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골프장 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김두한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한국골프장 산업의 시대적 변화와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골프인구 와 골프장의 증·감 또는 지역 간의 특성이 가져올 골프장의 내장객 변화추이와 수요예측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활성화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골프장산업과 관련된 각종 참고문헌 및 통계자료와 전문기관들의 자료를 비교분석 이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골프산업의 발전과정이 거론되었다. 골프도입시기부터 1980년대 까지는 전쟁과 골프가 제한적이고 부정적인 면이 강했기 때문에 크게 발전 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1982년 시기부터는 골프장수 및 내장객이 크게 증가하며 발전하다가 1998년도 IMF때 잠시 감소하였고, 2000년도 이후에 들어오면서 프로골퍼 선수들의 활약과 인기로 한국골프장과 내장객은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둘째, 한국 골프장산업의 현주소를 연구하였다. 현재 한국골프장 산업은 수요자 및 지역특성 중심으로 변해가고 있다. 2008년 12월 전국에 운영 중인 골프장은 311개소이고 해마다 증가하여 2015년 이후부터는 골프장수의 증가로 인한 홀당 내장객수의 감소율이 크기 때문에 골프장의 과열경쟁과 가동률 악화로 경영난이 우려된다. 셋째, 골프장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하였다. 지역별 특성과 신규 또는 경쟁력이 없는 골프장은 내장객의 외면과 회원권 가격하락으로 경영이 어려울 전망이므로 지역과 수요자에 맞는 전략적 운영개선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첫째, 정부의 역할로는 골프장을 국민건강을 위한 스포츠시설로서 세금인하, 토지에 대한 규제 완화, 골프장 산업의 활성화와 골프관련 인재양성에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골프장 사주 및 경영자는 이제 부터라도 서비스 비용을 줄이고 지역과 수요자의 차별화 전략을 지향하여 서비스, 코스상태, 각종 편의시설 추가 및 질적 향상으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스포츠로서 사회적 책임을 질줄 알고 모든 국민들에게 더욱 사랑받는 골프가 되기를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도시에는 주거개념과 출퇴근이 가능한 콘도 골프장을, 중소도시에는 권역별 골프장 콘도 등의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복합적인 여가시설과 운영을 함께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넷째, 경쟁시대에 맞게 운영과 서비스의 개선 등 마케팅 능력을 두루 가춘 골프장 전문 경영인 양성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호황기를 누리다가 급격하게 붕괴한 일본골프장과 미국골프장 산업을 교훈삼아 정부, 지방자치단체, 골프장 순으로 활성화 방안역할과 체계적인 관리 인식하여 경쟁적 우위전략을 수립한다면 국내골프장 산업의 성장에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finding way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Korean golf courses industry by understanding problems of demanding forecasting and fluctuations of number of golfers using golf courses caused by total number of golfers, increase or decrease of number of golf courses and regional differences based on analysing changes and current conditions of the industry.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various references, statistical data and information from related institutions in the golf courses industry were compared and analyzed. First, the chronological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golf courses industry was discussed. The industry did not have apparent development from the time of introduction to 1980's caused by the war and limitations and negative misunderstandings of golf. However, there was a large increase in number of golf courses and golfers from 1982 except a temporary decrease in 1998 caused by IMF, and the number of golf courses and golfers increased dramatically with active plays and reputations of professional golfers since 2000. Second,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Korean golf courses industry was studied. Recently, the Korean golf courses industry had been changing depending on consump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 December 2008, the total number of golf courses in the country was 331. The trend of continuous increase of golf courses per year seemed risky for management caused by excessive competition and aggravation in operational profit resulted in decrease of golfers per hole with over numbered golf courses after 2015. Golf courses with n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new or less competitive golf courses must find ways for strategic reform measures of management since it would be even harder to survive in the industry caused by decrease in number of golfers visiting and membership price decrease. To resolve such problems, first, the government had to decrease taxes for golf courses by defining them as sports facilities to enhance the public health as well as supporting for golf courses industry development and golf related employment training. Second, owners and managers of golf courses had to start thinking about ways to obtain popularity of golf by decreasing service charges, providing distinct services for regional golfers, better management of courses, addi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other qualitative changes with the social responsibility as a sports coinciding with the community. Third, golf courses with condominiums, which could satisfy living and playing in major cities, and contracted programs as golf courses with condominiums near train stations in medium and small sized cities must be developed to operate with various leisure facilities. Fourth,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for golf courses management professionals must be provided for better service and creative marketing strategies in this competitive era. Lastly,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golf courses industry would be facilitated if competitive strategies were projected based on recognition of systematic management and roles of executing development plans in the order of the government, regional government and golf courses with the reference of sudden collapses of Japanese golf courses industry and American golf courses industry.

