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담심리 대학원생이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험하는 자기인식과 대인관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성안나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19

        Abstract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xperienced by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tudents in Graduate School Curriculum     Sung, An Na Department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Hanya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experiences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tudents during their master's program, focusing on the implications for their personal lives and counselor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was used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master's students and graduates of counseling-related programs at a graduate schoo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16 subfactors and 4 constructs were deriv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ur constructs were "meeting myself," "experiencing new relationships," "living as myself," and "moving forward as a counselor.   Taken together, the phenomenolog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r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tudents'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experiences during their master'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experiences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tudents in the master's program enabled them to achieve inner maturity and live as "me" and to achieve connection and self-differentia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the empirical knowledge gained through the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tudents'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experiences helped them to develop holistically as counselors. Specifically, they were able to accept their limitations as counselors and to tolerate their own fears and frustrations so that they could tolerate the fears and frustrations of their clients.   Therefore, the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experiences that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tudents experience in the master's program have a reciprocal positive impact on their personal lives and counselor development, promoting their growth as individuals and counselors and achieving holistic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essential importance of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experiences experienced by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tudents in their master's program can be understood as a holistic developmental process of maturing as individuals and as counselo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Key word :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tudents, self-aware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unselor development, phenomenological study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상담심리 대학원생이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험하는 자기인식과 대인관계 경험이 개인적인 삶에 가지는 의미와 상담자 발달에 가지는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보며 참여자들의 경험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원에서 상담 관련 전공을 한 석사 졸업생과 수료생 총 8명과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6개의 하위요소, 4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나 자신과 만나다>, <새로운 관계를 경험하다>, <나답게 살아가다>, <상담자로 나아가다>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상담심리 대학원생이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험하는 자기인식과 대인관계에 대한 현상학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심리 대학원생의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험하는 자기인식과 대인관계 경험은 개인 내적의 성숙을 이루어 가며 ‘나답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였고, 대인관계에서 연결 회복과 자기분화를 이루어 갈 수 있게 하였다. 둘째, 상담심리 대학원생의 자기인식과 대인관계 경험을 통해 습득한 경험적인 지식은 이들이 상담자로서 나아가는데 전인적인 발달을 도왔다. 특히 자신의 한계를 받아들이게 되면서 상담자로서의 한계를 인정하였고 스스로 불안과 좌절을 견딜 수 있게 되면서 내담자의 불안과 좌절을 함께 버텨 줄 수 있었다.   따라서 상담심리 대학원생이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험하는 자기인식과 대인관계 경험은 이들의 개인적 삶과 상담자 발달에 상호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개인으로서, 상담자로서 서로의 성장을 촉진하고 전인적인 발달을 이루어 간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담심리 대학원생이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험하는 자기인식과 대인관계 경험의 본질적 의미는 ‘개인으로서, 상담자로서 성숙 되어 가는 전인적인 발달과정’이라고 이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주제어 : 상담심리 대학원생, 자기인식, 대인관계, 상담자 발달, 현상학적 연구

      • 초심상담자의 완벽주의와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권원주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를 대상으로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에서 활동하는 상담 경험이 1회 이상 있으며, 상담 경력은 3년 이하인 211명의 초심상담자를 대상으로 완벽주의(HMPS),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SDSAS), 심리적 소진(K-CBI),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CERQ) 척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불성실하게 답하거나 무응답한 문항이 있는 3부를 제외한 총 208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1.0 프로그램과 SPSS Macro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earson 상관분석을 진행한 결과, 완벽주의와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심리적 소진 사이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만이 완벽주의와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심리적 소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를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두 가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적응적 정서조절 전략,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 중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이 심리적 소진에 대한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의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PSS Macro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완벽주의가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가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완벽주의 성향이 있는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개입방법들을 논의하였으며, 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 20대 남성 초심상담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준하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 직업군에서 소수자로 종사하는 20대 남성 초심상담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과 대처방식을 탐색하는 것 이다. 특히 본 연구는 상담장면에 서 내담자의 연령과 성별 요인이 20대 남성 초심상담자에게 주는 영향을 중심으로 탐 색하여 기존의 초심상담자 연구에서 미비한 내담자 요인이 초심상담자에게 주는 영향 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실행되었다는 것에도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하여 20대 남성 초심상담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20대 남성 초심상담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과 이에 대한 대처 방식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대 남성 초심상 담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으로 남성상담자로서 경험하는 불편감, 소수의 남성상 담자로서의 존재, 취업전선에서의 불이익, 20대 초심상담자로서 직면하는 어려움의 4 개의 구성요소와 10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대처방식 으로는 상담자로서 의미부여, 상담자의 윤리적 태도 함양, 외부 자원으로 3개의 구성 요소와 8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논의하여,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20's male novice counselors who are minority workers in the counselor occupation group.In particular,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the client's age and gender factors on the 20's male novice counselor in the counseling scene. It is also significant that in the existing studies of novice counselor, additional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insufficient part of the influence of the client factors on the novice counselors. To do thi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7 male novice counselors in their twentie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20's male novice counselors and what are some of the ways to cope with them. The data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 (1) 4 components and 10 sub-components were derived as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20's male novice counselors and the 6components are as follows; Discomfort experienced as a male counselor, Existence as a few male counselors, Disadvantage of employment, Difficulties faced as a 20's novice counselor . (2) 3 components and 8 sub-components were derived as the How to cope with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the 3 components are as follows; Giving meaning as a counselor, Cultivating the ethical attitude of counselors, External Resour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were mad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presented. Keyword : 20's male novice counselor, psychological difficulties, coping method phenomenological stdy,

