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산물 가공산업의 마케팅 전략개선 방안 연구 : 여수지방을 중심으로

        김종욱 麗水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agricultural manufacturing. From the domestic perspective, opening the import market to foreign firms, wage increasement, have made companies in competitive. And from the international perspective, there are so many weaknesses in information, diversity of product item, global sanitary management level. With these weak points, many firms in this industries The central aim of this study is going to find out the difficult of current management system in our country korea sid and to focus on life style, I researched the present position of agriculture manufacturing plants in Yosu, and looked for the marketing problems in those. hopefully, I will find the answers to promote the domestic agriculture industry. This paper surveys the problems of agriculture manufacturing in Yosu. And then finds solutions to those problems by complex marketing (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1. In Products (i) To develope the competitive products that consumers are interested in competitive products, items, eco-environmental vegetable, brand and package (ii) It is the necessary to improve the technical process of agricultural manufacturing and technical innovation (iii) To develop the brand and design of packaging (iv) To diversify the product items 2. In Place (i) The important is to build the efficient distribution structure (ii) It is necessary to use the distinctive sales network and look for the mass consumers (iii) To get the information of agricultural distribution from computer and then put it to practical use 3. In Price It is advisable to make the high- grade articles 4. In Promotion (i) The management of unified brand (ii)It holds on many advertising event with a local self-governing body

      • ‘거북 이미지’를 利用한 地域 文化産業 活性化 方案

        정숙 여수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여수는 2012 해양 엑스포를 유치하고자 한다. 또한 관광도시로서 비상하고자 한다.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우리는 우선 대내외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여수 이미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지역 이미지는 관광객이 관광지를 선택하는 결정적 요인이 된다. 관광이미지는 목적지와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형성되기 때문에 여행목적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품이나 서비스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미지가 관광학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는 이유가 그것이다. 이미지 형성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신문, 잡지, TV, 대중매체나 홍보 자료가 중요하다. 또한 친구나 친지들의 구전은 관광지 이미지 형성을 위한 매우 중요한 원천이 된다. 따라서 이미지는 ‘실체적 진실’과는 일정한 괴리가 있는 개인의 주관적 견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여수의 이미지는 무엇으로 통합하여 강화시키는 게 바람직할까? 본 연구는 여수의 정체성을 이순신, 거북선, 향일암, 금오산의 육각 무늬 바위, 장수리, 거북 공원, 구니 구순의 캐릭터, 거북선 축제 같은 이 지역에 널려 있는 잠재적 지적 재산에서 찾아보았다. 그리고 공통분모를 ‘거북’으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거북을 여수의 이미지로 제안해 보고자 한 것이다. 도출된 ‘거북 이미지’는 CI(City Identity)전략으로 이어져야 한다. 관광지로 자리매김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통일성을 갖추고 일관성 있게 지역 이미지를 광고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문화터미널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문화시설을 다양한 문화전달 플랫폼으로 이해하고 지역 내 핵심적인 문화공간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해 본 것이다. 문화터미널을 굳이 도입한 이유는 지역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체적인 밑그림이 그려져야 개별적 문화콘텐츠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이었다. 결국 거북 이미지를 이용한 관광문화 개발전략은 자원 발굴, 공간의 결합, 기능의 복합화, 브랜드 개발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시의 CI전략이 적극 도입될 때 그 효과와 성공률은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어디까지나 문화개발 전략이기 때문에 인문학적 지식을 토대로 한 아이디어라는 한계점을 지닌다. 이미 많은 용역이나 설문지 조사가 선행되었기에 설문조사도 생략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문화 이미지를 더욱 강화화고 응용할 수 있는 거북 이미지에 대한 아이디어는 이를 실용화하고 활성화를 잘 한다면 이 지역 문화 산업 활성화에 상당부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Yeosu city attempts to hold '2012 Marine Expo' to set up its plant in a place. Yeosu city, also makes every effort to develop into a remarkable sightseeing city. To attain such aim, there is a necessity that we need to examine, ' The Image of Yeosu '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 regional image becomes the primary factor where the tourist selects the travel destination. The specific image of sightseeing has an important role, because it is where tourist decides the travel destination without a direct contact of the destination and the place, regardless of the product or service. This is why specific image becomes the huge interest in hospitality studies. The image forming is accomplished via various information and courses. The newspaper, the magazine, the T.V, the mass media or public information data is considered mostly important. Also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from friends or relatives becomes very important source for travel destination image on figuration. Therefore, the image could be separate opinion of the individual, other than ' Entity truth ' Then, what combined image will be suitable for Yeosu to reinforce an image as a rapidly growing travel destination? This research tried to investigate the true identity of Yeosu from the latent intellectual property which is enlarging in Yeosu region such as admiral Lee Sun-Sin and Turtle Boat, Hyang-Il temple, and The hexagon pattern rocks of the Kum-Oh Mountain, the Jang-Su villiage, the Geo-Buk(Turtle) park. The character of Yeosu, Guni and Gusun, the Turtle Boat Festival is another true identity of Yeosu. Finally proposed 'Turtle: common denominator' as the image of Yeosu, We strongly suggest that the ' Image of Turtle' has to turn out to be the CI (City of Identity) of Yeosu. It is necessary to advertise the regional area in consistency and equipped in unity to become the excellent tour destination. Also, I groped for the culture terminal construction plan. To understand a culture facility as the culture delivery platform and try to attempt to re-examine for core culture in this region . The reason why I introduced the culture terminal was to be capable of the development for cultural contents through whole rough sketch need to be drawn. In conclusion, sightseeing culture development strategy will bring up to high success rate, when resources was excavated, combination of space, functions are composed. It is the proper time to CI strategy to be able to propel a brand development by stages. However, the research has limit because of the culture development strategy, which is based on literature knowledge. Many surveys and question investigation was done for many years, already. Therefore self-survey was omitted. But to apply 'Turtle Image' in which could be reinforced will be greatly contributed to our city, if it will be directly used and activated.

