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교육의 교수, 학습에 관한 실태 연구 : 예술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인정 한양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31

        예술을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Art)인가? 예술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Art)인가? 이 두 가지 예술교육에 관한 의문은 적어도 그 방법론적인 것에서 매우 큰 차이를 갖게 된다. 예술을 통한 교육은 전인교육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적․방법적 기능으로서 예술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며, 예술을 위한 교육은 예술 그 자체의 전문성을 습득하기 위한 목적적 기능으로서의 예술이 존재함을 말한다. 따라서 예술학교에서의 음악교육은 전문성을 위한 목적기능의 교육으로, 보다 높은 성취의 단계를 필요로 함은 물론, 각 전공별의 특수성이 충분히 수용되는 매우 강력한 역동의 힘을 갖추어야만 한다. 특히 예술의 다양한 분야 중에서도 조기교육이 가장 강조되는 예술고등학교의 음악교육은 더욱 세심한 교육적 배려를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학생들의 예술적 감성, 실기의 기량, 신체적 발달이 최고의 성장 토대를 구축하는 시기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떨치는 많은 음악가들을 놓고 볼 때, 그들이 어린 시절, 어디서 어떤 음악교육을 받고 성장하였을까 를 특별히 궁금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들이 한국인임에도 불구하고 그 교육적 성취를 모두 다른 나라의 교육에 힘입어 이루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째서 많은 한국 음악도들은 조기 유학을 위해 미련 없이 다른 나라를 선택하는 것일까? 최근에는 과거의 도피성유학에 비해 상위권 학생들이 앞 다투어 유학을 떠난다고 한다. 그것은 우리나라의 예술 교육이 그들의 예술적 감성을 성장시키고, 역동의 힘을 불러일으키며, 나아가 더 높은 경지에 이르게 하는 교육적 역할에 미흡한 면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상황을 인식하고 예술고등학교의 재학생 및 졸업생, 그리고 직접 교육현장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강사 등 총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 우리가 처한 여러 문제점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진단 분석하였다. 설문의 결과로 예술교육을 목표로 한 특수목적 학교에서 전문교과보다 일반학과의 비중이 훨씬 높게 배정되어 전문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요, 내신 및 대학입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학생들은 일반과목, 전공과목, 전공실기라는 과중한 학과목에 지쳐 그들의 감수성을 잃어 가고있는 현장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청소년 오케스트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미국의 Idyllwild Arts Academy의 교육과정 담당자와 인터뷰하여 그곳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국의 Idyllwild Arts Academy 음악과의 경우 성공적인 전문 음악인을 양성한다는 목표아래, 개인 실기의 능력을 교육 최대의 목표로 강조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의 교육과정과 비교할 때 가장 특이할 만한 것은 각 학년의 최종 이수과정으로 30분의 half 독주와 졸업을 앞둔 경우에는 45분 full 독주를 해야 통과할 수 있는 학과 제도이다. 또한 이 연주를 위해 Movement for Musicians (음악가를 위한 태도) 라는 과목을 이수해야 하는데, 이 과목에는 음악전공자들이 몸 안에 억제된 긴장과 억압을 버리고 자연스럽게 음악에 반응하는 신체자각연습을 하는 과정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The Juilliard School 교육시스템을 도입한 일본의 桐朋 音樂園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는데, 이 학교 또한 모든 과목을 전 학년에 걸쳐 수준별로 실시하고 있었고, 대학까지 일관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상의 설문조사 및 선진 예술교육의 예를 살펴본 바 우리나라의 예술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는 예술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 대한 철저한 재검토 작업이 필요하다. 일반과목의 비중을 줄여야함은 물론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자율권을 최대한 부여하고, 일반과목 또한 전문과목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는, 대학입시 제도의 개선이다. 예술고등학교의 음악과는 음악대학과의 교육과정과 밀접한 연계성을 가지고 운영되어야 하며, 이것은 곧 대학입학의 허락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음악에 관한 철저한 테스트가 아닌 내신이나 수능 점수를 가지고 대학입학의 당락을 결정짓는다면, 특수목적 예술고등학교 본래의 취지를 상실하기 때문이다. 셋째는,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 ‘예술은 곧 돈이다’ 라는 사고방식과 함께, 부모의 권유나 명문대를 가기 위한 수단으로 예술을 선택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타고난 음악인이 아닌 만들어진 음악인이 많다’ 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물론 교육부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예술교육의 전반적인 개선을 검토 중에 있으며, 자율학교 운영 등 진일보한 움직임을 보여왔다. 그러나 자율학교 운영보고서를 놓고 분석할 때 예술고등학교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아직 역부족인 듯 싶다. 이제 우리의 예술교육 현장은 더 이상 어린 예술가에게 척박한 땅으로 존재해서는 안되며, 많은 인재들을 다른 나라의 교육에 의존시키는 예술교육의 형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에게는 다른 나라와는 비교할 수 없는 높은 교육열이 있고, 많은 어린 영재들이 있으며, 무엇보다 그들이 이상적인 교육환경에서 세계와 어깨를 견줄 수 있는 훌륭한 예술가가 되기를 바라는 강한 열망이 있기 때문이다.

