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암환자의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석란(Kim Seak ran)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8 No.1

        암환자의 죽음인식에 따른 웰다잉과 영적안녕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호스피스활동이 그 영향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여 사회복지 실천서비스로서 암환자를 위한 호스피스활동 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죽음인식을 독립변수로 하고 웰다잉과 영적안녕을 종속변수로, 호스피스활동을 조절변수로 하여 변수간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서울과 경기도지역의 호스피스 간호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암환자 3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4월 28일 사이에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64부를 제외한 286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안녕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확인한 결과, 암환자들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수용력이 높을수록, 평상시에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웰다잉에 대한 준비와 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암환자들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불안이 적을수록, 평상시에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영적안녕에 대한 준비와 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암환자가 인식하는 죽음인식은 호스피스활동에 영향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는 죽음불안이 심할수록, 죽음수용이 강할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호스피스활동에 긍정적인 것을 나타났으며, 암환자는 죽음불안이 심할수록, 죽음수용이 강할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호스피스활동 중에서 상담, 사정, 사별관리, 퇴원계획, 지역사회 자원관리 등의 직접개입관련 활동에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암환자가 인지하는 죽음인식과 웰다잉의 사이 및 죽음인식과 영적안녕 사이에는 호스피스활동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의 웰다잉 및 영적안녕 각각은 암환자가 인지하는 죽음인식과의 사이에서 암환자가 인지하는 호스피스활동이 조절효과로 분석되어, 조절변수(호스피스활동)는 독립변수인 죽음인식과 종속변수인 웰다잉과 영적안녕의 관계를 각각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조절변수 상호작용 항의 베타 값이 플러스(+)로 나왔으므로 호스피스활동이 왕성할수록 암환자가 인식하는 죽음인식은 웰다잉 및 영적 안녕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of the death awareness of cancer patients to their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hospice care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necessity of hospice care intervention geared toward cancer patients as one of practical social welfare services. The death awareness of cancer patients was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selected moderator variable was hospice care, and the mutual influences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0 selected cancer patients who were provided with hospice care in the metropolitan a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28, 2016, and the answer sheets from 286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64 data that included unfaithful answ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ancer patients had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their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 more adaptive awareness of well-dying was found among the patients who were older, who were Christian, who were better educated, who lived with their spouses, whose financial status were more stable and were less burdened with medical expenses. In terms of spiritual wellbeing, there was a more compliant attitude in the respondents who were female, who were older, who were Christian, who were in the initial stage of cancer, who were in more stable financial condition, who were under less pressure about medical expenses and who were provided with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ancer patients had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their death awareness and hospice care. A more immersion in death ideation was found among the patients who were male, who were less educated, who had no spouses in terms of marital status, whose cancer was in worse conditions, who received treatmen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who were provided with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And the way of looking at hospice care was more positive among the respondents who were older, who were less educated, who had no spouses in terms of marital status, who received treatmen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who were offered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eath awareness on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s a result, there were better preparations for well-dying and better awareness of it among the patients who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death, who were more receptive to it, who were usually more concerned about it and who had more respect for life. And the patients who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death, who felt less anxiety over it, who were usually more interested in it and who had more respect for life were better ready in terms of spiritual wellbeing and looked at spiritual wellbeing more favorably.

      • 장례복지와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김석란(Kim Seak Ran) 한국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5 No.1

