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외관광객의 일본여행상품속성선택에 관한 연구 : 일본지역 관광객을 중심으로

        조태진 영산대학교 호텔관광·경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관광객 행동연구는 연구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으로 선정된 여러 가지 접근법과 세분화된 다양한 변수들에 의하여 수행되었으며, 이러한 접근법은 관광객의 내적 심리상태를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에게 여행동기를 부여하고 여행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치와 일본여행상품 속성선택, 관광객 만족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관광객 행동연구와 여행사 마케팅적 측면에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추출을 위한 설문조사는 여행사의 일본여행상품을 구매하여 일본지역을 관광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개인가치, 일본여행상품 속성선택, 관광객 만족, 응답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등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응답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7점 척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개인가치는 일본여행상품 속성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1을 검증한 결과 개인가치는 일본여행상품 속성 선택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가치는 관광객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2를 검증한 결과 개인가치의 3개 요인 모두 관광객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여행상품 속성선택은 관광객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3을 검증한 결과 일본여행상품 속성선택의 7개 요인 모두 관광객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여행상품 속성선택의 여행인솔자요인이 관광객 만족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한 이론적 시사점은 첫째, 국외관광객의 행동을 연구한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통하여 일본여행상품을 구매하여 일본지역을 관광하는 관광객들에 대한 일본여행상품 속성선택을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관광객들이 일본여행상품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들을 파악하여 제시함으로써 일본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셋째, 관광객의 개인가치-여행상품 속성선택-관광객 만족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이들 개념간에는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관광객의 개인가치를 중심으로 한 여행상품 속성선택 또는 관광객 만족의 연구를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서는 첫째, 개인가치가 여행상품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여행사에서는 고객의 개인가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장세분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여행상품에 대하여 고객과 상담을 할 때 고객의 개인가치가 내향적인 고객에게 일본여행상품을 추천하면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여행사는 일본여행상품을 이용하는 관광객에게 관광을 통한 전반적 개인가치에 대한 지각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한다. 셋째, 여행사는 일본여행상품을 이용하는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본여행상품 속성선택들을 강조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여행인솔자요인을 비롯한 쇼핑 및 선택관광요인, 교통수단요인에 대하여 관광객들이 강하게 지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Studies of tourist behavior were conducted using various approaches and sub-classified variables which were selected by different objectives of each study. However, they were limited approaches which did not perceiv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ourists. This study identified relations of personal values, attribute selection in travel programs to Japan and tourist satisfactions, which motivate tourists to go on a tour and influence tourists. The study attempted to mak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rom the viewpoint of tourist behavior study and tourist agency marketing. A survey to obtain samples for this study was made towards tourists who purchased travel programs from tourist agencies and travelled Japan Item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 areas of personal values, attribute selection in travel programs to Japan, tourist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Questions had a 7-point scale excep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first hypothesis that personal values would significantly affect attribute selection in travel programs to Japan was verified to be partially true.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three factors of personal values would affect tourist satisfaction was verified to be true statistically. The third hypothesis that attribute selection in travel programs to Japan would affect tourist satisfaction statistically was verified and all the seven factors of attribute selection were found to affect tourist satisfaction statistically. Especially, the factor of tour conductor influenced tourist satisfaction most among the attributes. The research results have the following theoretical suggestions: First, by examining precedent researches, the research studied attribute selection in travel programs by tourists who purchased travel programs to Japan and travelled Japan. Second, the research perceived and provided attributes which tourists think important in their selection of travel programs to Japan. Therefore,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c research data for studying tourists to Japan. Because the research verified positive influence of tourists' personal values-attribute selection in travel programs-tourist satisfaction, it provides a theoretical frame to study attribute selection in travel programs or tourist satisfaction focusing on tourists' personal values. This research also have following practical suggestions. First, because personal values affect the selection of travel programs, tourist agencies need to utilize customers' personal values as material for market segmentation. Second, the research suggests that recommendation of travel programs to Japan to customers, whose personal values are introvertive, can raise tourist satisfaction. Therefore, tourist agencies should enhance perception level of overall personal values of tourists who use travel programs to Japan. Third, tourist agencies need to emphasize attribute selection in travel programs to Japan in order to raise satisfaction level of tourists to Japan. Especially, they need to make tourists strongly perceive the factors of tour conductor, selective tours, and transportation.

