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축발 운동이 수정된 브로스트롬법 수술 환자의 발 내재근 단면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지환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발목관절의 수정된 브로스트롬법 수술 환자에게 단축발 운동을 시행하여 발 내재근 단면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수정된 브로스트롬법 수술 후 발목재활운동치료를 시행하는 환자 16명을 연구군 8명과 대조군 8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연구군은 기본물리치료와 단축발 운동 및 발목재활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기본물리치료와 발목재활프로그램을 4주간 주 3회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엄지벌림근의 단면적에서는 두 군 모두 중재 전·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군 간 중재에 따른 효과 차이 비교에서는 연구군이 더 많은 변화량을 보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동적 균형능력에서는 두 군 모두 중재 전·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군 간 중재에 따른 효과 차이 비교에서는 연구군이 더 많은 변화량을 보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정적 균형능력에서 압력중심의 면적은 두 군 모두 변화량에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군 간 중재에 따른 효과 차이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압력중심의 동요속도는 중재 후 두 군 모두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나(p<.05), 군 간 중재에 따른 효과 차이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위의 결과로 보아, 수정된 브로스트롬법 수술 환자에게 단축발 운동의 적용은 정적 균형능력 향상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그 변화량에는 차이가 있었고, 엄지벌림근의 단면적 증가와 동적 균형능력 향상에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수정된 브로스트롬법 수술을 받은 환자의 자세 조절과 균형능력 향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풋 코어 시스템의 능동적 하위 시스템 영역인 단축발 운동이 발목관절 수술 환자에게 발 내재근 및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ort foot exercise 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rinsic foot muscle and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ho underwent modified Broström operation of the ankle joint.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16 patients participating in ankle rehabilitation exercises following the modified Broström operation. Patie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n = 8) and control (n = 8) groups. General physical therapy, short foot exercises, and ankle rehabilitation program were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general physical therapy and ankle rehabilitation program were performed in the control group.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three sessions per week for 4 week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bductor hallucis muscl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05). When comparing the interventional effects,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reat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p<.05). Both groups also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dynamic balance ability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05). When comparing interventional effects on the dynamic balance ability between groups, changes were also grea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p<.05). Both groups showed changes in static balance ability, bu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p>.05); moreover, comparison of interventional effects on static balance ability between groups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5).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way speed of center of pressur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p<.05); however, comparison of interventional effects on the sway speed of center of pressure between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5). Based on the findings described above, performing short foot exercises in patients who had undergone modified Broström operation was found to show changes in static balance ability, but without significant improvement, whereas it successfully increas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bductor hallucis muscle and improved dynamic balance. Therefore, to improve posture control and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ho underwent modified Broström operation, short foot exercises,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promoting intrinsic foot muscle and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ho underwent ankle joint surgery.

      • Differences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tween Paretic Side and Non Paretic Side of Hemiplegic Stroke Patients : 반신마비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전기적 특성의 차이

        Won-Deok Lee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55

        Background and Purpose In stroke patients,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functional tasks performed by hemiplegic hands show improvement after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and that FES improved the walking ability of stroke subjects. Thus, electrical properties through rheobase and chronaxie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electrotherapy for rehabilitation. Because electrical properties affect electric current, the appropriate adjustment of electric current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this for stroke patients, the studies that aim at electrical characteristics used by rheobase and chronaxie as well a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re even scarcer. Therefore, we felt that there is a need for a study investigating objective clinical analysis of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Methods For the study, 20 participants (10 females, 10 males ; weight: 55.9 ± 3.3 kg; height: 159.3 ± 1.9 cm) were recruited from B hospital located in Yongin, Korea. And Duo 