      • 여수(구) 도심권 문화지구 조성에 관한 연구

        김도연 麗水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인에 있어서 도시인의 삶은 창조적인 환경 속에서 쾌적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를 원한다. 오늘날 도시환경은 급속한 산업사회발전 형태에 따른 도시화의 과정으로 인해 인간적 측면에서 황폐화 되어가고 있다. 인구가 과밀해지면서 생태계 균형은 깨지고, 교통의 혼란과 대기오염은 각종 공해를 유발시켜 도시는 병들어 가고 있다. 따라서 인간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작용 할 수 있는 정서적이고도 심리적인 여유를 주는 공간이 필요시 되고 있다. 여수(구)도심의 경우 3려통합 이전부터 행정기관의 이전, 어족자원의 고갈로 인한 도시인구의 감소, 새로 개발된 신도심지역으로의 상권의 이동 등으로 여수(구)도심권의 공동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여수(구)도심권의 활력을 줄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문화지구 조성에서 찾고자 했다. 여수(구)도심권 문화지구 조성은 지금까지 문화를 관광의 일부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문화적인 측면에서 삭막해진 도시공간의 환경을 개선하고 기존 도시공간에 문화와 예술의 옷을 입힘으로서 도시의 이미지를 새롭게 하고 특색 있는 문화공간을 만들어 나가자는 것이다. 그리고 여수(구)도심권의 환경을 자연적, 역사적, 지역적 특성의 가치를 살려서 시민들의 문화공간을 확충하고 자연환경을 회복하며 역사 환경을 보전해 나가자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여수(구)도심권 문화지구 조성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일반적인 이론 및 방향을 제시하고 대상지를 선정 계획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지구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위해 지역문화 개발, 문화도시, 문화거리의 개념과 문화 지구에 대한 국내 · 외 사례 12곳을 살펴보았으며 여수(구)도심권의 여건 및 문화자원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지구 조성방안으로 역사복원과 해안선의 아름다움을 가미시킨 해안변 환경조성에 중점을 두었고 시민들이 휴식장소로 이용되고 모여들 수 있는 여건을 갖춤으로서 여수(구)도심권의 활력을 가져 올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 여수시는 2012 여수 월드 엑스포 국가계획이 확정된 이후 국가사업으로 사회간접자본시설이 대규모로 투입 될 전망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지역특성과 미래를 예측하면서 개발이 문화와 접목되어야 하고 기본적으로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끝으로 본 연구가 문화지구 구상 단계에서 머물렀지만 문화에 관심 있는 행정가, 도시계획 전문가, 문화를 기획하는 연출가 등 전문가들에게 좋은 사례로서 활용되고 불 꺼진 항구라고 불리우는 여수(구)도심권의 활성화에 대안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oday, people are longing for pleasant and creative environment in urban areas. Contemporary cities are desolated in humanities as they go through rapid industrial evolutions. Overpopulation, traffic congestion, polluted air are contaminating the modern. Thus, people thesedays, desperately need a place where they are able to improve the guality of their lives and to give them calmness and composure. In this study of Yeosu city, transfer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efore "3Yeo" unification(In the word of "3Yeo", the letter "Yeo" is commonly used in the previous name of Yeosu City, Yeocheon City, and Yeocheon County which had been merged into a present large Unified City of Yeosu on April 1, 1998), decrease in population by shortage of sea-resources, migration of the market to the new town caused emptiness in the old town area. In order to vitalize the old town area, this study is to seek a good way how to re-develop the area into a cultural district. To make the area into a cultural district is intended to deviate from the idea that culture is only a part of tourism and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city by dressing up with culture and art, which would create a new image of a unique city. Also, the administrations must matte the best use of the old town Yeosu's natural, historical, and local characteristics to provide cultural institution and to preserve historic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of constituting cultural district of the old town Yeosu is to present plans and ideas and to find an adequate area. To provide fair explanation, the administration has taken a careful look at 12 different successful cases of developing cultural city and streets from domestic and foreign ones as wel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administration has decided to focus on developing cultural district in coastal area in order to provide citizens with a place where they could relax, which would then vitalize the old town Yeosu. In conclusion, Yeosu city is planning to hold the 2012 World Expo, and the government will be supporting the plan in many ways.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how to predict the future in local areas and how to make sure that the development is in progress according to the culture, which will lastly better lives of the citizens. Finally, this research is only remaining as a plan, but it well provides the awareness that Yeosu is not a "dead harbor" anymore. Also, the administration is hoping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re-vitalize the constitution of old town Yeosu.