        사람은 한 번 태어나면 반드시 한 번은 죽는 것이 신의 섭리인데, 매우 보편적이면서도 당연한 진리임을 알지만 함부로 입에 올리는 것은 불경스럽게 여겼던 것이 우리의 전통적 정서이다. 일제 강점기를 지나오는 동안 외래 문물의 활발한 유입과 동시에 기독교라고 하는 당시로서는 매우 낯설었던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죽음에 대한 의미 또한 미미하게나마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으나 민족의 정서 밑바닥에 흐르고 있는 사자(死者)에 대한 경의(敬意)와 두려움은 아직도 우리 사회를 지배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죽은 자에 대해 예(禮)를 갖추는 것은 그 형식과 절차만 다를 뿐 어디를 가나 나름대로의 방식이 존재해 오고 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도 인생사에 있어 피할 수 없는 네 가지 필수 의례를 일컬어 관혼상제(冠婚喪祭)라 하여 사람의 죽음에는 단순한 의례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죽음’이라고 하는 그 자체가 지금껏 누구도 경험해 보지 못한 미지의 세계이기 때문에 두려울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한 두려움은 결국 다양한 장례의 형식과 절차를 낳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또한 기독교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교에서 사람이 죽으면 신(鬼神)이 된다고 하는 가르침을 학습해온 영향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본다. 한정된 국토 면적을 감안할 때 장묘(葬墓) 문제는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한 대안으로 불교에서 일찍부터 장려해오던 화장(火葬)이 점차 늘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역시 시신을 태운 후에는 그 유골[粉骨]을 다시 땅에 묻거나 용기에 담아 일정한 장소에 보관을 해야 하는 또 다른 절차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어 궁극적 대안은 될 수 없다는 한계점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근자에 이르러 기독교를 중심으로 “너는 흙에서 왔으니 흙으로 돌아가라(구약성경 창세기3:19)”는 성경에 근거하여 사자(死者)의 시신을 자연으로 돌려보내자는 취지의 수목장(樹木葬, 혹은 自然葬) 운동이 자연스럽게 전개되고 있다. 다소 낯선 용어일는지는 모르겠으나 수목장 내지는 자연장을 현재로서는 새로운 장례문화의 최선의 대안으로 고찰(考察)해 볼 필요가 있다 하겠다. 이에 더 나아가 우리나라의 장례문화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는 것 외에 새로운 장례문화 구축을 위한 올바른 이해와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연구해 볼 필요 또한 강하게 도전 받고 있음을 숨길 수 없다.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전래된 이후, 즉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점차 장례문화는 그동안의 감추고 싶었던 문화에서 보여주려는 문화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 또한 새로운 트렌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좋은 예로 가정에서 가족 중심으로 치러야 했던 장례식이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장례식장이라고 하는 공개된 장소로 옮겨져 시행된다는 점이다. 이처럼 시대의 흐름과 과학문명의 발달, 그리고 정부의 정책에 따라 시시각각 변해가고 있는 현대 사회의 모든 생활상을 종합해 볼 때 유독 장례문화만 그 변화를 거부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최선의 대안이라고 말할 수 있는 수목장 혹은 자연장 운동이 기독교를 중심으로 더욱 활발히 전개되어 성숙한 장례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있어 그 중심적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의 측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이 타당할 지를 논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라 하겠다. 장례란 단순히 사전적 의미로만 본다면 “죽은 사람의 장사를 지내는 일, 또는 그러한 예식”을 말하는 것으로 간단히 해석할 수 있겠으나 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 한 평생 살다가 그 생명이 다하여 떠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면 그리 간단히 해석 내릴 수만은 없는 일이다. 이러한 장례에 대해 기독교적 관점에서 새로운 정의를 내리기 위해 더 많은 연구와 그에 따른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독교의 한국선교 초기 장례의식과 관련하여 우리 사회 전통의식과의 충돌로 적지 아니 갈등을 겪은 바 있으며, 일부이기는 하나 지금도 왕왕 빚어지고 있다고 알고 있다. 따라서 종교에 따른 신앙적 차이로 인한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우리 사회의 장례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인식시킬 뿐만 아니라 아름답고 성숙한 장례문화를 선도하는 일에 사회복지사가 나서 그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하리라고 본다. 또 하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문제는 장례와 관련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이라고 본다. 근자에 이르러 장례와 관련한 전문 직종으로 ‘장례지도사’의 역할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는 하나 엄격히 말해서 이는 사회복지사가 감당해야 할 업무의 한 영역을 나눈 것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 It is only the providence of God that a born human being dies at one point life. This truth, however universal and obvious, was blasphemous to mention in the traditional, cultural sentiment of Korea.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foreign goods came into Korea at a fast pace while at the same time Christianity?back then a very unfamiliar culture?was received. With this the meaning of death began to change slightly. Nevertheless, the respect and fear of the dead that flows within the core of our heritage continue to dominate our society. Across all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proper decorum for the dead exist universally, albeit their differences in form and procedures. With regard to the concept of life, Korea too long recognized the unavoidable passages of life by naming them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which makes a statement to the meaning of death beyond the simple formality of decorum. Death itself is a unknown world experienced by no one and thus naturally a subject of fear. The fear has resulted in the various forms and procedures of funerals. One cannot dismiss the impact of most of the world’s religion that teach human beings’ transformation into ghost beings after death, with the exception of Christianity. Considering the limited amount of national territory, it is no wonder that the problem of burial rose as a serious social issue. In response, the cremations, long encouraged by Buddhism, came to increase as a solution. However, the remaining ashes need designated places for burial, requiring new processes and physical space. Thus the practice of cremation has reached its limit as an ultimate solution. These days, the Christianity-centered natural burial movement or woodland burial movement (returning the dead one’s body back to nature) is naturally expanding based on the biblical verse: “For dust you are and to dust you will return (Genesis 3:19)”. While the term may seem unfamiliar, the natural burial movement needs to be considered as the optimal option for a new funeral culture. Furthermore, in addition to challenging of equipping ourselves with basic information on the funeral culture of Korea, proper understanding for establishing a new funeral culture and research into the social worker’s role cannot be ignored as our new challenges. Following the passing down of Christianity in Korea and entering the modern era, the funeral culture of Korea entered a new trend, becoming a culture of showing from a culture of hiding. One good illustration is the long family-centered funeral that is more frequently carried out at open, designated places for funerals. With the passage of time, development of science, and changes to governmental policies, one may compile the fast-changing lifestyles of modern society and realize that the funeral culture of Korea cannot be the exception to being subject to the waves of changes. As the realistically optimal solution of natural burial or woodland burial expand and settle as the new, mature funeral culture, it also needs to fulfill its central role. Thusly, this research looks into how such roles may be reasonabl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a funeral is “the ceremonies for a dead person prior to burial or cremation”. Yet if one understands funeral as a process of a human being leaving a life led from birth to a destined point, a funeral cannot be understood such simple terms. In order to provide a new definition of the funeral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much research, time and effort will be needed. In beginning days of Christianity in Korea, the Christian funeral practice came into much conflict with the traditional practices of the Korean society, and such occurrences happen occasionally today, however marginal. Thus, for simply avoiding social conflict due to gaps in belief, a new definition of funeral in our society must be settled. Furthermore, to achieve an artistic, mature 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