      • 울산 고래관광의 실태에 관한 연구

        박진화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aims to study whale watching industry in city of Ulsan and to contribute to other studies in this field. In 1955 the first commercial whale watching originate in San Diego California, charging customers $1 per trip to view the whales close up. The venture proved extremely popular, attracting 10,000 visitors in its first year and maintained those numbers in subsequent years. Whale watching tourism industry spread throughout the western coast of the United States in the following decade. In Korea, Ulsan has been famous for the whaling industry until 1986 when the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IWC) voluntary placed a ban on all commercial fishing of whales. In 1995 Ulsan local government started its own Whale Festival and its aim was to develop the city of Ulsan to be a whale watching tourism resort. I addition the government built JangSaengPo whale museum in east of Ulsan. For citizens, whale watching industry brings benefits not only the financial part but historical and cultural awareness. This paper will focus on how much whale watching and JangSaengPo whale museum has an impact on the whale watching industry and how it affects the present situation in Ulsan. 본 연구는 관광산업에 있어 생태관광의 각 분야 중 가장 빠른 성장을 하고 있는 고래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울산 고래관광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울산 남구 고래박물관을 중심으로 울산 시민들의 고래관광에 대한 관심을 알고자 하였으며 울산 고래관광 활성화를 견인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울산 관광객들의 환경인식에 대한 가설 1의 검증에서 성별과 직업에 따른 관광객의 환경인식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 따른 관광객의 환경인식의 비교 결과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인간은 자연을 지배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에서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40대 가장 많았고 20대가 두 번째로 많았다. 따라서 40대가 환경인식에 관심이 가장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울산 관광객들의 고래관광 만족도에 대한 가설 2의 검증에서 성별, 연령과 직업에 따라 고래관광 만족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울산 관광객들의 관광목적에 대한 가설 3의 검증에서 성별에 따른 관광객의 관광목적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 따른 관광객의 관광 목적 비교 결과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가족과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에서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30대가 가장 많았고 40대가 두 번째로 많았다. 30대가 가족과 같이 시간 보내기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새로 태어난 아기와 가족들이 더 친근하게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삶의 여유를 갖기 위해서"에서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40대가 가장 많았고 30대가 두 번째로 많았다. 40대에 직장에서 퇴직하기 전 단계라서 직장생활보다는 여유시간이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업에 따른 관광객의 관광목적의 비교 결과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가족과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에서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들 중 주부들이 가장 많았고 자영업자들이 두 번째로 많았다. 주부가 가족과 같이 있는 시간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울산 관광객들의 고래박물관 만족에 대한 가설 4의 검증결과 성별과 연령에 따른 고래박물관의 만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직업에 따른 고래박물관의 만족의 비교 결과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어린이 체험관이 마음에 든다."에서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사람들 중 학생이 가장 많았고 주부들이 두 번째로 많았다. 학생들이 어린이 체험관에 만족 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린이들에게 고래를 소개해 주기 위한 체험관 시설이 너무 부족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울산 관광객들의 고래관광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대한 가설 5의 검증결과 성별, 연령과 직업에 따른 울산 고래관광의 필요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울산 관광객들의 고래관광의 기여도에 대한 가설 6의 검증결과 성별, 연령과 직업에 따른 울산 고래관광의 기여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울산 관광객들의 고래관광의 투자분야에 대한 가설 7의 검증결과 성별과 연령에 따른 울산 고래관광의 투자분야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직업에 따른 투자분야의 비교 결과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울산의 고래관광 활성화를 위해 다음 어느 분야에 더 많은 투자를 해야 된다고 생각하십니까?"에서 "고래공원"과 "고래축제"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그중에 "고래공원"이라고 응답한 사람들 중 주부들이 가장 많았고 전문/사무직이 두 번째로 많았으며 "고래축제"라고 응답한 사람들 중 학생이 가장 많았고 생산/노무직 두 번째로 많았다. 학생이 고래축제에 관심이 가장 많다고 볼 수 있다. 