 were 32 cases(31.4%), 60~69 were 26 cases(25.5%), and over 70 were 3 cases (2.9%). In diagnosis of the patients, Cerebral Infarction were 52 cases(50.9%), Intracerebral Hemorrhage were 20 cases(19.6%), Subarachnoid Hemorrhage were 12 cases(11.8%), Epidural Hemorrhage were 7 cases(6.9%), Subdural Hemorrhage were 5 cases(4.9%), Aneurysm were 4 cases(3.9%), Cerebrovascular Accident were 2 cases(2.0%). I used all 109 Ng. diagnoses which means one person used about 1.0 of NANDA'S diagnoses. All used NANDA'S was 9 diagnoses. The most popular diagnoses were alteration in Comfort(44.0%), Anxiety(19,3%), Ineffective individual Coping(12.8%) in 102 cases. Bae showed ineffective air way clearance(48.4%), impaired Physical mobility,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Knowledge deficit, All of them were 41.9% in her diagnosis analysis research of Open Heart Surgery Patients. Kang showed self care deficit(27.7%), skin integrity(23.4%), tissue perfusion, alteration in cerebral area(16.4%), and high risk for infection(0.6%), in her diagnosis analysis research of brain disease patients. Park(1987) showed the representative diagnosis of high risk for injury, altered nutrition less than body reguirements, knowledge dificit, sleep pattern disturbance, and fluid volume excess, in her evaluations, of the original and revealational research rate of five diagnosis in patients with CAAH or CAVH. When we consider the specifics of each patient we can determine how the Ng assessment reveals that patients problems differ according to their disease. Signs and symptoms are one thing, and nursing requests are another. As the specific response-formal analysis of 9 Ng. Diagnoses in which the most popular diagnoses were Emotion(33.4%), Exchanging(22.2%), Moving(12.0%), choosing(11.1%) Knowing(11.1%) but Communicating and Relating, Valuing, Perceiving were not applied.

      • KCI등재
      • 체외 모델의 허혈 손상에 있어서 Propofol 의 효과 : TUNEL Assay 를 사용한 DNA Fragmentation 의 관찰

        김명희,김갑수 대한정맥마취학회 1998 정맥마취 Vol.2 No.1

        서론: Propofol은 GABA 수용체의 활동을 증가시키며 항산화 작용 등이 있어 허혈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허혈 손상은 능동적 세포 손상(apoptosis)으로서 DNA 손상을 가져온다. DNA fragments의 발견은 terminal deoxyribonucleotidyl transferase(TDT)-mediated dUTP-digoxigenin nick end labelling(TUNEL assay)을 사용하는 방법이 최근에 인기를 끌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상세포를 이용한 허혈 모델에서 propofol의 주입이 DNA 손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TUNEL 염색을 사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험세포는 성상세포의 특징을 보이는 인간의 성상세포종양 세포인 U1242GM astrocytoma cells라고 명명되는 cell line을 사용하였다. Chamber slides에 세포를 심은 후 6시간 후에 실험을 한다. 허혈을 모사하기 위해 해당작용(glycolysis)을 차단하는 iodoacetate(IAA)와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를 차단하는 carbonylcyanide m-chlorophenylhydrazone(CCCP)을 각각 1.5mM과 20 μM을 사용하였다. Propofol의 효과를 보기 위해 실험세포를 4군으로 나누었다. 1) 약물 처리를 하지 않은 군, 2) IAA/CCCP 1.5 mM/20 μM을 처리한 군, 3) IAA/CCCP 1.5mM/20 μM+ propofol 10 ㎍/㎖를 처리한 군, 4) IAA/CCCP 1.5mM/20 μM+propofol 100 ㎍/㎖를 처리한 군. Fragmented DNA에 표지(labelling)를 붙이는 방법은 상품화되어 있는 기구(In situ cell death detection kit, Boeringer Mannheim, Germany)를 사용하였다. 염색이 된 DNA는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propofol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었다. 결과: 성상세포에서 ATP 고갈을 유도시 TUNEL 염색에 양성으로 보이는 DNA 파괴가 상당히 많이 보였으며, propofol 10 ㎍/㎖의 첨가로 DNA 파괴가 감소되었고 propofol 100 ㎍/㎖의 첨가시는 거의 완전히 DNA 파괴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저자들은 propofol이 DNA 파괴를 감소시킨 결과를 보고하면서 임상적으로 propofol이 허혈 손상을 경감시킬 가능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전신 마취후 환자운반시 동맥혈 산소포화도에 대한 연구

        김명희,박광원,길혜금,김원옥 대한마취과학회 1989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22 No.4