      • 한국어교재 분석을 통한 학습자 단계별 어휘 교육 방안 : - 감정표현 어휘를 중심으로-

        정다희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한국어 감정표현 어휘에 대하여 정확히 이해하여 실제 의사소통 시 자연스럽게 발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감정어휘를 범주 별로 나눠보았다. 다음으로 범주 별로 나눈 감정어휘를 중심으로 제시 양상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또 문제점 분석을 통해 기존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방향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상황에 맞고 정확하게 감정을 표현 할 수 있는 교육 방안에 대해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감정표현 어휘란 인간의 내면에서 느껴지는 정신적 상태임과 동시에 주관적인 것으로 비의도적이고 자극에 의한 반응을 나타내는 어휘를 말한다.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 사례의 분석을 통해 감정표현 어휘를 감정의 하위 6개념으로 보아 ‘기쁨, 분함, 싫음, 두려움, 슬픔, 부끄러움’으로 나눠보았다. 또한 감정표현 어휘를 ‘동사, 명사, 부사, 형용사’형태의 단일형식과 ‘명사+동사’, ‘명사+형용사’형태의 복합형식 또 관용적 감정표현 어휘 세 가지 형태를 모두 감정표현 어휘로 보고 각 교재별로 나오는 감정표현 어휘를 분류하고 분석해 보았다. 우선 6개의 한국어 교육 교재를 선별하여 한국어 감정표현 어휘가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교재는 각각 초급, 중급, 고급 세 단계로 나눠 감정표현 어휘를 표로 정리하였고 교재마다 제시하고 있는 교육 방법에 대한 예시를 넣어 설명해보았다. 그리고 각 교재의 분석 결과를 단계별로 나눠 기존 교육방법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 교재별로 초급, 중급, 고급 단계에서 공통적인 문제점이 나타났다. 초급에서는 한국어 어휘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한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감정표현 어휘에 대한 설명이 되어있지 않았다. 중급에서는 유의 관계에 있는 감정표현 어휘가 많이 출현하였는데 중급도 초급과 마찬가지로 감정표현 어휘에 대한 설명이 되어있지 않아 학습자가 유의어가 아닌 동의어로 착각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마지막으로 고급에서는 비문학적 텍스트의 증가로 감정표현 어휘의 양이 급격히 줄어 학습자가 감정표현 어휘와 접할 기회조차도 적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초급, 중급, 고급 세 과정으로 나눠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세과정은 모두 PPP((Presentation - Practice-Production)모형과 TTT(Task 1 - Teach - Task2)모형을 통해 교수-학습방법을 구성하였다. 초급에서는 주로 이미지와 예시 그리고 일상 속의 대화문을 통해 학습방법을 제시했으며 중급에서는 수필을 통해 유의어와 관련한 감정표현 어휘를 학습하도록 제시하였고 그리고 고급에서는 문학작품에 나오는 등장인물의 상황을 통해 관용적 감정표현 어휘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학습자가 보다 쉽게 한국어 감정표현 어휘를 익히며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고 원활하게 사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learners to get exact understanding about korean vocabulary with expressing emotions so that they naturally speak them in real communication.For this purpose, we categorized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around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n around the categorized vocabulary with expressing emotions, we analyzed its presentation aspects and examined problems in it. And through analyzing those problems, we proposed educational directions and plans which complement shortcomings of existing teaching method and which have learners express their emotions correctly and appropriately in context.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is mental state experienced in inner side of humans. At the same time it is subjective and unintentional, stimulus-response vocabulary. In this article, we analyzed precedent study case and categorized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according to six subordinate concept of emotions, ‘joy, anger, dislike, fear, sorrow, shame’. Also, for single forms like verb, noun, adverb, adjective and composite forms like noun plus verb, noun plus adjective, and idiomatic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we regard all of these three forms as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Then we categorized and analyzed these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in each textbooks. First, we examined how korean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are educated in six selected korean language textbooks. We classified those textbooks according to elementary, intermediate, advanced level and arranged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in table. And we explained each text’s teaching method with example. Then we examined problems in existing teaching method by dividing results of analyzing each textbook by level. In consequence, common problems are appeared in each level of every textbooks. In elementary text, there was no explanation about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although elementary learners lack background knowledge in korean vocabulary. In intermediate level,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in synonymous relation appeared a lot but as in elementary level there was no explanation about those vocabulary so learners can misunderstand synonyms with equivalence. Finally, in advanced level,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rapidly decrease because of increasing nonliterary text so there is little chance for learners to be exposed to those vocabulary.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suggested teaching plans according to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course. All of these three courses composed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PPP((Presentation – Practice-Production) and TTT(Task 1 - Teach – Task2) model. In elementary course we suggested learning method by image, example and everyday dialogue and presented plans to learn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relating to synonyms by essays in intermediate level, and in advanced course, plans for learning idiomatic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by situation of character in literary work was proposed. We see that this helps foreign lear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to acquire korean vocabulary which expresses emotions more easily and use them to communicate correctly and smoothly.