울산 관광객들의 고래박물관의 방문횟수에 대한 가설 8의 검증결과 성별과 직업에 따른 고래박물관의 방문횟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 따른 관광객의 방문횟수의 비교 결과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지금까지 이곳에 몇 회 정도 방문 하셨습니까?"에서 "1회"라고 응답한 사람이 20대가 가장 많았고 30대가 두 번째로 많았다. 시민들이 고래관광에 대한 모든 것을 알고 싶지만 고래를 위해 관광하는 것이 아니었다. 고래에 관한 시설이 너무 부족하고 홍보도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고래박물관을 2회 이상 방문 하는 관광객들은 울산 시민이 더 많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관광객들이 고래관광에 대하여 잘 모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광목적에서 고래를 관광하기 위해 또는 야외학습하기 위하여 박물관을 관광하는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고래에 대하여 관광객들은 매우 관심이 있었다. 울산 고래박물관에서 고래포경에 대해서 전시하는 상품이 많았지만 관광객에게서 박물관에서 볼 것이 없다는 말을 들었다. 그리하여 고래박물관의 시설을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고 고래관광에 관한 홍보자료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지역관광특산품 스토리텔링이 고객 만족과 SNS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혜경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인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삶의 질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관광에 대한 관심과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관광시장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관광객 유치를 위한 국가와 지역 간의 경쟁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관광시장의 발전은 관광지의 외형뿐만 아니라 관광상품의 확대와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또한 관광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관광객에 대한 선택권 확대와 대체 관광지 간 차별화가 필요하다. 급변하는 환경에 따라 관광 분야에서 관광객의 요구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체성과 차별화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심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관광특산물에 대한 스토리텔링은 상품과 서비스 구매를 통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관광특산물은 상품의 역할뿐만 아니라 지역이나 심지어 국가의 이미지를 상징할 수 있다. 따라서 차별화된 지역관광특산물에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텔링을 추가하여 지역의 홍보와 발전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관광특산물 스토리텔링을 통해 지역관광특산물 스토리텔링을 경험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이 고객만족과 SNS 입소문에 미치는 효과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스토리텔링이 지역관광특산물에 미치는 영향이 관광객에 대한 고객만족의 인과관계와 SNS에 대한 입소문의 의도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전국 각 지역의 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으로 지역관광특산물 스토리텔링을 경험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지역관광특산물 스토리텔링이 고객만족도와 SNS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22년 9월 2일부터 2022년 11월 4일까지 설문지를 대면 및 비대면으로 배포하였다. 총 251부가 실시되었다. 이에 SNS에서 지역관광특산물 스토리텔링, 고객만족, 입소문의도 간 피어슨 상관계수를 실시한 결과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고 모든 변인 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지역관광 특산물 스토리텔링이 고객 만족도와 SNS 입소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관광특산물 스토리텔링의 하위요인인 흥미, 독특성, 차별성은 모두 고객만족에 긍정적(+) 효과를 보였으나, SNS 입소문 의도에서는 흥미와 독특성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관광 특산물 스토리텔링의 고객만족과 SNS 입소문에 대한 개념적 접근을 수행함으로써 관련 연구 분야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할 수 있었다. 둘째, 지역관광특산물 스토리텔링을 통해 고객만족도를 검증한 연구들을 실증분석하여 지역관광특산물 스토리텔링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관심, 고유성, 차별성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저는 지역 관광특산물 스토리텔링을 통해 사회, 문화, 예술, 역사 등에 대한 지식을 얻는 것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셋째, 지역관광특산물 스토리텔링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SNS 입소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전국 각 지역 관광지를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지역관광특산물의 고유한 특성을 제공하여 고객만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지역 관광 특산물 스토리텔링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으로 이어져야 한다. 넷째, 지역관광특산물 스토리텔링이 SNS 입소문 의도에 영향을 미친 관광특산물 구매는 고객에게 많은 가치를 느끼게 하고, 고객은 지역관광특산물 스토리텔링을 통해 삶의 행복감을 느끼게 해 만족도를 높이고 입소문에 영향을 줄 것이다이에 본 연구는 전국 각 지역 관광지에서 지역관광 특산물 스토리텔링을 경험한 관광객들이 지역관광 특산물 스토리텔링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여 지속적인 만족감으로 SNS 입소문을 높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역 관광 특산물 스토리텔링. 연구모형과 가설검증을 통해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방법의 제시는 전국 각 지역의 관광정책의 기초로 활용되며 마케팅 전략으로 전국 각 지역의 관광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키워드 : 지역관광특산물 스토리텔링, 고객만족, SNS 구전의도.