      • 불안과 성취동기가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문선아 한양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진로를 선택하고 준비하는데 있어 불안과 성취동기 두 가지 심리적 변인이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또 이러한 관련성이 남학생 과 여학생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소재 하는 4년제 대학교 전체학년 350명의 대학생을 표집하여 특성불안 검사, 성취동기 검사, 진로태도성숙 검사, 진로준비행동 검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불안 및 성취동기와 진로태도성숙 간에 단순상관계수 및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불안 및 성취동기와 진로준비행동 간에 단순상관 계수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단순상관계수를 알아본 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태도성숙과 불안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고, 진로태도 성숙과 성취동기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특히 성취동기 하위요인 중 미래지향성, 책임감요인이 진로태도성숙과 더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불안이 낮을수록 진로태도성숙이 높아지며, 미래에 대한 관심이 많고 책임 감이 강한 높은 성취동기를 보이면 진로태도성숙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또 한 성별에 따른 불안 및 성취동기와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진로준비행동과 불안은 유의하지않은 부적상관을 보였고, 진로 준비행동과 성취동기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특히 성취동기 하위 요인 중 책임감요인에 있어 진로준비행동은 더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자신의 일에 대한 책임감이 강할수록 성취동기가 높은 것으로 그에 따른 진로준비행동도 증가한다는 것이다. 또한 성별에 따른 불안 및 성취 동기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진로준비행동과 진로태도성숙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특히 진로태도성숙 하위요인 중 결정성 요인에 있어 진로준비행동은 더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자신의 진로를 확신 있게 결정하는 성숙한 태도를 보이는 사람은 높은 진로준비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는 진로태도성숙은 불안 및 성취동기와 높은 관련이 있으며,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불안은 약하게 작용하지만 성취동기 는 중요한 심리적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 해킹 범죄의 수법과 대책에 관한 연구