      • 헤어광고에 나타난 아트적 요소가 소비자의 감성 및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내경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Modern consumers' purchasing types are connected with the formation of popular culture that technology and emotion are combined through various information and lead to the period when the value of cultural satisfaction is pursued. Popular culture has the structure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n the basis of advertisement and cultural support. In particular, the position and weight of advertisement have increasingly grown in on-line and off-line such as Internet, a computer, and a smart phone that occupy a deep part in our life and its effect is spreading. Advertisement should provide the end user with need as well as excellence of products and meet their desire for purchase by the need for its ultimate aim to give operating profits to companies. In particular, it is adopted as a means to pursue diversity and originality and used as a technique to mutually collaborate and attack consumers to create profits in marketing where different genres with different individuality meet in different fields. In this sense, companies have developed it by borrowing a form of general and artistic advertisement. Since it leaves a strong visual impression as art collaboration that products and art meet, it can be one strategy of art marketing. Unlike the past, the present advertisement has generally emphasized an image by using various colors and introducing a bold and experimental to break out a conventional frame. This researcher has the need to research the effects of artistic elements in hair advertisement on consumers’ emotion and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Aad). Moreover,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 products and consumers with its focus on advertisement and analyze how emotional response and Aad are changed when hair products’ artistic advertisement is exposed to consumers.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consumers’ emotional response in quantitative evaluation when artistic design is grafted onto hair products advertis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rtistic elements in hair advertisement on consumers’ emotional response and Aad by causal relation between changes in emotional response and end consumers’ Aad.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increases company’s marketing and publicity effects to consumers by grafting artistic design onto hair advertisement.

      • 표고버섯을 이용한 브라운소스의 제조 및 품질특성

        한치원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독특한 향과 더불어 영양성분과 기능성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소스의 부재료로 크게 활용되고 있지 않은 표고버섯을 이용한 브라운소스의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모체소스를 이용하여 표고버섯과 양송이버섯의 적정 첨가량을 관능평가에 의해서 설정하고 이러한 조건에서 제조한 표고버섯 브라운소스와 양송이버섯 브라운소스의 이화학적·관능적 특성 및 색상과 점도에 관한 기계적 특성을 비교·검토하였다. 모체소스에 부재료로 첨가한 표고버섯과 양송이버섯의 적정량을 설정하기 위한 관능평가 결과, 모체소스 200 mL당 표고버섯은 20 g, 양송이버섯은 15 g 첨가구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20 g의 표고버섯과 15 g의 양송이버섯을 첨가하여 제조한 브라운소스의 일반성분, 칼슘 및 아미노산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수분함량은 버섯을 첨가함에 따라 모체소스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버섯의 종류별로는 양송이버섯 브라운소스에 비해 표고버섯 브라운소스의 수분 함량이 낮은 경향이었다. 조단백질 역시 모체소스에 버섯을 첨가함으로써 감소되었으며, 버섯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이와는 달리 탄수화물, 조지방 및 조회분은 버섯을 첨가한 브라운소스의 함량들이 모체소스에 비해 증가하였다. 버섯의 종류별로는 탄수화물은 표고버섯 브라운소스에서, 조지방은 양송이버섯 브라운소스에서 각각 더 많이 증가하였으나 조회분은 버섯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칼슘 함량은 모체소스는 286.87 mg%인데 비해 양송이버섯 브라운소스는 426.22 mg%, 표고버섯 브라운소스는 474.71 mg%로서 버섯을 첨가한 소스에서 칼슘의 함량이 월등하게 증가하였으며, 버섯의 종류별로는 표고버섯 브라운소스의 칼슘 함량이 양송이버섯 브라운소스보다 더 많이 증가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양송이버섯 브라운소스(1,236.45 mg%)>표고버섯 브라운소스(791.73 mg%)>모체소스(707.94 mg%)의 순으로 높았으며,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arginine이었다. 필수아미노산 역시 양송이버섯 브라운소스(401.77 mg%)>표고버섯 브라운소스(296.63 mg%)>모체소스(247.83 mg%)의 순으로 높았으며, 주요 필수아미노산은 arginine, valine, phenylalanine이었다. 아미노산 유도체의 함량은 표고버섯 브라운소스(644.55 mg%)>양송이버섯 브라운소스(595.87 mg%)>모체소스(402.60 mg%)의 순으로 높았으며, 주요 아미노산 유도체들은 모체소스에서는 ammonia>taurine>carnosine>γ-amino isobutyric acid>phospho serine이었으며, 양송이버섯 브라운소스에서는 ammonia>taurine>carnosine>ornithine>γ-amino isobutyric acid이었고, 표고버섯 브라운소스에서는 sarcosine>ammonia>γ-amino isobutyric acid>phospho ethanolamine>carnosine>taurine이었다. 모체소스에 버섯을 첨가한 브라운소스의 색상과 점도의 기계적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L값(명도)은 버섯을 첨가한 양송이버섯 브라운소스와 표고버섯 브라운소스가 각각 29.12±0.36과 32.24±0.99로서 모체소스의 25.20±1.93에 비해 증가하였다.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 역시 버섯 첨가에 의해서 증가되었으며, 버섯의 종류별로는 표고버섯 브라운소스에 비해 양송이버섯 브라운소스의 a값과 b값이 더 높았다. 점도 변화를 보면, 모체소스는 463.33±12.47 cP, 양송이버섯 15 g 첨가 브라운소스는 1976.67±38.59 cP, 표고버섯 20 g 첨가 브라운소스는 2686.67±60.18 cP로서 버섯의 첨가에 의해서 점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부재료로서 양송이버섯과 표고버섯을 최적량으로 첨가한 브라운소스의 관능적인 특성을 비교한 결과, 색상에 대한 기호도는 버섯의 종류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풍미, 맛 및 점도에 대한 기호도는 표고버섯 브라운소스가 양송이버섯 브라운소스보다 더 높았다. 