      • 地域發展을 위한 觀光이벤트 活性化 方案

        김양자 麗水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지방자치시대가 도래된 후 각 자치단체들은 지역발전을 위한 사업일환으로 관광산업을 선호하고 이에 따른 수단으로 관광이벤트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이는 전 국민이 삶의질 향상에 따른 의식변화와 최근 주5일 근무등 여가 시간 확대로 관광객 증가와 관광수요 역시, 보는 정적인 관광에서 참여하는 동적인 관광형태로 변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전국에 관광이벤트 사업이 방만하게 급증하면서 문제점이 제기되는데, 일부에서는 지역고유의 차별화도 없이 천편일률적인 백화점식 이벤트 행사로 재정 및 시간의 낭비라는 비난을 받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천혜의 자연자원과 유물, 유적등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면서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경제적 효과와 지역이미지 제고, 특히 우리지역과 같이 구)여수시, 여천시, 여천군의 삼려가 통합된 여수지역민의 일체감 조성등 많은 기대효과를 지닌 관광이벤트 사업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대해 문제점을 제기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에 있어서 이벤트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 후 국.내외 성공사례를 분석하고 우리 지역의 문제점을 파악코자하였으며 특히 우리시 행정공무원 중 축제 및 이벤트 행사 관련부서 4개과(관광홍보과, 문화체육과, 총무과, 여성정책과)등을 중심으로 현 부서에 근무하는 직원과 타부서로 전출한 공무원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내용으로는 축제의 효과 및 기능, 문제점, 그리고 향후 축제 개발 방안 등이며, 우리 지역의 많은 축제 중 경제성, 문화, 환경, 사회적 면에 기여도가 높은 축제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우리지역에서 시행하고 있는 축제 가운데 경제적인 효과가 가장 큰 축제로는 향일암 일출제, 문화적인측면에 효과가 큰 것은 거북선축제, 환경적인측면에 효과가 큰 것은 영취산 진달래축제, 사회적인측면에서 효과가 큰 것은 여수 국제청소년축제로 파악되었다. 그 외, 지역축제화 관련하여 축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공무원의 의식조사와 관심도에 대해 축제의 실효성 6개 항목과 행사의 문제점 21개, 축제 발굴 및 개발에 대해 10개 항목 그 외 관광이벤트의 중요성 등 총52개 항목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분석방법인 SPSS 기법을 택하여 분석한 결과 행사 주체의 전문성 결여와 주민참여 부족, 관광객 유치가능성 미흡 등 인프라 구축의 절대적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그 외 축제를 통한 지역민의 기대효과와 축제 행사의 문제점, 그리고 여수시의 역할 지역 내 관광관련 대학교와 연계 위탁교육을 실시하는 등 많은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마치고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대한을 제시하면서 특히, 2012년 세계박람회가 여수로 확정된 현 시점에 우리지역 이미지 제고는 곧 유치에 커다란 역할을 하리라 예상한다. Each self-governing body is interested in developing tourist industry; it is felt that tourist industry will help local development. After self-governing bodies gain local autonomy, they will concentrate on tourism as an enterprise. In other words, people are modifying tourism from just sightseeing activity into more broad-based tourist activities, including leisure time improvement. Research shows that our region is full of tourist assets, such as beautiful nature, remains (ruins) of the past, lovely sightseeing sports, etc; all these have a very high potential for growth. Unified into one, Sammuryo ; Yeosu, Yeochenshi and Yeochen-gun can work as a viable and vibrant tourist industry. Unfortunately, this aim remains unachieved. A questionnaire was circulated to 120 government officials focusing on four problem areas: administration division, female policy, public information division for sightseeing, and culture. The contents of a questionnaire -- effect of a festival and a function, and a problem -- and effect which is future method proposal hereafter of festival development, and are the economical efficiency in a festival of many of our areas, culture, environment, and the inside economy job of the festival enforced in us the areas now [when the festival with the high degree of contribution has been grasped to the social side. analysis result] to the largest festival Hyangiram Sunrise System, It has been grasped by Yeosu International Youth Festival that effect of being large on the cultural side being large on Geobukseon Festival and the environment-side is large on Youngchisan Azalea Festival and the social side. The opinion poll of government officials had a big effect on the festival. Instead of 52 items, ten items were selected for detailed study. The forthcoming World Exposition of 2012 has very ambitious plans; it will raise our image immensely.