      • 리얼리티 여행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요소가 경험가치와 관광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최민영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대중문화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는 미디어는 인간의 경험과 분리하여 이야기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고 단순히 재미를 유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청자들의 가치관과 현실에 대한 인식, 태도 등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오세정·장세지, 2013). 최근 대중매체 중 TV프로그램에 노출된 관광지를 접하고 방문하거나 방문하고 싶어 하는 관광객들이 늘어나면서 여행을 주제로 한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개체 수가 점점 늘어나고 동시간대 최고의 시청률을 차지하고 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시청률과 관련 상품의 성장률 뿐 아니라, 포맷 수출을 통해 방송사의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등 폭넓은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선으로 학술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박세현·오재신, 2018). 따라서 리얼리티 여행프로그램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잠재관광객들에게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어떠한 구성요소가 정보제공과 흥미를 유발하는지, 시각적 간접경험을 통해 어떤 가치를 느끼는지, 더 나아가 간접경험이 여행지에 대한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는 리얼리티 여행프로그램을 시청한 경험이 있는 시청들에 한해 프로그램 포맷 구성요소, 경험가치 및 관광지 이미지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가설 2개, 하위가설 8개를 설정하였으며, 연구모형을 토대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하여 이론변수들 간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리얼리티 여행프로그램 포맷 구성요소의 하위요인인 주제특성은 실용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리얼리티 여행프로그램 포맷 구성요소의 하위요인인 주제특성은 엔터테인먼트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리얼리티 여행프로그램 포맷 구성요소의 하위요인인 제작특성은 실용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리얼리티 여행프로그램 포맷 구성요소의 하위요인인 제작특성은 엔터테인먼트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리얼리티 여행프로그램 포맷 구성요소의 하위요인인 출연자특성은 실용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리얼리티 여행프로그램 포맷 구성요소의 하위요인인 출연자특성은 엔터테인먼트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리얼리티 여행프로그램이 경험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은 4개의 가설이 채택되었고, 2개의 가설이 기각되었다. 둘째, 경험가치의 하위요인인 실용적 가치는 관광지 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경험가치의 하위요인인 엔터테인먼트 가치는 관광지 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경험가치가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실무적 시사점을 요약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영상매체와 프로그램의 특성이 시청자의 경험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고, 체험경제시대에 경험은 매우 중요한 마케팅 수단으로서 소비자의 구매의사, 행동의도, 선호도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잠재관광객의 긍정적 경험을 형성하기 위한 관광마케팅차원의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여행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 개체 수가 늘어나면서 반복되어 노출되는 관광지가 늘어나는 현상의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핵심어: 리얼리티 여행프로그램, 포맷 구성요소, 경험가치, 관광지 이미지

      • 산업관광체험요인이 산업관광 만족· 브랜드 인지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안완준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호텔관광경영학과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Industrial tourism is defined as “experienc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dustrial sites through various activities (visiting exhibition facilities, on-site inspection and experiences, festivals, etc.) to revitalize the industry and region by a company or a local community.” (Kim and Han, 2010). Industrial tourism is one of the highly interested topics recentl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ies around the world. Historically, industrial tourism had been heavily promoted but Covid-19 crisis has reduced its scale. However, industrial tourism is an overarching priority of the tourism industry in overcoming Covid-19 crisis and completing the task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research trends on industrial tourism to advance the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an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s,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brand awareness, and brand loyalty to explore ways to develop related compan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s,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brand awareness, and brand loyalty, this study conducts empirical analysis and literature research. In addition, the hypothesis and research model were derive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variables,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s,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brand awareness, and brand loyalty.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 i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in industrial tourism which may continue to develop in the future. Brand recognition and brand loyalty are considered to make revisits depending on the success of industrial tourism. This study conduct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or people residing across the country who experienced industrial tourism. A total of 311 vali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 24.0 and AMOS 24.0.