500 is used as rheobase and chronaxies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measurement equipment Results The rheobase and chronaxie properties of stroke pati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paretic and non-paretic sides. Rheobase was significantly higher on the paretic side than on the non-paretic side of hemiplegic stroke patients (nonparetic; 12.0 ± 0.2 mA, paretic 15.2 ± 0.3 mA). Furthermore, chronaxie was significantly higher on the paretic side than on the non-paretic side of hemiplegic stroke patients (nonparetic; 0.1 ± 0.02 ms, paretic 0.24 ± 0.05 ms). The amplitude of F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paretic side (36.7 ± 2.0 mA) than on the nonparetic side (29.5 ± 1.6 mA) of the hemiplegic stroke patients. Conclusions We could more systemic and professionally separate in difference of body electrical characteristics from Non-paretic side compared to paretic side. Through this systemic and professional separate, we can accurate in testing and cautious in making decisions when treating is needed. And we make a proper rehabilitation program and accomplish proper electronic therapy. Since few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different muscles, we consider the present results are meaningful for physical therapy Key words: Rheobase, Chronaxie,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전의 연구에서 마비 측 손의 기능적인 과업 수행의 향상이 전기 자극 치료 후에 보여졌고, 기능적 전기 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을 향상시켰다는 내용이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시치와 기전류, 기능적 전기자극을 통한 전기적 적정성이 재활을 위한 전기 치료에 중요한 요소이다. 왜냐하면, 전기적 적정성이 전류에 영향을 주고, 적절한 전류의 조정이 재활의 효과를 증가 시키기 때문이다. 뇌졸중 환자에게서 이러한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기능적 전기자극 뿐 아니라 기전류와 시치를 이용하는 전기적인 특성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전기적인 특성의 객관적이고 임상적인 연구분석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용인의 B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20명의 참가자(10 여성, 10 남성 ; 몸무게: 55.9 ± 3.3 kg; 키: 159.3 ± 1.9 cm)가 지원을 했다. 그리고 전기 자극 장치로 기전류와 시치 그리고 기능적 전기 자극을 위해 DUO 500장치가 사용되었다. 뇌졸중 환자의 기전류와 시치의 적정성을 마비측과 비마비측을 비교하였다. 기전류는 마비측이 비마비측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비마비측; 12.0 ± 0.2mA, 마비측 15.2 ± 0.3mA). 더욱이 시치도 마비측이 비마비측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비마비측; 0.1 ± 0.02 ms, 마비측; 0.24 ± 0.05 ms). 기능적 전기 자극의 진폭도 마비측 (36.7±2.0mA)이 비마비측 (29.5±1.6mA) 보다 유의하게 증가했다. 우리는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신체 전기적 특성의 차이를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구분 할 수 있었다. 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분석을 통하여 우리는 치료가 필요할 시에 정확한 측정과 주의 깊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적절한 재활 프로그램과 적절한 전기치료를 수행 할 수 있다. 후에, 몇몇의 연구가 다른 근육에도 수행된다면 우리는 현재의 결과가 물리치료에 의미 있는 결과가 되리라 생각된다.

      • Analysis of physical components and cardiovascular states-associ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people using a senior welfare center

        노공숙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655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analyze and to confirm the body components and cardiovascular disease between participants in their 70s and 80s seniors, and to contribute to current research on senior specialized rehabilitation its clinical methods in terms of its application and significance for nanophysiotherapy research. Methods The volunteers of this research include 103 male (physical components: 26) senior and 99 female (physical components: 30) senior who were registered in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Jeon-Ra province, Korea. To confirm physical components, a skin contacted electronic method was applied. Furthermore, indirect blood pressure such as systolic and diastolic pressure was measured using a automatic blood pressure analyzer (EASY X 800 R/L, Jawon Med. Co., Korea) with automatic blood pressure analyzer with monitor system. Results The basal metabolic rate values in female senio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male seniors. The fitness score in female seniors was also higher than those of the male seniors. The total body water, protein, mineral, fat free mass, skeletal muscle mass, segmental lean body mass, and soft lean mass values in male seni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female seniors. The body mass index, impedence, waist-hip ratio, body fat mass, and body fat ratio in female senior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male seniors. Furthermore, in cardiovascular disease groups with medication, the blood pressure in female senior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male seniors. In particular, in male senior groups, the blood pressure in medication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n-medication groups. However, in female senior groups, the blood pressure in medication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non-medication group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can be suggested as followed. The male senior showed more significant increases in skeletal muscle mass, fat free mass, basal metabolic rate, total body water, protein, mineral, and segmental lean body mass than did female senior using welfare center. In contrst, the waist-hip ratio, body fat ratio, impedence of male senior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decreases than female seniors. Based on these results, physiotherapists should be, at least in part, accurate in diagnosis and cautious decisions of treatments when application of physical modalities is need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치료 영역 중 노인전문 재활영역의 연구 및 임상적용 등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하여,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70, 80대 연령층의 어르신을 대상으로 체성분 분석과 심혈관질환의 특성 분석, 삶의 질을 추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 자원한 대상자는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70, 80대 연령층의 남성 및 여성노인으로서, 남성노인 103명과 여성노인 99명이 자원하였다. 