      • 麗水 地域 文化 資源의 觀光商品化에 關한 硏究

        김병호 麗水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격적인 지방화시대를 맞이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관광산업에 대한 경쟁이 지방자치단체간에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종래의 자연자원을 중심으로 구성된 단순한 관광상품으로는 경쟁력을 상실할 수밖에 없다. 미래 관광의 형태는 다양하고 구체적이며, 계절성을 극복하는 사계절 상품이어야 하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 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관광 형태가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관광이다. 특히 여수시를 비롯한 남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도시들은 중심 산업이었던 어업의 불황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격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위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문화관광과 문화자원, 문화관광상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문헌을 통하여 연구하였으며, 문화관광상품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있는 국내의 여러 사례와 외국의 사례로 여수시와 환경이 비슷한 일본의 대마도를 사례로 연구하였다. 여수시의 관광광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여수시의 관광현황을 분석한 결과 2곳의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자연자원을 활용한 자연관광 위주로 문화자원이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문헌과 현장 조사를 통하여 문화자원을 철저히 조사한 결과 여수시는 다른 지역에 비해 국가지정문화재 14, 도지정문화재 20, 등록문화재 3점 등 다양한 자원이 풍부하게 분포되어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수시의 문화관광상품은 관광 코스의 개발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관광 코스는 테마별로 11개 코스, 지역별로 6개 코스를 개발하여 각 코스 별로 주요 관광지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관광상품이 시민을 대상으로 한 시티투어가 아닌 대외적인 관광상품으로 정착 시켜 나가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증대와,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촉구하고, 문화관광상품을 안내할 수 있는 안내체계 시스템의 마련을 제언하였다. In the bloom of the age of localization, the tourists competitiveness made up of zeroing in on simply tourist goods of cultural resources in the reality of fierce competition of tourists industry which has been rapidly growing into high value added between local autonomous entities has been faced with losing it as before. The form of tourism should be composed of various, concrete and four-season merchandise overcoming the limit of only one season. It is just cultural tourism putting cultural resources to practical use that could exceed the limit of present tourism industry as a alternative measure. Especially, as the cities located in the southern coast including Yeosu area have severely been facing a economic crisis caused by slack in the fishy industry, they are putting forth all their energy to seek for alternative measures to weather it. This study set out to achieve the goal effectively through some documents of the theoretical bases about cultural tourism,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tourist merchandise. In addition, this investigation has been made a study of centering around not only home and abroad several cases which is developing and carrying out cultural tourist merchandise but also a example of Daemado in Japan which is similar to the environment in the Yeosu area. In the first plac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resent tourist situation in the Yeosu area to develope tourist merchandises has been raised a problem. It is nothing but the cultural resources concentrating on natural resources like two national parks. that rarely put them to practical use. According to the problem has been made thorough investigation of probing problems to the bottom to deal with it through some well-founded documents and on-the-spot surveys, this study confirms clearly the distribution of various and abundant tourist resources such as 14 cultural assets designated by the country, 20 cultural assets designated by the province and 3 registered cultural assets. The merchandise of cultural tourist in the Yeosu area is organized with priority given to the development of tourist courses. Tourist courses made up of 11 courses by each theme and 6 courses by regional groups furnish main tourist attractions, goods and contents based each course. This study stimulates a decisive role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in order to complete not simple tour to the target of citizens but international tourist merchandise and matte a proposal of supplying the system which can show and guide cultural tourist merchandise.