        김영광 한양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15

        범죄는 시대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의 변화된 환경은 인터넷이 단순히 수많은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라는 기술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생활의 전 분야에 걸쳐 조직과 조직, 조직과 개인, 개인과 개인을 서로 연결해 주는 새로운 생활의 터전으로 자리잡고 있다. 정보사회가 도래하면서 생활에서 컴퓨터가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커져 가고 있으며, 거의 모든 영역에서 컴퓨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최근 퍼스널 컴퓨터의 대중화와 인터넷을 통한 컴퓨터 통신의 급격한 성장은 우리 사회 각 분야의 구조를 빠른 속도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사회로의 변화 과정에서 역기능적인 문제로 그 심각성이 매우 우려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해킹 범죄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는 이미 해킹 범죄가 속출하고 새로운 양상을 거듭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책 수립이 미흡한 실정에 있다. 해킹 범죄에 대한 대처 방안은 신중히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정보사회의 확산에 따른 우리 사회의 변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법적, 기술적, 사회적 예방책, 보안대책 등 다양하고 종합적인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킹 범죄에 대한 범죄 수법을 고찰해보고, 보안대책과 기술적, 법적인 접근을 통한 대책 방안을 논해 보고자 한다. 해킹 수법에 대해서는 트로이 목마 등 전통적인 기법과 최신기법으로 네트워크 공격, 로컬 공격, 서비스거부공격, 오버플로 기법 등을 알아보고, 해킹 도구와 보안 도구 등을 고찰해보기로 한다. 해킹 범죄의 특징으로는 해커의 특징, 해킹 객체의 특징, 시스템 상 특징, 사용상 특징, 범죄 면에서의 특징을 고찰해보기로 한다. 보안대책으로는 패스워드 관리, 암호화, 물리적 보안, 방화벽, 로컬 보안, 네트워크보안 등에 대해서 고찰해보기로 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정보사회에 있어서 해킹 범죄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사회 인식 구조의 전환이 필요하다. 즉 일반 사용자는 해킹 범죄에 대한 깊은 관심이 일반화 될 수 있도록 해킹 범죄 예방 교육을 사회교육의 한 부분으로 실시하는 방법도 모색할 수 있다. 또한 해킹 범죄로 피해를 입은 경우 이를 공개함으로써 범죄사례가 국가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기업은 전산보안에 관한 새로운 보안 시스템의 도입이나, 투자를 적극모색 해야 하고, 정부는 나날이 새로운 양상의 해킹 범죄가 발생하고 있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법적인 제도 개선에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프탈레이트 화합물의 내분비계 장애성, 유전자 발현양상 및 DNA 손상유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형태 한양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15

        프탈레이트 계열 화학 물질들은 실제로 산업에서 이용되는 가소제 및 용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류에 대한 이러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일상적인 노출은 대부분 플라스틱제 포장지로부터 음식물로 이동되거나 또는 일반적인 주변 환경의 접촉으로부터 음식물에 유입되어 인간에 노출되리라 사료된다. 이런 물질들의 산업적인 이용이 초기 제품들에 제한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환경 중에 유입되어 환경을 오염시켜 궁극적으로는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현재 이와 같은 위험성이 잠재되어 있는 프탈레이트류 화학물질을 계속 사용하느냐에 대한 논의가 주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인 발암성 및 에스트로젠 활성 등이 보고 되고 있는 프탈레이트류 화학 물질들을 선정하여 내분비계 장애성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기전, 그리고 DNA 손상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근에 보고된 연구결과를 참고로 하여, 7가지의 프탈레이트 계열 화학 물질들의 내분비계 장애성을 검색하기 위해 인간 유방암 세포인 MCF7을 사용하여 E-screen assay를 수행하였다. 본 E-screen assay에서는 dibutyl phthalate (DBP)가 에스트로젠 활성을 보여주었고, 이 결과 및 최근 문헌을 바탕으로 DBP의 에스트로젠, 안드로젠 및 프로제스테론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yeast–based transcriptional assa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DBP는 10^-16 ~ 10^-11 M 농도 범위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 활성을 보여주었으나, 안드로젠과 프로제스테론 수용체에 대해서는 테스토스테론 및 프로제스테론의 활성과 비교할 때 β-galactosidase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DBP의 에스트로젠 활성을 유전자 발현 수준에서 연구하기 위해, E-screen assay에서 결정된 농도를 바탕으로 c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양상을 비교하였다. 각각 17β-estradiol과 DBP로 처리한 MCF7 세포에서 각각 서로 다른 유전자 발현 양상을 확인 하였다. 더불어 모든 화학 물질들이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큰 지표로써 발암성을 갖고 있는지 여부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도 발암성 지표의 하나인, DNA 손상 여부를 comet assay로 확인하였다. Comet assay는 단일 DNA 가닥 손상의 탐지 및 측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가 방법이다. 그러나 연구실간의 다양한 실험환경 및 실험방법이 존재하였으므로, lysis나 unwinding 등과 같은 실험과정에서 최적 조건을 확립한 후, 프탈레이트류 화학물질들이 단일 DNA 가닥 손상을 유발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프탈레이트류 화학물질에 의한 DNA 손상은 유발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플라스틱 제품의 가소제로서 사용되는 프탈레이트 유도체 중의 하나인 DBP는 DNA 손상은 유발하지 않았고, E-screen assay 및 yeast estrongen screen에서 에스트로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유전자 수준에서도 호르몬 물질과는 다른 발현양상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estrogen의 유전자 발현과는 다른 기전으로 내분비 장애성을 나타내는 물질인 것으로 사료된다.