특히, 남성노인 103명 중에서 26명과 여성노인 99명 중에서 30명은 체성분측정에 참여하였다. 체성분분석은 피부접촉 방식의 전자측정과 심장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을 전자측정장비 (EASY X 800 R/L, Jawon Med. Co., Korea)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체성분 측정분석의 결과, 기초대사율은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감소를 나타냈다. 신체건강점수는 오히려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증가를 나타냈다. 총수분량, 단백질, 무기질, 제지방량, 골격근량, 신체부위별 제지방량 및 부분적 제지방량은 각각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증가를 나타냈다. 반면, 신체질량지수, 임피던스, 허리-엉덩이 비율,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은 여성노인에서 남성노인에 비해 증가를 나타냈다. 한편, 심혈관질환 이환 유무에 대한 노인들의 특성분석의 결과, 혈압약을 복용하는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혈압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노인의 경우, 혈압약을 복용하는 고혈압이환 노인에서 약을 복용하지 않는 대조군에 비해 혈압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성노인에서는 혈압약을 복용하는 복용군에서 혈압약을 복용하지 않는 대조군에 비해 수축 및 이완기 혈압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남성노인에서 여성노인에 비해 골격근량, 제지방량, 기초대사율, 총수분량, 단백질, 미네랄 및 부위별 제지방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허리-엉덩이 비율, 체지방률 및 임피던스는 여성노인에 비해 남성노인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물리치료사가 임상에서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물리치료를 적용할 때, 보다 정확한 검진과 적절한 치료의 수행에 부분적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다 사료된다.

      •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및 몸통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경수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lacebo FES, paretic side FES, and both side FES on the respiratory function and trunk control ability of stroke patients during ex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in stroke patients. In this study, 33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separate groups each consisting of 11 patients(placebo FES combined with EMST group, paretic side FES combined with EMST group, and both side FES combined with EMST training group). The patients underwent three sessions of designated intervention per week for four week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Changes in lu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FVC, FEV1, PEF in all three groups (p<.05).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hree groups, paretic side FES combined with EMST group and both side FES combined with EMST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FVC, FEV1, PEF compared to the placebo FES combined with EMST group(p<.05).Changes in the trunk impairment scale were significant increas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coordination, and total score of trunk impairment scale in paretic side FES combined with EMST group and both side FES combined with EMST group (p<.05), and in the placebo FES combined with EMST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only in the total score of the trunk impairment scale (p<.05).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hree groups, paretic side FES combined with EMST group and both side FES combined with EMS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dynamic balance, coordination, and total score of the trunk impairment scale compared to the placebo FES combined with EMST group.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pplied in this study is the effective method to improve respiratory function and trunk control ability during the ex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of stroke patients, and the application o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paretic side and both sides had no difference in the effect on respiratory function and trunk control ability during ex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in stroke patients.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날숨근 강화 훈련 시 복부근에 가짜 기능적 전기자극, 마비측 기능적 전기자극, 양측 기능적 전기자극을 적용하였을 때 뇌 졸중 환자의 호흡 기능과 몸통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33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짜 기능적 전기자 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 훈련군, 마비측 기능적 전기 자극을 결합 한 날숨근 강화 훈련군, 양측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 훈련군으로 11명씩 나누어 주 3회 4주간 중재를 진행하였고, 결 과는 다음과 같다.뇌졸중 환자의 폐기능 변화는 세 군 모두 FVC, FEV1, PEF에서 중재 전·후에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5). 세 군간 비교에서는 마비측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 훈련군과 양측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 훈련군이 가짜 기능적 전기 자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 훈련군보다 FVC, FEV1, PEF에서 유 의한 증가를 보였다(p<.05)호흡 압력 변화는 세 군 모두 MEP에서 중재 전·후에 유의한 증 가가 있었고(p<.01), 가짜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 훈련군의 경우 MIP에서만 중재 전·후에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p<.05). 세 군간 비교에서는 마비측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날 숨근 강화 훈련군과 양측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훈련군이 가짜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 훈련군보다 MEP, MPE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몸통손상척도 변화는 마비측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날숨근강화 훈련군과 양측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 훈련 군의 경우 정적균형, 동적균형, 협응력, 몸통손상척도 총점에서 중재 전·후에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p<.05), 가짜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 훈련군의 경우 몸통손상척도 총점에서만 중재 전·후에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5). 