      • 자기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치성과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이근환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하여 자기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주요 매개변인으로 일치성과 기본심리욕구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2018년 12월 4일부터 12월 30일까지 서울, 경기도, 강원도, 인천, 대전 등의 지역에서 총 407부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중 무응답이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12명을 제외하고 39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1.0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으로 중다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분화, 결혼만족도, 기본심리욕구, 일치성은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자기분화의 경우 일치성과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일치성의 경우 자율성, 관계성, 유능성과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둘째,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일치성과 기본심리욕구(자율성, 관계성,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분화가 높을수록 일치성과 결혼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치성이 높을수록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더 많이 하였고 자기분화와 기본심리욕구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일치성과 기본심리욕구가 매개하는 모형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자기분화가 일치성을 거쳐 결혼만족도로 가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분화가 기본심리욕구를 거쳐 결혼만족도로 가는 간접효과 역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분화가 일치성과 기본심리욕구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결혼만족도로 가는 간접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기본심리욕구 하위변인(자율성, 관계성, 유능성)을 각각 투입한 결과 역시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상담 과정 및 방향 설정에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 동안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에 대한 연구는 다수 있으나,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 사이에 중다매개효과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에 매개변인인 일치성과 기본심리욕구와 그 하위변인들을 검증한 결과 자율성, 관계성, 유능성 모두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함으로써 결혼만족도에 이르는 경로를 이해하는데 보다 구체적이고 논리적인 설명을 제공하였다. 둘째, Bowen과 Satir의 주요 개념인 자기분화와 일치성에 관련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분화가 일치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두 이론을 통한 치료적인 접근과 관련성을 이해하는데 보다 논리적이며 효과적인 방식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이는 하나의 접근보다는 통합된 접근이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으며, 상담 장면에서 두 이론의 적절한 개입 과정과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셋째, 일치성이 기본심리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였다. 부부관계에서 일치성을 이룰수록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원활할 수 있게 될 것임을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내고 있다. 즉, 부부관계에서도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변인이 기본심리욕구 충족인데, 이는 일치성을 통해 가능하게 될 것임을 제안하고 있다. 넷째,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으로서 기본심리욕구의 중요성을 확대하였고 그 중 관계성뿐만 아니라 자율성과 유능감 충족 역시 부부관계에서 중요함을 밝혔다. 선행연구들에서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각각을 살펴본 연구가 적고, 결혼만족도에 관계성만이 영향력이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바 부부 관계에서 자율성, 유능성 충족 역시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담 장면에서 자율성, 유능감에 욕구충족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결혼 불만족을 호소하는 부부를 대상으로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경로를 확인함으로 향후 부부 관계 프로그램 개선과 가족치료 통합 모델을 개발함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상담 장면에서는 Satir의 이론적 접근을 통해 부부 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활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Bowen의 자기분화의 개념은 부부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보다 개인에 초점이 되어 우울, 불안, 이성관계에서 활용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서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가능성과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된 부부 관계를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 하는 데 있어 하나의 근거자료로서 이 연구 결과가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가족치료의 절충적 체계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어 L’Abate는 합리성에 먼저 초점을 맞추고 이후 친밀과 관련된 감정의 영역으로 옮길 수 있음을 언급했다. 합리성 영역은 Bowen으로 대표되고, 감정의 영역은 Satir에 의해 대표된다. 각 이론은 현실의 한 면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두 사람이 눈 앞에 펼쳐진 들녘을 바라볼 때, 한 사람은 푸른 풀들에 시선을 집중하고, 한 사람은 나무들에 주의를 집중하게 되는 것과 같다. 이로 보건데, 가족치료에서 Bowen과 Satir의 이론을 통합하여 활용하는 데 있어 하나의 근거자료로서 이 연구 결과가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결혼만족도에 이르는 구체적인 경로를 확인해볼 수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상담자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 자책의 매개효과와 숙고의 조절효과