그 결과 종합적인 기호도는 표고버섯 브라운소스(7.1±0.30)가 양송이버섯 브라운소스(6.1±0.54)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풍미에 대한 기호도는 양송이 브라운소스의 5.1±0.83에 비해 표고버섯 브라운소스는 7.6±0.49로서 월등히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모체소스 200 mL에 표고버섯 20 g을 첨가한 표고버섯 브라운소스에 레드와인을 8, 12, 16 mL씩을 첨가하여 행한 관능평가의 결과, 풍미와 점도는 8 mL 첨가구에 비해 12, 16 mL 첨가구가, 맛에 대한 기호도는 8 mL이나 16 mL 첨가구에 비해 12 mL 첨가구가 더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 결과 종합적인 기호도는 12 mL 레드와인 첨가 표고버섯 브라운소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관능평가 결과를 참고로 하여 최적조건(표고버섯 첨가량; 20 g, 와인 첨가량; 12 mL)에서 제조하는 동안의 표고버섯 브라운소스의 점도 변화를 보면, 모체소스는 463.33±12.47 cP, 표고버섯만 첨가한 소스는 2,686.67±60.18 cP, 레시피의 마지막 단계인 와인까지 첨가하여 완성된 표고버섯 브라운소스의 점도는 1653.33±40.97 cP이었다.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of Lentinus edodes as an ingredient of brown sauce was evaluated because Lentinus edodes has not been known to be for making sauce in spite of its excellent flavors, nutrients, and functional effects. The optimal amounts of Lentinus edodes and Agaricus bisporus added to same mother sauce were decided by a sensory evaluation. The differences of Lentinus edodes and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manufactured in these conditions were evaluated based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20 g of Lentinus edodes and 15 g of Agaricus bisporus per 200 mL of mother sauce was selected as an optimized amount, respectively. Brown sauce manufactured in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compared by analyzing the general food composition, the amount of Ca, and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mother sauce was decreased by adding the Lentinus edodes and Agaricus bisporus. The amount of crude proteins in the mother sauce was decreased by adding the Lentinus edodes and Agaricus bisporus, but there was no differences of the amount of crude proteins between them. However, the contents of crude fat, crude ash, and carbohydrate of brown sauce were increased feasibly by adding of mushrooms. The contents of Ca of mother sauce,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and Lentinus edodes brown sauce were 286.87 mg%, 426.22 mg%, and 474.71 mg%, respectively. The amount of total free amino acids was 1,259.46 mg% of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738.72 mg% of Lentinus edodes brown sauce, and 604.04 mg% of mother sauce. Major free amino acids in all samples were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and arginine. The amount of essential amino acids was 401.77 mg% of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296.63 mg% of Lentinus edodes brown sauce, and 247.83 mg% of mother sauce. Major essential amino acids in all samples were arginine, valine, and phenylalanine. Amino acid derivatives was higher in order of Lentinus edodes brown sauce (644.55 mg%)>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595.87 mg%)>mother sauce (405.60 mg%). Major amino acid derivatives in mother sauce were ammonia>taurine>carnosine>γ-amino isobutyric acid>phospho serine. Major amino acid derivatives in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were ammonia>taurine>carnosine>ornithine>γ-amino isobutyric acid. Major amino acid derivatives in Lentinus edodes brown sauce were sarcosine>ammonia>γ-amino isobutyric acid>phospho ethanolamine>carnosine>taurine. The viscosity of mother sauce,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and Lentinus edodes brown sauce were 463.33±12.47 cP, 1976.67±38.59 cP, and 2686.67±60.18 cP, respectively. This results showed higher increase of viscosity by adding mushroom. The L values in color characteristics of mother sauce,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and Lentinus edodes brown sauce were 25.20±1.93, 29.12±0.36, and 32.24±0.99, respectively. The value of a and b by adding mushrooms was greatly increased and the samples were dark brown compared to the mother sauc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s added by the optimal amounts of Agaricus bisporus and Lentinus edodes were compared. The sensory score of color was not different both mushrooms, but those of flavor, taste, and viscosity of Lentinus edodes brown sauce were higher than those of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Also overall acceptability of Lentinus edodes brown sauce was superior than that of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Especially sensory evaluation score on the flavor of Lentinus edodes brown sauce (7.6±0.49) was recorded higher than that (5.1±0.83) of Agaricus bisporus brown sauc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Lentinus edodes brown sauce made by adding 8, 12, 16 mL of red wine to 200 mL of mother sauce were evaluated. In flavor and viscosity, Lentinus edodes brown sauce added with 12 or 16 mL red wine was better than that added with 8 mL. However, the best acceptability on taste was 12 mL added sauce. Therefore, Lentinus edodes brown sauce with 12 mL of red wine was selected to be best. The viscosity of the mother sauce, Lentinus edodes brown sauce without wine, and Lentinus edodes brown sauce with red wine were 463.33±12.47 cP, 2,686.67±60.18 cP, and 1653.33±40.97 cP, respectively.