      • 탄소나노튜브 성장 및 플라즈마를 이용한 in-situ 정제에 관한 연구

        강미현 한양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15

        21세기 첨단 전자ㆍ정보화 시대에는 지금까지 가상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표시소자들이 현실로 다가오면서 새로운 개념의 디스플레이가 출현함으로써, 평판디스플레이(LCD, LED, PDP, FED, EL등)를 주축으로 하는 새로운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중에서도 고화질, 고효율, 저소비전력을 장점으로 하는 FED(Field Emission Display)가 차세대 정보 디스플레이소자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FED의 핵심기술은 FED tip 가공기술과 재료의 안정성에 있지만, 기존의 실리콘 팁(Si tip)이나 몰리브덴 팁(Mo tip)등은 가공이 힘들고 전력손실이 클 뿐만 아니라 안정성에 있어서도 문제가 있어 앞으로는 새로운 재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최근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가 독특한 물리적 성질과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지닌 field emitter로써의 적용 가능성이 널리 알려지면서 탄소나노튜브를 FED에 응용하려는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Arc discharge법이나 레이저 승화법 등으로 성장된 탄소나노튜브는 수-수십 nm의 직경과 수 ㎛의 길이를 가지므로 큰 aspect ratio를 갖게된다. 따라서 기존의 팁에 비해 전계증폭인자(β)가 100배 이상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탄소나노튜브는 큰 일함수(5eV)를 갖지만 전계 방출 전압을 낮출 수 있으며 강한 물리적 성질로 인해 방출 전류의 안정성을 보장해 줄 것으로 기대 된다. 그러나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킨 후에는 비정질탄소, 촉매금속 등의 많은 불순물들이 남게된다. 따라서 탄소나노튜브의 성장에 있어 정제공정은 마무리 공정으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공정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정제공정인 여과기, 크로마토그래피, 원심분리기, 산화법 등은 정제 후 paste와 혼합하여 다시 glass에 도포 해야하는 부가공정을 거치게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킨 후 수소 및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in-situ방법으로 성공적으로 정제하고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성장시킨 나노튜브를 가스종류, 시간, 플라즈마 power 등에 따라 정제를 하였다. SEM, Raman spectroscopy, XRD 등으로 탄소나노튜브의 성장을 확인하고, TEM, Rama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나노튜브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 퍼지기법을 적용한 보행자사고 위험분석에 관한 연구

        최영란 한양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15

        교통사고의 유형은 차대차사고, 차대사람사고, 차량단독사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중 차대사람사고 즉, 보행자사고는 우리 나라의 교통사고 중 앞으로도 계속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사고유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행자사고의 위험상황을 평가하기 위하여 보행자사고의 위험수준을 결정할 수 있는 위험분석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인간의 언어와 논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퍼지기법을 적용하였다. 보행자사고 위험분석에 적용한 변수는 보행자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인적요인을 주요 요인으로 고려하였으며, 보행자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는 요인의 결정과 보행자사고의 위험수준과 각 요인들간의 관계는 기존 자료를 조사하는 방법과 전문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는 보행자 행태, 운전자 행태, 보행환경의 세 가지를 위험요인으로 정하였다. 또한 퍼지기법은 퍼지근사추론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위험분석모형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서울시 광진구의 보행자사고 자료를 이용하였고, 사례분석은 5개 지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5개 지점의 분석결과와 실제사고건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인적요인인 운전자 및 보행자의 행태만으로도 실제 사고의 경향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향후 교통량, 속도 등의 교통조건과 노면시인성, 보행자 횡단길이 등과 같은 도로환경측면 등의 고려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효과적인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