세 군간 비교에서는 마비측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 훈련군과 양측 기능적 전 기자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 훈련군이 가짜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날숨근 강화 훈련군보다 동적균형, 협응력, 몸통손상척도 총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1) 위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 적용된 기능적 전기자극은 뇌졸중 환자의 날숨근 강화 훈련 시 호흡기능과 몸통조절능력을 향상시키 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고, 마비측과 양측 기능적 전기자극의 적용은 뇌졸중 환자의 날숨근 강화 훈련 시 호흡 기능과 몸통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뒤로걷기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김병후 용인대학교재활복지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0639

        본 연구의 목적은 뒤로걷기훈련이 발목관절가동범위,발바닥압력,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성남시 소재의 B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32명의 편마비 환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자를 무작위 배정으로 연구 군과 대조군을 각 16명씩 배정하였다. 연구군은 뒤로걷기훈련,대조군은 관 절가동운동,신장운동 및 근력강화운동 등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진행하였 다. 중재는 1회 30분,주 3회,6주 동안 실시하였다.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발목관절가동범위,발바닥압력,안정성 한계,기능적팔뻗기검사,버그균 형척도,보행속도,한발짝길이,한발짝률과 지면반발력을 평가하였다. 연구 첫째,뒤로걷기훈련을 받은 연구군은 마비쪽 발목관절가동범위에 증가 가 있었으며(p<001),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01). 둘째,뒤로걷기훈련을 받은 연구군은 신체 좌•우 대칭성 회복에 유의 한 차이가 있었으며(p<.01),마비쪽 발꿈치 체중분배율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좌•우 체중분배율 편차와 마비쪽 발꿈치 체중분배율 변 화의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셋째,뒤로걷기훈련을 받은 연구군은 균형능력을 평가한 안정성한계 면적 값 변 화 의 유 의 한 차 이 가 있 었 으 며 ( p < 0 01) ,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p<.05). 기능적팔뻗기검사,버그균형척도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넷 째 , 뒤 로 걷 기 훈 련 을 받 은 연구군은 보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보행속도 (p<.05), 한발짝길이(p<05)와 한발짝를(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지면반발력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K.001),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는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뒤로걷기 훈련을 제시하였다. 중재 전 • 후 편마비 환자의 마비쪽 발목관절가동범위 향상과 발바닥압력의 변화,균형과 보행능력의 향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뒤로걷기훈련은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 회복에 효과적인 중재방 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 용어 : 균형,뇌졸중,뒤로걷기,보행,종아리근,편마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kward walking training on range of motion of ankle joint, foot pressure, balance and gait. A total of 32 patients with hemiplegia admitted to B hospital in Seongnam-si, Gyeonggi—do,who met the participant selection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16 participants in each group, study group performed backward walking training; while control group perform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such as joint mobilization exercise, stretching exercise,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Each group performed the respective intervention for six weeks, three times a week, 30 min per session, range of motion of ankle joint, foot pressure, limits of stability, functional reach test, Berg balance scale, gait velocity, step length, cadence, and ground reaction force were evalua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y group that underwent backward walking trainin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range of motion of ankle joint of the affected side post-intervention(/K.001) compared to control group(p<.01). Second, study group that underwent backward walking training showed a significant recovery of left • right symmetry (p< .01) with significantly improved weight distribution at the hind foot of the affected side(p<.01). study group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difference between left • right weight distribution and changes in the weight distribution at the hind foot of the affected side compared to control group(p<.05). Third, study group that underwent backward walking training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limits of stability area, which evaluated balance, post-intervention(p<.001),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p<.05). Additionally, study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functional reach test and Berg balance scale post-intervention(p<.(X)l)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P〈.01). Fourth, study group that underwent backward walking training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gait velocity(p<.05), step length(p<.05), and cadence(p<.01), which evaluated gait ability, post-intervention. However, the increase was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to that in control group(p〉.05). Study group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ground reaction force post-intervention(p<001) compared to control group(p<.05).In this study, backward walking training was proposed to improve balance and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hemiplegia, backward walking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range of motion and control of ankle joint of the affected side, balance, and gait ability.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backward walking training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storing balance and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hemiplegia. Key words : Backward walking, Balance, Calf muscle, Gait, Hemiplegia, Stroke.