      • PC 판넬 조립식 옹벽의 적용성 및 효율성 비교 연구

        김인식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논문은 기존의 일반적인 옹벽과 PC 판넬 조립식 옹벽의 구조해석을 실시하고 구조해석의 결과를 비교 · 분석하여 구조 해석적으로 기존의 옹벽보다 PC 판넬 조립식 옹벽이 경제성, 시공성 및 안전성에 대해 우수하고, 옹벽배면에 작용하는 토압 분산에 우수하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PC 판넬 조립식 옹벽이 옹벽구조물로서의 적용성 및 효율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앵커블록의 인발에 대해 검토한 결과 앵커블록의 마찰력이 구조해석 시 앵커 wire에 작용하는 축력값 보다 크므로 PC 판넬 조립식 옹벽의 앵커 블록은 인발에 저항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앵커 wire의 인장 파단에 대한 검토 결과 앵커 wire(SWPC7A)의 인장시험서에 따른 인장하중(16t)이 구조해석 시 앵커 wire에 작용하는 최대 축력(13.01t)보다 크므로 앵커 wire는 인장 파단에 저항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구조해석 결과 최대 전단력의 감소량(%)은 캔틸레버식 옹벽에 비해 PC 판넬 조립식 옹벽은 90.28% 감소함을 알 수 있고, 최대 휨모멘트의 감소량(%)은 캔틸레버식 옹벽에 비해 PC 판넬 조립식 옹벽은 99.23% 감소함을 알 수 있으며, 최대 변위의 감소량(%)은 캔틸레버식 옹벽에 비해 PC 판넬 조립식 옹벽은 97.08%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일반적인 옹벽에 비해 PC 판넬 조립식 옹벽은 감소된 단면력으로 인해 경제적 옹벽 시공을 할 수 있고, 옹벽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분산에 우수하며, 감소된 변위와 보다 안정적이고 사용성에 우수함으로 PC 판넬 조립식 옹벽은 옹벽 구조물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추진기간 단축방안에 관한 연구

        김동성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주택재건축사업은 정비기반시설은 양호하나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비기반시설을 정비하고 주택 등 건축물을 개량하거나 건설하는 사업으로, 주거환경정비수단으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대부분 공동주택으로 재건축 하고 있음으로 신규개발 택지가 부족한 대도시 구도심에서 공동주택의 재건축을 중심으로 주택공급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 주택재건축정비사업은 토지 등 소유자들이 조합을 설립하여 사업시행자로써 추진하는 민간주도 사업으로 여러 절차를 대부분 사업시행자인 조합이 추진하게 규정되어 그동안 재건축사업과 현재 추진중인 많은 재건축사업들을 살펴볼 때 각종 행정절차 이행 토지 등 소유자들 사이의 각종 분쟁, 사업성 저하 등으로 재건축사업 추진 기간이 장기화되어 무산되거나, 높은 정비사업비의 부담으로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택 재건축 정비사업의 문제점을 제도상 지연요인, 사업추진상 지연요인을 살펴본 후 추진기간 단축방안을 제도상 개선방안으로 정비계획 수립추제의 명확화, 안전진단 절차 간소화, 토지 및 건축물의 소유권 확보 방법 개선, 재건축 결의 내용의 명확화를 제시하였다. 재건축 추진 주체 및 내용의 개선방안으로는 토지 등 소유자의 의식개선, 사업시행자인 조합의 역량강화, 철저한 사업성 분성, 정비사업 전문관리업자의 전문성 강화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재건축사업 추진기간 효율적으로 단축하기 위해서는 법령개정 등 제도상 개선방안과 재건축 추진 절차별 추진주체별 전문성 및 역량강화가 조화롭게 이루어 질 때 가능하다. House Reconstruction Project(herein "HRP") have introduced to revis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t the deteriorated facility area with basic infrastructure. HRP have implemented at the central of mega city where are short of residential area which is newly developed. Private land owners should be united to implement the project. This has made the HRP process difficult because of high burden of project finance and long suspension of project period. So, many conflicts between land owners have occurred and the feasibility of the project come to be dropped. Therefore, HRP related paper and researches are reviewed, and problems resulted from system, suspension factors are investigated. Clarification of Renewal plan maker, simplification of safety inspection process, revision of distribution method of land ownership, clarification of the contents of reconstruction decision were revised in the HRP system. And land and facility owners should reformed their consciousness for HRP, the association, that is implementor, should have strong power to execute the HRP, professional entity should suggest the feasibility study for HRP, profession of professional manager for HRP should be enhanced to effectively reduce HRP period. Because this research were studied with limited time and space, those suggested in this research are prat of successive reformation for HRP.