      •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여수시립도서관을 중심으로

        박삼숙 여수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21세기는 문화의 세기이며, 지식 정보사회라고 한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의 모든 지식과 정보 역량을 체계화하고 누구나 그러한 지식과 정보를 활용,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해 나감으로써 개인과 사회의 부와 창의력을 증대하는 것을 기본 패러다임으로 삼는 지식기반사회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유용한 지식과 정보를 얼마나 확보하고 이를 어떻게 잘 활용하는가에 개인과 국가의 경쟁력이 달려 있다고 할 때, 정보의 산실이라고 하는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중요성은 재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은 국가적인 지원에도 불구하고 아직 도서관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지역과 국민이 많은 실정인데도 도서관의 명칭 변경, 민간위탁 등으로 그 정체성마저 훼손당하는 현실에 봉착해 있다. 이는 정신문화와 지적 자원을 경제성의 논리만으로 성과의 잣대를 들이대는 아둔한 발상이다. 또한 그동안 열악한 시설과 인력 그리고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도서관 현장에서 사명감을 가지고 열심히 지역민들에게 봉사하였지만 지역민들의 대중적 지지기반이 미약하였다는 한 증거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공공도서관에 관한 법률적 접근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 보고, 여수 지역 사회의 분석과 여수 공공도서관의 실재를 조사하여 지역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며, 지역민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지방 자치 단체의 장은 도서관 정책과 행정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지역사회 주민들이 누구나 편리하게 도서관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읍·면 도서지역의 도서관 시설 확충을 비롯하여, 다중이용시설 등 지역 곳곳에 도서관 및 문고 등을 설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서관을 경제적인 효용 가치만으로 따질 게 아니라 충분한 재정 지원을 함으로써 이를 합리적으로 집행하여 지역 주민들이 다양한 지식과 정보의 습득, 문화향수의 기회를 누리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아무리 도서관 정책이 훌륭하고 재정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하더라도 운영 체계에 있어서 전문적인 인력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 효율성에서 결코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없으므로 전문직 관장 보임과 사서직원의 확보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하였다. 그리고 공공도서관이 지역의 사회, 경제, 문화에 공헌하여 지역 발전에 이바지하고, 지역의 공공기재로서의 역할을 다하여 지역 주민의 적극적인 호응과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서비스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여수시 공공도서관은 인접 지역 및 전라남도 각 공공도서관을 아우르는 협력망을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어떠한 정보 자료든지 접근이 가능하도록 접근점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협력망을 기저로 각 단위도서관에서는 소장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정보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도서관으로의 정책 전환도 서비스 개선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밝혔다. 21century is called a cultural century and also information society. We have to systematize our society's all knowledges and information ability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And also, anyone who utilize those knowledges and information, creates new knowledges and information. So they attempt a conversion use an increase of persons and society's fortune and originality. The person and country's competitive power is depend on how to secure and use the useful knowledges and information well. There is no doubt to think importance of library's role and function as a being scattered and lost of information. But despite national support, there are still many people and areas that not have received a favor. We are now in a reality that being damaged identity by library's name alteration and private commission. This is a stupid idea to judge the moral culture and intellectual resources. only by an economy's logic. Let's look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legally approach about public libraries. We tried to find improvement methods of service, can have the support of the local residents and help the development of a local community by analyzation of Yeosu local community and research on Yeosu public libraries. First of all, a local government should have a new recognition about library policy and administration. And, we present to equip more libraries in town and township for local residents to give enough opportunities of library's favor. And also they pointed out not to think the library as an effective value, give local residents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knowledges to enjoy leisure by carrying out legally through enough financial supports.