      • 복부 끌어당김 조정 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및 복부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윤정현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복부 끌어당김 조정 훈련이 폐 기능과 복부 근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이해 및 치료적 효율성을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B 재활병원과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K 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 14명(남자 10명, 여자 4명)이었다. 평균 나이는 복부 끌어당김 조정 훈련군은 50.57세였으며 일반 물리치료군은 53.28세였다. 평균 유병기간은 13.21달이었다. 복부 끌어당김 조정 훈련을 시행하기 전에 모든 대상자는 폐 기능 검사 시 나올 수 있는 변인인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1초간 노력성호기량(Force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1 )과 최대 호기 유속(Peak Expiratory Flow: PEF)을 측정하였다. 또한, 근 활성도를 보기 위해 노력성호기 검사 시 마비 측 복부 근육인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배가로근에 근전도 전극을 부착하여 측정하였다. 복부 끌어당김 조정 훈련군은 복부 끌어당김 조정 훈련을 6주간 시행하였으며, 주 5일 일일 3세트 세트당 10회 수축하였고, 일반 물리치료군은 일반 재활병원에서 받는 물리치료를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 복부 끌어당김 조정 훈련군의 폐 기능의 변인 중 FVC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FEV1와 PEF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복부 근육 활성도는 배바깥빗근과 배가로근, 배속빗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5), 배곧은근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일반 물리치료군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두 그룹간의 차이는 폐 기능 변인들 중에 FVC은 복부 끌어당김 조정 훈련군이 일반 물리치료군보다 증가 하여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으며, 복부근육의 활성도에서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 배가로근은 높게 나왔지만 배속빗근과 배가로근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배곧은근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보아 복부 끌어당김 조정 훈련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증진에 효율적이며 복부 근육 활성도에도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on pulmonary function and abdominal muscles of chronic stroke patients, an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stroke patients and therapeutic efficiency in the clinical field. This study targeted 14 patients(10 males and 4 females) in B rehabilitation hospital,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K rehabilitation hospital, Seoul Metropolitan City. The average age of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group and general physical therapy group was respectively, 50.57 years old, and 53.28 years old. The average disease duration was 13.21 months. Before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s variables that could be shown during pulmonary function test, Forced Vital Capacity(FVC), Force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FEV1) and Peak Expiratory Flow(PEF) of all the subjects were measured. Also, the EMG (electromyogram) electrode was attached to rectus abdominis,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nd transversus abdominis which are abdominal muscles of the paretic side to measure muscles activation during forced expiration test.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group performed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for six weeks(ten contractions per set, three sets per day for five days a week), and the general physical therapy group received physical therapy in the general rehabilitation hospital. As the result, in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group, FVC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5), but FEV1 and PEF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p>.05). In relation to abdominal muscles activation, external oblique, transversus abdominis and internal obliqu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5),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rectus abdominis(p>.05). In the general physical therapy group, all the variables didn't displa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5).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VC between two groups(p<.05), since in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group, it increased more than in the general physical therapy group, and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nd transversus abdominis showed high muscles activation,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between internal oblique and transversus abdominis(p<.05). Rectus abdomini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is efficient in enhancing pulmonary fun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and influences abdominal muscles activation, too.

      • 간접화행 및 마음이해 능력 발달 특성 : 만 5세에서 초등 3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장희윤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indirect speech behavior and mind understanding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 students aged 5-6, 11 students in the first year, 12 students in the second year, and 9 students in the third year. In order to evaluate the ability to understand indirect speech action, a total of 20 indirect speech action tasks were produced according to the sentence type and speech action func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ability to understand mind, a total of 26 questions were produced, including the first false belief, the second false belief, deception, and hidden mea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score increased as the age increased in the ability to understand indirect speech behavior by age. Indirect speech act comprehension according to sentence type and speech act function showed that scores increased as the age increased, and all showed the main effect. In sentence type,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ability was higher in plain preface and in asking for speech act function. Second, the ability to perform mind-understanding tasks by age increased as the age increas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f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the 1st, 2nd and 3rd graders was not significant. Main effects were found between age groups and between task typs. There was also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task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mind-understanding task, the pattern of the difference in scores by age was different. Third, the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indirect speech understanding, mind comprehension ability,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syntax comprehension ability, and number-based speaking ability. As a resul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indirect speech and understanding of mind(r=0.703).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task, indirect speech act and mind comprehension ability show a high correlation with language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school life of children with defects in speech ability, especially school-age children, mediation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indirect speech act and mind understanding ability. 본 연구는 일반아동의 간접화행 및 마음이해 능력 발달 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6세 11명, 1학년 11명, 2학년 12명, 3학년 9명이다. 간접화행 이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문장유형과 화행기능에 따라 총 20문항의 간접화행 과제를 제작하였다. 또한 마음이해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일차 틀린 믿음, 이차 틀린 믿음, 속임수, 숨은 의미를 포함하여 총 26문항의 마음이해 과제를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별 간접화행 이해 수행력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수행점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장유형과 화행기능에 따른 간접화행 이해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유형에서 모두 주효과가 나타났다. 문장유형에서는 평서문에서, 화행기능에서는 요구하기에서 수행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 마음이해 과제 수행력 또한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점수도 증가하였다. 학령전기와 1학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 2, 3학년의 점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집단 간 주효과 및 과제유형 간 주효과가 나타났으며, 연령과 과제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났다. 마음이해 과제 유형에 따른 연령별 점수 차이의 패턴이 다르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간접화행 이해, 마음이해 능력, 수용어휘 능력, 구문이해 능력, 숫자 따라 말하기 능력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간접화행과 마음이해 간(r=0.703)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언어적으로 제시한 본 과제의 특성에 따라 간접화행 및 마음이해 능력이 언어능력과도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화용능력에 결함이 있는 아동, 특히 학령기 아동의 원만한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을 위하여 간접화행 및 마음이해 능력을 고려하여 중재하여야 할 것이다.