        허옥재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자책의 매개효과와 숙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전국의 상담센터 및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상담사 285명을 대상으로 대면 및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심리적 소진 척도(MBI), 내면회된 수치심 척도(ISS), 반추적 반응 척도(K-RR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 변인들의 영향 관계와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기위 하여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식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내면화된 수치심, 심리적 소진, 자책, 숙고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숙고와 심리적 소진, 심리적 소진의 하위 변인 중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의 상관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하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책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의 관계에서 부적절감, 공허감, 실수불안은 정서적 고갈과의 관계에서 유의하였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숙고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의 관계에서, 부적절감은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의 관계에서, 자기처벌은 심리적 소진과 비인간화 그리고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의 관계에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심리적 소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한 연구이며, 매개변인으로 자책과 조절변인으로 숙고를 선정하여 상담자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심리적 소진으로 이어지는 심리적 기제를 구체적으로 확인한 최초 연구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상담현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으로 인해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상담자들에게 자책보다 숙고에 초점을 맞추어 자신을 돌보는 시간을 갖는 것이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는데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주요어: 상담자, 심리적 소진, 내면화된 수치심, 자책, 숙고

      • 초심상담자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 : 정서조절 양식의 매개효과

        정서윤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burn out in expert counselors, not many studies have yet investigated burn out in novice counselors and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f emotion regulation styl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burn out. In this study, 263 novice counselors were recruited to complete the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Revised (ECR-R), Maslach Burnout Inventory(MBI), and Emotion Regulation Style (ERS) in order to explore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burn out. All respondents answe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scales of emotion regulation style consist of three parts: support seeking, avoidance/distraction, and active problem solving. Findings suggest that emotion regulation style may be an important mechanism to consider when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burn out in novice counselors. Although support seeking cannot be concluded, active problem solving is the important role that decreases burnout. In addition, novice counselors are encouraged not to use avoidance/distraction style to decrease burnout.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정서조절 양식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인애착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를 정서조절 양식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소재 심리학회 및 협회, 심리연구소 등에 등록된 현직 상담 인력 중 상담 경력이 3년 미만인 263명의 초심상담자를 대상으로 성인애착유형, 심리적 소진, 정서조절 양식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5.0과 AMOS 24.0을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위해서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타당성을 각각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심상담자의 불안정한 성인애착(회피차원과 불안차원)과 정서조절 양식 및 심리적 소진과 모두 유의하게 관련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불안정한 성인애착은 능동적 정서조절 양식에 부적으로 관련되었고, 능동적 정서조절 양식은 심리적 소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성인애착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에 유의하게 정적으로 관련되고,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은 심리적 소진에 유의하게 정적으로 관련됨을 나타냈다. 넷째, 성인애착은 지지추구적 정서조절 양식에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음으로서 지지추구 양식의 매개역할에 대한 가설은 본 연구에서 지지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배우들을 위한 심리지원 시스템 구축에 관한 예비연구

        노은정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한국 배우들이 연기 후유증(P.D.S.)이나 직업적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인 고통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지원 시스템 구축에 대한 예비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이를 위해 기존의 문헌 자료를 통해 배우심리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영국·호주 등의 최신 연구 결과와 해외의 배우 심리지원 시스템 현황을 제시한다. 이어 배우를 비롯한 엔터테인먼트 업계 담당자등의 각 분야의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와 더불어 제작사, 배우 소속사, 정부 및 비영리 단체, 방송국, 학제적 접근과 연기를 공부하는 학생들에 대한 기초교육 등 다양한 관점에서 심리지원 시스템이 현실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국내 정세와 현황에 맞는 도입 방식을 제언하였다.