        The arterial oxygen saturation (SaO2) changes during transportation of postanesthetic patients from operating room to recovery room were measured by pulse oximeter. Fourty-one ASA PS I premedicated children were studied. SaO2 was recorded on operating room under administration of 100% oxygen (T2), transportation one minute (T2), two minutes (T2), three minutes (T2), on arrival in the recovery room (R0), One minute (R1 ) and two minutes (R2) in the recovery room under administration of oxygen via nasal cannula or catheter through endotracheal tube.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tubated group (group 1) and the intubated group (group 2) was not found. The proportion of children with SaO2$lt;95% (PaO2$lt;75mmHg) on arrival in the recovery room with room air inhalation were 13 cases (31.7%). It is concluded that children receiving anesthesia can become hypoxemic during postanesthetic transportation with room air inhalation and in the recovery room.

      • KCI등재후보

        최초의 조선 여성 문단인 - 운초 시의 특질

        김명희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1 No.-

        I want to mak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poem describing the fatal life of Uncho who lived as a Gi-nyeo, a concubine and a poetess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Uncho had to live her whole life as a member of the lower classes. Her destined encounter with Mr. Yeon Chun and the friendship with famous noble poets, such as Kyeong San, Keum Won, Juk Seo, and Kyeong Chun, through Samho-Jung, the poetry association became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world of her poetry. Uncho learned from her uncle Ilhwa-Dang. She got married to Mr. Yeon Chun, who was fifty years older than her. Through this marriage she enlarged the world of her poetry, but on the other hand she also keenly realized her limits. Uncho had a correct understanding of herself through the friendship with the men of noble birth, and it made her feel more alienated. After Yeon Chun's death, she concentrated more on writing poetry with her friend Kyeong San and the poetry association, Samho-Jung. But looking behind her husband, she left <Cheungsi> poetry as a self-portrait and finished her short life. The world of her poetry were as follows; Looks of Gi-nyeo appeared in the <Sajeol-Jung> poetry, <Jahwang> poetry satisfying herself. But dissatisfaction of her poetic talent was discovered in the <Jajo> poetry. Especially she expressed her sense of shame about the world of her poetry by comparing with Mrs. Hwa ye from China, and Huh nan seol-Heon from Chosun. "Separated feeling from object" : She gave a massage to her friends Gi-nyeo to be cautious in self-conceit. Uncho spent her time with friends of the poetry association, Samho-Jung, and was immersed in consciousness of kind. On the other hand, she led a lonely and neglected life mentioning consciousness of separation. In her poet given to Kyeong San, she concluded that her life was not free comparing herself to "fish in the fish bowl". She made <Cheungsi> poetry in the nihilism and passed away. To conclude, Uncho is the regrettable woman of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who had lived unhappy double life. 운초는 성천기로 詩名이 고향인 성천 西都로부터 출발하여 한양에까지 드날렸다. 운초는 기녀로 초반기를 보내고 연천공과 결혼 후 소실로 살면서 중반기를 보낸다. 그 후 시회의 모임인 소실들과의 교유를 통한 만년을 보낸 후 작고한다. 양반의 후예이기는 하나 기녀로 살아야 했던 기구한 운명과 비록 사대부의 소실이라고는 하나 50여 년의 나이차기 있는 연천공과의 결혼 생활을 행복하기만 한 여성의 일생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시를 통해 형상화된 작품에서 나타나듯 기녀로서의 담대함, 당당함, 자긍심이 기녀의 풍모였다면 사대부들과의 교유를 통해서는 萎縮되어가는 시적 자아의 모습을 보인다. 그녀는 자족과 자조 의식을 동시에 시로 표출한다. 시적 한계에 다다른 기녀의 시에서 자괴감을 느끼며 虛名이었다고 자조한다. 그나마 연천공이 죽은 후에는 더욱 상실감에서 헤어나지 못하며 그의 시는 애상과 탄식으로 흐르게 된다. 그때 동류의식으로 기녀며 소실인 친구들과 詩會로 소일하며 친구인 경산에게 연천공에게 의지하던 것처럼 그의 시에 의지하여 차운하며 시간을 보낸다. 끝내는 병들고 수척해진 모습으로 시만 짓고 살다가 이승을 하직한다. 그녀 시의 특질은 사대부와의 분리의식 속에서 시를 지었고 대상(객체)과의 세계에서도 합일하지 못한 채 분리되는 감정으로 그녀(주체)는 생활하였으며 동류의식 속에서 친구들과 벗하며 詩會에 몰입하였으나 점차 사회로부터는 철저히 소외되는 기녀 시인이었을 뿐이다. 그러나, 한국 文壇史에서 그녀는 여성 최초의 문단인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