      • 마케팅을 通한 地域祝祭 活性化 方案

        도기룡 麗水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31

        세계화, 지방화 시대를 맞아 지방자치단체별로 경쟁적으로 지역 축제를 개최하여 더 많은 방문객과 주민을 끌어들여 지역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지역축제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의 이미지 제고라는 긍정적 효과도 있지만 반면에 특징 없는 유사한 축제로 많은 예산과 시간을 낭비하는 부정적 요인으로 성공하지 못하고 중도에 소멸되는 축제 또한 많은 실정이다. 이와 같이 축제가 실패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축제의 목표설정, 수단선택 및 자원배분, 표적시장 선정 등을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하여 문화전략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각종 축제와 성공한 외국축제 사례를 비교, 소개하고 우리지역의 축제인 "진남제여수거북선축제"에 대하여 분석한 후 마케팅의 시각에서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전략과정을 마케팅적으로 재구성해보고자 하였다. 즉 축제와 마케팅 전략에 대한 일반이론을 고찰한 후, 지역 축제의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적정한 틀을 모색하고 목표설정, 시장의 세분화, 시장 표적화, 마케팅 믹스 등을 구체적으로 적용해봄으로써 축제전략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축제소비자에 대한 특성과 욕구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축제내용과 이를 판촉하려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목표 세분시장별 외래 관광객과 지역주민이 바라는 축제의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에 마케팅 전략을 도입하여 대응함으로써 방문객의 증가를 유도 할 수 있고 나아가 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축제는 문화산업의 대표적인 분야로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라고 하는 만큼 지역의 경쟁력이 문화산업의 육성발전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제성장과 정치적인 안정기에 접어들면 자연스럽게 문화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기 때문에 지역의 정체성을 포함한 독창성 있는 지역축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 전략 수립을 축제의 목표와 표적시장 선정, 고객중심의 전략 등에 치중하였으며 지방정부도 점차 '기업가주의적' 이 되기를 요구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지역주민 또는 방문객들을 '고객' 으로 여기고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파악,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려는 마케팅의 노력들은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every local autonomous entity makes a great deal of effort in hosting regional festivals to vitalize their region. Though regional festivals bear fruits like boosting a regional economy and improving a regional image, many of them are terminated due to their lack of charateristic and waste of time and buget. Festivals end in a failure when cultural strategies don't work out. This study introduces and compare regional festivals supported by regional governments as well as other cases in forein countries. And then it also analyzes Yeo-su festival "The Jinnamje Yeosu Turtle Ship festival" in terms of marketing to reorganize strategic process scientifically and reasonably. To help frame policies in working out festival strategies, we consider principles of festivals and marketing strategy to form a outline for the strategy of regional festivals. This study shows that problems happen in a festival itself and promotional communication activities when they fail to grasp what festival consumers want. We can increase the number of visitors by analyzing a festival and applying marketing strategies. In this way, the region can be vitalized. In particular, in this 21st century "the era of culture", it'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ompetitiveness of a region depends up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As the desire for culture increases in the stage of economic growth and political stabilization, it's necessary to open up a creative regional festival which identifies the region. This study focuses on goals of a festival, choosing a targeted market, and customer centered strategies. As regional governments are required to have "entrepreneurship" today, it's crucial to offer what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regarded as "customers" want for a successful festival.

      • 도시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 특성에 관한 연구

        정종원 여수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objective method, combined sensory and instrumental analysis, was desired to evaluation of intensity as well as odor active compounds because malodor is sensory pollution.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materials from muncipal waste landfill at Yeosu city. Target compounds were odor materials such as sulfur compounds, aromatic compounds, ammonia, carbonyl compounds and ketone, fatty acid and amine. The odor intensity and the ammonia concentration at landfill site in Yeosu city was in the orders : R-1 < M-4 < M-1 < M-5 < M-3 < M-2 and R-1 < M-4 < M-5 < M-1 < M-3 < M-2, respectively. Ammonia concentration identified at M-2 and M-3 site was exceeded the Korean odor regulations. The sulfur compounds concentration at landfill site was in the order : (CH3)2S < CH3SH < (CH3)2S2 < H2S. The emission of aromatic compounds were consistently observed at tota1 landfill site. Toluene appeared to be the most abundant one among aromatic compounds. The carbonyl compounds concentration at landfill site was in the order : n-Valeraldehyde < iso-Valeraldehyde < Butyraldehyde < Propionaldehyde < Acetaldehyde. Major odor compounds related at landfill site were found to be sulfur compounds(H2S), aromatic compounds(Toluene) and carbonyl compounds (Acetaldehy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