      • 기업 상담자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 기업상담 외부모형을 중심으로

        유소희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에서는 기업상담의 여러 가지 유형 중 외부모형 기업상담에 초점을 맞추고, 외부모형 기업상담을 진행하는 외부모형 기업 상담자들이 경험한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해하며, 외부모형 기업 상담자들을 돕기 위한 방안을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외부모형 기업상담 경력 3년 이상, 외부모형 기업상담 사례 수가 100건 이상인 자 중 외부모형 기업상담 장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상담자 1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모집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대면, 전화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 관계 및 상담 과정에서의 어려움, 환경적-상황적 어려움, 어려움 극복 방법의 3영역과 24개의 중심개념으로 구분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외부모형 기업 상담자들의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돕기 위한 방안 및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focus on external model of workplace counseling firms among various types of workplace counseling, examine and underst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xternal counselors who are counseling external model firms, and think about ways to help external counselors I would like to see. To do this, we selected 14 counselors who answered that they had difficulty in counseling the external model company among those who had more than three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more than 100 counseling cases. In additi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was selected to be between 2 and 15 based on the recommendation of Hill et al (2005), an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selected to take into account the locality,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non-business consultation agencies for a representative sele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s with the recruited study participant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a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method.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udy the difficulties of an observable external model corporate counselor more deeply, and to categorize the difficulties to ensur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difficulties in counseling relationship and counseling process, environmental-contextual difficulties, and methods of overcoming difficulties were divided into three areas and 24 central concepts. The first area was divided into six central concepts as it relates to the counseling relationship or the difficulties of the consultation process experienced by external model corporate counselors in conducting the consultation. It included the regret of the short session and the difficulty of intervention, the sudden occurrence of No Show, the difficulty of early termination of the physician, the lack of continuity of consultation, and the tension that persists until the end of the consultation. The second area was divided into eight central areas as it relates to the environmental-contextual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external model corporate consultation. Securing of places as possible consultations of the difficulties, many needs to be a role as a consultant, the lack of protection not easy to catch a counseling schedule, counselor, distant to conduct a case.You must go through the streets including a recession. The third area was divided into seven central concepts, with areas related to how external model workplace counselors overcome difficulties. They included finding out the best possible places to consult, conducting counseling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prioritizing the issue of appeals to visitors, supervision, participating in education, and interacting with colleagues in external model workplace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easur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understanding and helping external model workplace counselors' difficulties were presented.

      •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가연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고등학생의 진로미결정으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전국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독립, 자아정체감, 사회적 관계, 진로미결정 척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2.0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먼저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자아정체감, 사회적 관계, 진로미결정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아정체감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와의 사회적 관계에서는 모든 수준에서, 아버지, 형제자매와의 사회적 관계에서는 평균값 이상에서 확인되었다. 넷째,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에 의한 자아정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 아버지와의 사회적 관계는 모든 수준에서, 형제자매와의 사회적 관계에서는 평균값 이상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미결정으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심리적 독립이 자아정체감을 통해 진로미결정으로 가는 과정에 어머니, 아버지, 형제자매와의 사회적 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진로미결정 해결을 위해 심리적 독립의 향상과 함께 사회적 관계와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이 필요함을 시사할 수 있으며, 진로미결정으로 어려움을 겪는 고등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보다 효과적으로 실질적인 진로상담을 할 수 있을 것을 시사할 수 있다.

      •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의 관계 :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유아의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유경미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요지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유아의 자아탄력성, 유아의 정서지능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유아의 정서지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평택, 청주, 부산 3곳의 유치원과 서울특별시,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평생학습기관 및 성인교육기관, 문화회관 등에서 진행된 온·오프라인 표본을 포함한 만3세~ 5세 자녀를 양육 중이신 어머님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용한 측정도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척도,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척도, 유아의 자아탄력성 척도, 유아의 정서지능 척도이다. SPSS 22버전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광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4버전을 통해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간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최종모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절차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유아의 자아탄력성, 유아의 정서지능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유아의 자아탄력성, 유아의 정서지능의 세 변인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유아의 자아탄력성, 유아의 정서지능은 각각의 서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지능의 매개역할이 확인 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관계에서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매개역할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 따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이 더 높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상담현장에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보다 더 높이기 위해 유아가 위기의 상황들을 견딜 수 있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개인 내적인 힘을 키울 수 있는 자아탄력성과 자신 및 타인간의 정서를 배려할 줄 알고 공감하며 상황에 따라 자신의 정서를 조절 및 통제를 할 줄 아는 정서지능에 초점을 두고 상담에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인 영향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어머니의 심리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유아기 자녀들에게는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을 크게 자극함으로서 친사회적 행동에 이르게 됨을 이해하고 이를 부모 상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유아,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