      • 건축물의 외관 및 경관이 도시 이미지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새암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39

        21세기 접어들면서 도시들의 급속한 경제 성장과 첨단 기술의 발달로 도시는 도시민들의 삶에 대한 기대 수준과 요구에 맞춰가며 발전하고 있다. 현대도시에서 도심은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이 집중되어 있는 도시의 중심지역으로 오랜 시간동안 성장 발전해 오면서 도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측면에서 중추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이 이제는 국가의 경쟁력과 세계적인 입지 속에서 비춰지는 발전 수준이 특정 도시의 영향력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도시의 경쟁력이 국가의 세계적 수준을 보여주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도시들은 타 지역의 도시와는 분명히 다른 맥락으로 발전되어 그 도시의 특성에 맞게 도시 정체성을 보여줄 필요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맞춰 건축가들은 차별화 된 도시 이미지를 발전하고 계획함을 추구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현대에 이르면서 이러한 특성을 독립적으로 적용시키기보다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어 이를 살펴보는 일은 향후 현대 건축의 외피 디자인을 예시하고 구축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도시 이미지 형성에 대해 역사적인 변화와 이미지 형성에 따른 도시 이미지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고찰함으로써 더 나아가 도시 이미지발전에 대한 건축물 외피디자인의 영향력에 대해 이론적인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여러 가지 측면과 표현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건축에 있어서의 외피표현과 개념은 변화되고 진화되면서 근대 이전의 외피는 주로 장식과 구조체의 혼합물로써의 입면개념으로 여겨졌지만 근대 건축에서는 구조로부터 자유로워진 외피개념은 표현성과 합리성이라는 두 개념사이에서 연구되어지고 발전되어졌으며, 현대건축에서는 정보매체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표피 또한 다양한 시점에 따라 변화되고 사용되어지고 있다. 현대 건축에 있어서 외피는 더 이상 독립적인 요소가 아닌 구조와 통합되거나 공간 자체를 이루는 요소로 변화되어졌으며 또한 분리되어 생각되어 왔던 외부와 내부 공간의 경계 또한 무너뜨리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도출하였다. 건축물의 외피 디자인은 도시민에게 감각적인 전달 매개체의 기능을 벗어나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환경 속에서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도시민에게 도시 삶의 쾌적성을 위한 컨텐츠 등을 제공하고 있고 이러한 외피 디자인의 감성적이고 상징적이며 시대에 맞춰 변화하는 구조와의 조합 유행에 맞춰가는 패션처럼, 정보를 제공·공유하기 위한 디지털 미디어적인 갖가지 표현방법으로 인해 사회·자연환경의 도시 이미지형성에 도구적인 역할로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축물이 도시민들에게 어떠한 역할을 하고 쾌적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느냐에 따라 도시 이미지는 그것에 걸맞게 기억되고 바뀌게 될 것이다. 건축물만 짓는 것은 무의미 할 것이며 도시 기획에만 집착하는 것도 의미가 없을 것이다. 한 건축물이 어떻게 도시 산업 사슬 혹은 가치 사슬 가운데 중요 요소로 도시 발전을 이끄는 매체로 되는가 하는 것은 각 프로젝트들이 백년 건축물로 발전하는 관건으로 작용될 것이다. 우리는 새로운 사고로 점에서 선으로, 선에서 면으로 발전법칙을 잡은 후 다시 전체 도시 구역으로 확장하여 도시의 구성 요소로 건축을 발전시킴과 동시에 건축을 이용하여 도시의 발전을 촉진하여야 할 것이며, 건축가는 반드시 건축디자인 자체를 벗어나 건축과 도시의 관계를 탐구하여 하나의 건물을 그 지역 발전에 없어서는 안 될 요소가 되도록 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우리나라를 대표하고 각 도시를 대표할 수 있는 건축물들이 나날이 계획되고 설계되고 있지만 아직 선진국들에 비해 미흡한 점들이 많고 뒤처지고 있는 것이 현실임을 알려주고 현대 건축에 있어서 외피디자인의 표현 양상을 이해하고 외피 디자인이 도시 이미지형성을 위해 도시에 가져다주는 여러 표현요소들과 영향들은 사회, 문화 등에 대한 현대 사회 인식변화의 대응으로써 도시 이미지 발전에 의해 그 실현 가능성이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외피의 가능성을 도출 해 낼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이 되고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In 21st century, the rapid development of city’s economic and high technology growth, the city is developing expectation and desire The modern city center has complex and various faculty centred national competitiveness lead to certain city influence, and city’s competitiveness represents the level of country. The architects try in various ways to develop and design different city image that happens more with complex application than with independent application. It is believed to illustrate and build the surface design of modern architecture. This study is about historical change and influential factors of city image formation;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hrough the analysis cases and theoretical consider. In architecture, the expression and idea of surface has been evolved. The surface used as decoration and facade, but the study between expressiveness and rationality enable freer structure in modern architecture, the developed technology that digital, Today, the surface meaning is changed that not only combines the structure, but also stands for the space itself.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building The surface design of buildings citizen sensuous escapes a communication medium function time and space without limit approaching multidimensional for the comfort city life which is emotional and symbolic it changes like a fashion with the times. It is important that how the buildings function and comfort to the citizens, and the image of city will be remembered. Installing the buildings without planning and designing cities with attachment are meaningless. To become an influential building, in the city industry and value link, leads to develop depending on the projects. With critical thinking point to line, line to surface enlarge to entire city. city of structure unit develop beside encourage the advance buildings the architects must escape from architectural design itself.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city so that building effects to develop the area. In my country, the buildings are designing to represent Korea and each city, yet it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 compared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The surface design to modern architecture such influences as social and cultural changing attitude.