      •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위등세모근의 근긴장도 감소 훈련이 척수손상환자의 어깨 통증에 미치는 영향

        정진왕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39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G biofeedback guided relaxation exercises on upper trapezius to decrease tone and reduction shoulder pain in manual wheelchair users with spinal cord injury (SCI). Subjects & Method Twenty four manual wheelchair users patients with SCI with C7 or lower whom had their onset less than 2 years were assigned randomly to 1 of 2 interventions. Exercise group (N=12) was instructed to do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 to decrease shoulder pain.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 (N=12) was assigned to do the same program plus EMG biofeedback training to improve muscle relaxation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Frequency of exercises was once a day, a minimum of 5 days a week for each group. The level of pain was measured by WUSPI(Wheelchair User’s Shoulder Pain Index), and Myoton®PRO was utilized to measure the changes in tone, stiffness and elasticity of the upper trapezius at baseline 1 and 2, at post-intervention 10 weeks after the start of intervention. Normality test regarding the data was performed by Sharpiro-Wilk test. paired t-test and ANCOV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for statistical inspection was set as .05 Results Baseline 2 to post-interven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WUSPI scores 44.25±11.64 to 32.12±16.45 in exercise group(p<.001). Baseline 2 to post-interven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WUSPI scores 40.35±14.16 to 20.08±8.98 in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p<.001).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houlder pain reduction compared to exercise group after intervention(p<.05). Comparison of bilateral upper trapezius muscle tone, stiffness between exercise group and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 from baseline 2 to post-intervention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p<.05). However, in both group, elastic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p >.05).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upper trapezius stiffness reduction compare to the exercise group after intervention(p<.05), however, bilateral upper trapezius muscle tone, elasticity and right stiffnes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p >.05). Conclusion The exercise group using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and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 using relaxation exercise for upper trapezius both groups appear to show positive effects in the shoulder pain reduction.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shoulder pain reduction in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 was significant than exercise group without EMG biofeedback. Individual with spinal cord injury often develop shoulder pain during the initial rehabilitation process, the pattern seems to be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pain at a later time which may have a major impact on their quality of life. Therefore, prevention of the occurrence of shoulder pain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in acute stage and will require the study for a variety of treatment programs to recovery. 본 연구는 수동형 휠체어 사용 척수손상환자 중 어깨 통증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통한 위등세모근의 근긴장도 감소가 어깨 통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충족되며 어깨 통증을 가지고 있는 발병 후 2년 이내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입원 중인 척수손상환자 24명을 두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운동치료군(N=12)은 근력강화 및 스트레칭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치료군(N=12)은 운동프로그램과 위등세모근의 근긴장도를 감소시키는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같이 수행하였다. 각각의 운동프로그램은 8주간 주 5일 이상, 1회 운동 시간은 50분이 소요되었다. 통증의 변화는 WUSPI(Wheelchair User’s Shoulder Pain Index)를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위등세모근의 긴장도, 경도, 탄성을 측정하기 위해 Myoton®PRO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8주간의 중재과정 후 어깨 통증의 변화를 WUSPI로 측정한 결과 운동치료군은 44.25±11.64점에서 32.12±16.45점으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치료군도 40.35±14.16점에서 20.08±8.98점으로 감소를 보이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그룹 간 운동방법에 따른 통증의 변화량을 보기 위한 검정에서 운동치료군보다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치료군에서 통증감소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위등세모근의 긴장도, 경도, 탄성 변화를 중재 전, 후에 측정한 결과, 운동치료군의 긴장도는 왼쪽이 18.40±2.29㎐에서 16.50±1.46㎐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오른쪽도 19.07±2.21㎐에서 16.73±1.41㎐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경도 측정에서 왼쪽은 350.33±57.49N/m에서 305.83±30.48N/m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오른쪽에서도 374.08±63.81N/m에서 313.25±32.24N/m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탄성 변화 측정에서 왼쪽은 1.07±0.18에서 1.15±0.17으로 감소하였고, 오른쪽은 1.10±0.22에서 1.14±0.23로 감소하였으나 양측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치료군의 위등세모근 긴장도, 경도, 탄성의 변화에서 왼쪽 긴장도는 17.32±1.66㎐에서 15.22±1.32㎐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오른쪽도 17.35±1.55㎐에서 15.50±1.22㎐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경도 측정에서 왼쪽은 315.66±49.29N/m에서 273.08±24.57N/m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오른쪽에서도 317.58±48.06N/m에서 270.50±38.47N/m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탄성의 변화 측정에서 왼쪽은 1.08±0.15에서 1.12±0.21으로 감소하였고, 오른쪽은 1.07±0.13에서 1.08±0.20로 감소하였으나 양측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룹 간 비교에서 중재 후 운동치료군보다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치료군에 위등세모근의 왼쪽 경도 감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하지만 왼쪽과 오른쪽의 긴장도와 탄성, 오른쪽 경도에서는 두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 8주 동안 어깨 통증을 가지고 있는 수동형 휠체어 사용 척수손상환자에게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통증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통한 위등세모근의 근긴장도 감소 훈련 또한 통증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치료군이 운동치료군에 비해 통증감소에 더 효과적이었다. 척수손상환자의 재활초기에 발생되는 어깨 통증은 시간이 경과되면 근골격계 문제와 연결되는 양상을 보이며, 일상생활에 제약이 되기도 한다. 이에 척수손상 재활초기에 어깨 통증을 예방하고 회복시키는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 목안정화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자세정렬,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이구형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목안정화 훈련이 자세정렬,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대상자는 경기도 하남시 소재의 L 병원에 입원 중인 17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마비쪽에 따른 연구결과 차이를 보완하 기 위해서 블록 무작위 배정을 하였으며, 연구군 9명, 대조군 8명으로 설계하였다. 편향된 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맹검법을 시행하였고, 연구군은 목안정화 훈련과 기능적 동작훈련, 대조군은 일반물리치료와 기능적 동작훈련으로 6주간 중재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머리척추각, 기능적팔뻗기검사, 앉은자세에서 일어나는 동작 시 압력중심과 체중분포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일어나걷기검사와 10미터보행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첫째, 자세정렬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머리척추각 측정 결과 연구군은 유 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1),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둘째, 균형능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90° 기능적팔뻗기검사에서 연구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셋째, 균형능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앉은자세에서 일어나는 동작 시 압력중심 이동과 체중분포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군의 마비쪽 앞·뒤 압력중심 이동에서 중재 전·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집단 간 비교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체중분포 변화 측정에서 연구군의 마비 쪽 총 체중분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1),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연구군의 마비쪽발꿈치 체중분포가 중재 전·후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1). 넷째, 보행능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일어나걷기검사에서 연구군의 총 시간(p<.01)과 첫 번째 한발짝길이(p<.05)가 중재 전·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집단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첫 번째 한발짝시간의 변화에서 연구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5),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다섯째, 보행능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10미터보행검사에서 연구군의 한걸음길이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1),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5).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위한 목안정화 훈련을 제시하였으며, 이상의 결과로 뇌졸중 환자의 자세정렬, 균형과 보행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라 는 것을 입증하였다. 주 용어 : 뇌졸중, 목안정화 훈련, 목정렬, 보행, 자세조절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ervical spine stabilization training on postural alignment,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The participants were 17 stroke patients at L Hospital located in Hanam-si, Gyeonggi-do, South Korea. To prevent potential variation according to the paretic side, the participants were block randomized into the experimental (n=9) and control groups (n=8). To prevent biased response, the participants were blinde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ervical spine stabilization training and functional movement training;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general physical therapy and functional movement training, during the 6-week intervention.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assessed by analyzing the changes in craniovertebral angle (CVA), functional reach test (FRT), center of pressure and weight distribution in sit-to-stand (STS),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10 meter walk test (10MW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VA to examine the changes in postural alignment indica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p<.01); however,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control group (p>.05) was not observed. The between-group comparis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1). Second, the 90° FRT to examine the changes in balance ability indic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however,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control group (p>.05) was not observed. The between-group comparis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ird, the center of pressure and weight distribution in STS,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changes in balance ability. Compared to the time before the intervention, the anterior-posterior center of pressure on the paretic side was shifted to a significant degree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p<.05)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p<.05). For the weight distribution, the total weight distribution on the paretic sid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p<.01)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p>.05). The weight distribution at the heel on the paretic side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p<.01)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p<.01). Fourth, the TUG to examine the changes in gait ability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terms of the total time (p<.01) and first step length (p<.05)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p<.0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for the first step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p<.05) was observed. Fifth, the 10MWT to examine the changes in gait indic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irst step length in the experimental group (p<.01); however,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control group (p<.05) was absent. The between-group comparis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is study proposes cervical spine stabilization training for stroke patients, and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study, the training has been verifi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regarding postural alignment,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Key words : Cervical spine alignment, Cervical spine stabilization training, Gait, Postural control, Stroke.