      • 인쇄전자적용을 위한 스크린 제판 해상도향상

        신대현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present work describes the new method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screen printing for printed electronics application and it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sensitive emulsion, mesh material, and development method that can improve the resolution of screen printing. For this, through the experiment about resolution, shrinkage rate, and image production capability on sensitive emulsion, the study evaluated the conditions of emulsion to realize fine patterns by analyzing the links between resolution when printed, continuity, and paste omission. Also, for the resolution of stainless mesh and polyester mesh, this study suggested the condition on fine pattern implementation through verification of exposure time, plate shrinkage, resolution, and print abil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and in resolution analysis according to developing method, the study suggested a developing method that improves image reproducibility during printing through simulation of opening area. For this research, the emulsion used WR-100 of Kurita Japan co., that only uses polydiazodinitrophenol as the sensitizer and then the composition of emulsion was 5 kg of emulsion, 90g of sensitizer, 25 g of coloring agent, and 20 g of water, and at this time, the agitation was set as four hours and the degassing time was six hours. As an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temperature was 22C and humidity was 55%. For mesh material in experiment method, stainless mesh and polyester mesh were given identical conditions of frame 1000mm x 1000mm, angle 22.5, and tension 1.00~1.10kgf/cm2. Also, the emulsion thickness was 10 m in this experiment conditions, and the temperature/humidity was 20C/55%. Here, the error range of tension was within 0.05, and the error range of the emulsion thickness was within 0.02. With this, the exposure used parallel exposure machine to classify by each material to maintain optimal conditions for material of plate making. The first of exposure time test consisted of selecting nodes in 10 second intervals to select the best ones after exposure. Then it was divided into five seconds before and after those times in one second intervals for exposure to select the optimal exposure time. To decide on the optimal exposure time, time interval of 10 minutes each session was given for continuous exposure. Vacuum times were 60 seconds for both products. This results implemented through this experiment is as follows. 1. When conducting a printability verification on STS 400-18C(MS) and POLY 420 mesh, dissociation occurred in STS 400-18C(MS) but there was no smearing, tearing, or Splinter phenomenon. It was found that pattern production ability according to print count and condition was uniform for each cell,, and on 55 m line width on the plate making, the printing line width was printed to be over 70 m. Due to Breakout net during printing for POLY 420, it was not verified but when wiping with a wiper, there were traces of emulsion powder. Based on this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TS material was more advantageous for implementation of fine patterns. 2. For implementing fine patterns, the characteristics about the product P-500 produced by Mesi Japan co., and WR-100 and HDS-955W produced by Kurita Japan co., were examined the printability test according to emulsion characteristics during printing 45 m x 55 m. As the result of examining printability test, it was confirmed that WR-100 showed the best balance for each items, which it was a experiment on the resolution, print resolution, print continuity, and paste omission in the perspective of printability. The tests were done for the resolution, shrinkage ratio of plate making, pattern edge, and image reproduction capability 3. This, the automatic developing device showed an excellent results between manual developing device and automatic developing device in the paste omission and print task examine the through the relation of opening area according to resolution. Also,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 automatic developing device showed a an excellent effect about the resolution and image reproduction capability. Thus, linearity was observed with 300 of microscop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utomatic developing device was more advantageous for maintaining study quality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ings like pressure and injection method for fine pattern implementation. It is exhebited that this study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emulsion, mesh material, and development method that can improve the resolution of screen plates from various perspectives for the improvement of screen late resolution improvement for printed electronics application will be utilized in the future by many fields that is realized fine patterns in printed electronics. 본 연구는 인쇄전자 적용을 위한 스크린 제판의 해상도 향상에 관한 연구로써 스크린 제판의 해상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감광유제, 메쉬재질, 현상방법을 제시할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 하였다. 이를 위해 감광유제에서는 제판의 해상도, 수축율, 이미지 재현능력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인쇄시 해상도, 연속성, Paste 빠짐성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미세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유제의 조건을 검토하였다. 