      • 무릎관절 전치환술 후 퇴원환자의 가정물리치료 적용이 다리 근육의 근력 회복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장용수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무릎관절 전치환술 시행 후 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물리치료사의 지도하에 가정물리치료를 적용하였을 때 일상생활군과 비교하여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자는 한쪽 무릎관절 전치환술을 받고 입원 후 퇴원 예정인 환자 20명을 선정 하였으며, 무작위로 가정물리치료군 10명, 일상생활군 10명으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총 4주로 가정물리치료는 주 5일, 1회당 40분으로 실시하였다. 측정은 크게 근력, 통증, 보행요소를 알아보았다. 근육은 넙다리네갈래근, 넙다리뒤근, 큰볼기근의 근력을 측정하였고, 통증은 무릎관절부위에 대한 통증의 정도를 알아보았으며, 보행은 지구력, 속도, 분속수, 걸음시간, 걸음길이, 활보길이, 한쪽다리딛기, 양쪽다리딛기를 분석하였다. 측정은 사전‧사후로 2번 실시하였으며,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ver.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자료 분석 결과를 기초로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력 면에서는 넙다리네갈래근, 넙다리뒤근, 큰볼기근에서 가정물리치료군‧일상생활군 모두 집단 내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으며, 두 군간의 비교에서는 넙다리네갈래근, 넙다리뒤근에서 가정운동군이 일상생활군에 비해 유의하게 근력이 향상되었다. 통증에서는 가정물리치료군‧일상생활군 모두 집단 내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나, 두 군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행요소에서는 보행지구력, 보행속도, 분속수, 걸음시간, 양쪽다리딛기에서 가정물리치료군‧일상생활군 모두 집단 내 유의하게 향상 되었으며, 걸음길이, 활보길이, 한쪽다리딛기에서는 가정물리치료군에서만 집단 내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두 군간의 비교에서는 한쪽다리딛기, 걸음시간에서 가정물리치료군이 일상생활군보다 더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무릎관절 전치환술 시행 후 퇴원한 환자들의 다리 근육의 근력 회복과 보행에 있어서 가정물리치료군과 일상생활군 모두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지만, 두 집단을 비교 하였을 때 가정물리치료 적용이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것에 비해 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home physical therapy on patients who left the hospital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compared to the ordinary group, when it was applied to them, under the guidance of physical therapists. As research subjects, 20 patients that were scheduled to leave the hospital after un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were chosen, an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home physical therapy group(10 patients) and an ordinary group(10 patients) in order to conduct an experiment. During the 4-week research, home physical therapy was offered for 40 mins once for 5 days a week, and muscular strength, pain and gait components were measured. For muscular strength, quadriceps muscle strength, hamstring muscle strength and gluteus maximus muscle strength were measured, the pain in the knee joint was observed, and as gait components, endurance, speed, walking rate, step time, step length, stride length, single-limb support and double-limb support were analysed. For this experiment, pre- and post-measurement were perform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8.0 statistical program. From the analysis of data,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obtained. Home physical therapy group and ordinary group both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quadriceps muscle strength, hamstring muscle strength and gluteus maximus muscle strength,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hamstring muscle strength of home physical therapy group mo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ordinary group's. Although both of home physical therapy group and ordinary group display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pai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In relation to gait components, gait endurance, gait speed, walking rate, step time and double-limp support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of home physical therapy group and ordinary group, whereas home physical therapy group onl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and single-limp suppor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single-limp support and step time improved more significantly in the home physical therapy group than in the ordinary group. In conclusion, positive results were revealed in both home physical therapy group and ordinary group, with regard to muscular recovery of lower limbs of patient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and walking, but considering the comparison results between two groups, it seems that applying home physical therapy is more effective than maintaining a dail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