또한, 스테인레스 메쉬와 폴리에스테르 메쉬 해상도에 있어서는 각각의 재질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른 노광시간, 제판의 수축율, 해상도 및 인쇄성 검증을 통해 미세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조건을 제시하였고, 현상방법에 따른 해상도 분석에서는 Opening 면적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인쇄작업시 이미지 재현력을 향상 시키는 현상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같은 연구수행을 위해 실험재료 중 감광유제는 감광제로 폴리디아조디페닐아민을 사용한 일본 Kurita 사의 WR-100 유제를 사용하였고, 유제의 조성은 유제 5kg에 감광제 90g, 착색제 25g, 물 20g으로 조성하였다. 이후 교반기기를 사용하여 4시간 실시하였으며, 탈포시간은 6시간 진행하였다. 이때 환경조건으로는 온도는 22℃, 습도는 55%에서 실시하였다. 실험방법 중 메쉬재질에 있어서는 스테인레스 메쉬와 폴리에스테르 메쉬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프레임은 1000㎜×1000㎜, 각도는 22.5°, 텐션은1.00∼1.10kgf/㎠을 주었다. 또한 유제두께는 10㎛, 온도 및 습도는 22℃에서 55% 조건에서 실험 조건을 설정하였, 텐션의 오차범위는 ±0.05이내, 유제두께의 오차범위는 ±0.02 이었다. 이와 함께 노광은 평행 노광기를 사용하여 제판의 재질 및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재질별로 구분하였고, 노광시간 테스트의 처음은 10초 간격으로 노드를 정하여 노광한 후 그들 중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하고 다음 그 시간에서 전후하여 5초 동안씩 1초 간격으로 구분하여 노광하여 최적의 노광시간을 선택하였다. 최적의 노광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연속 노광시 매회 10분간의 시간 간격을 주었으며, 진공시간은 두 제품 모두 60초로 동일하게 하여 실험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해 구현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TS 400-18C(MS)와 POLY 420 메쉬에 대해서 인쇄성 검증을 실시하여, STS 400-18C(MS)에서는 호리현상이 발생되었지만, 번짐, 뜯김, 가시현상은 발생되지 않았고, 각 셀마다의 인쇄상태, 인쇄 횟수에 따른 패턴 재현 능력은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판상의 선폭 55㎛기준대비 해서는 인쇄선폭 70㎛이상으로 인쇄되었다. POLY 420은 인쇄중 망터짐 발생으로 인하여 검증되지 못하였지만, 와이퍼로 닦았을때에 유제가루가 묻어 나왔으며, 이런 결과로 보아 미세패턴 구현은 STS 재질이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미세패턴을 구현하기 위해서 일본 Mesi사에서 생산된 제품명 P-500과 일본 Kurita사에서 생산된 제품명 WR-100 및 HDS-955W 각 유제별 특성과 45㎛×55㎛ 인쇄시 유제특성에 따른 인쇄성을 검토한 결과 동일 조건의 제판을 가지고 제판적인 측면에서 해상도, 제판의 수축율, Pattern Edge, 이미지 재현능력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고, 인쇄성 측면에서 해상도, 인쇄 해상성, 인쇄 연속성, Paste 빠짐성을 실험한 결과 각 항목별로 WR-100이 가장 좋은 밸런스를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수동현상기와 자동현상기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해상도와 이미지 재현력, 즉 직진성은 전자현미경을 사용 300배율로 관찰한 경우 검사시 자동현상기가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해상도에 따른 Opening면적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아본 Paste의 빠짐성과 인쇄작업에서도 자동현상기가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미세패턴 구현을 위해서는 분사방식이나 압력 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동현상기가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쇄전자 적용을 위한 스크린 제판의 해상도 향상을 위해 여러 관점에서 실험하여 스크린 제판의 해상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감광유제, 메쉬재질, 현상방법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한 본 연구결과는 향후 인쇄전자에서 미세패턴을 구현 하는 많은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어깨뼈 아래쪽돌림증후군 대상자에 있어서 어깨뼈 아래쪽돌림근 스트레칭이 팔을 드는 동안 어깨뼈 위쪽돌림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나연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39

        Background and purpose : Scapular alignment impairment changes the length and tension of cervicoscapular muscles and it also affects scapulo-humeral motion. Scapular downward rotation syndrome can influence the muscle activity of the scapular upward rotators and mobility of the scapula due to passive insufficiency of the scapular downward rot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apular downward rotator stretch exercises on the muscle activity of scapular upward rotators during arm elevation in subjects with scapular downward rotation syndrome. Methods : Sixteen people with scapular downward rotation syndrome participated and twenty one shoulders were targeted. Subjects performed three stretching exercises for twenty minutes to stretch the scapular downward rotator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tretching exercises, the muscle activity of the levator scapula, upper trapezius, low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muscles were measured at shoulder flexions of 90˚, 120˚, and 150˚ pre- and post-exercise. All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by surface electromyography to obtain a root mean square value. The muscle activity for each muscle group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mean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Two-way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muscle activity pre- and post-exercise, and according to shoulder flexion angles. Bonferroni correction was used for the post-test (α=.05). If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 paired-sample t-test was performed at α=.017 (05/3). Results :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uscle activity for the shoulder flexion angles, the activity of the levator scapular, upp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musc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17). However, lower trapezius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greater at a shoulder flexion of 150° (p<.017). As a result of comparing muscle activity pre- and post-exercise and at different shoulder flexion angles, analysis showed that levator scapular and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a shoulder flexion of 150° (p<.017). In addition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a shoulder flexion of 120°, and 150° (p<.017). Lower trapezius muscl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shoulder flexion angles and pre- and post-exercise (p>.017).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scapular downward rotator muscle stretching exercises should be performed before strengthening exercises to improve the mobility of people with scapular downward rotation syndr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