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refine attributes, factors including employee service, transportation convenience, accommodation and tourism, guidance, industrial site inspection, brand awareness, brand loyalty, and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are identified from the industrial tourism attribute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all factors shows 0.5 or higher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and 0.7 or higher construct reliability. Therefore, it can be said it ha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is study attempts the second 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gain to compile the factors of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as one: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and construct reliability, and the correlation has the discriminant validity.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shows that the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 has a meaningful effect on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and also brand awareness.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that brand awar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and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Brand awareness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However, the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 did not directl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loyalty so the hypothesis was rejected. Key words: Industrial Tourism Experience Factor, Industrial Tourism Satisfaction, Brand Awareness, Brand Loyalty 산업관광은 “기업이나 지역에서 그들의 산업활성화 및 지역활성화를 목적으로 다양한 관광활동(전시시설의 관람, 현장견학 및 체험, 축제 등)을 통해 과거와 현재, 미래의 산업현장을 경험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김효경·한범수, 2010). 이러한 산업관광은 전 세계적으로 국가 관광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최근 매우 관심있는 주제이다. 산업관광은 역사적으로 매우 큰 관심을 받고 육성되어 왔으나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해 그 규모가 매우 빈약해진 상태이다. 그러나 향후 코로나 사태를 극복하고 4차산업혁명의 과업을 완수하면서 진행해 나가야 할 관광산업의 과제로서 산업관광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관광에 대해 최근 연구추세를 살펴보고 보다 발전적인 내용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관광체험요인이 산업관광만족도, 브랜드인지도 및 브랜드 충성도와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으며, 산업관광체험요인이 산업관광만족도, 브랜드인지도 및 브랜드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및 연구하여 향후 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산업관광체험요인, 산업관광만족도, 브랜드인지도 및 브랜드충성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관련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실증분석 및 문헌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논의된 변수들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가설 및 연구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실증분석의 진행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관광체험요인, 산업관광만족,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 등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산업관광체험요인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발전가능성이 있는 산업관광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된다. 또한 브랜드 인지도 및 브랜드 충성도는 산업관광의 성공여부에 따라 재방문을 가능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산업관광경험이 있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에 의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311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확보한 후 SPSS for Window 24.0과 AMOS 24.0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속성을 정제하여 산업관광체험속성에서는 종사원서비스, 교통편리성, 숙박 및 관광, 안내, 산업현장견학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 산업관광만족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전체 구성요인에 대한 확인요인분석결과 평균분산 추출값(average variance extracted)이 0.5 이상으로 추출되었으며, 개념 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는 0.7이상으로 추출되었다. 따라서 집중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또한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산업관광체험요인들은 하나로 보고자 Second order에 의한 확인요인분석을 재차 시도하였다. 시도한 결과 평균분산추출값과 개념신뢰도에서 문제가 없었으며, 또한 상관관계도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모형분석결과 산업관광체험요인은 산업관광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브랜드 인지도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브랜드 인지도는 산업관광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산업관광만족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인지도도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업관광체험요인은 브랜드 충성도에 직접적으로는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기각되었다.

      • 관광스토리텔링과 방문객의 관계강도에 관한 연구 : 러브마크(lovemark)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인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비약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도시 관광은 관광목적지로서 도시의 중요성을 새삼 깨닫게 하고 있다. 이것은 국가 간의 경쟁보다는 도시들 간의 지역경쟁시대가 도래되었으며, 경제적인 변화의 중심축이 지역과 도시로 이동되고 있는 사회적 추세에 대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여 대한민국의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그 지역의 다양한 관광자원을 활용한 관광 마케팅 전략에 힘을 쏟고 있으며, 다양한 축제·문화 이벤트·전시 박람회·복합 리조트 개발 등을 통해 관광목적지로 도약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최근 소비패턴의 감성화가 중요시되는 시장변화에 따라서 관광목적지 마케팅도 감성을 자극하는 핵심요소인 스토리텔링(storytelling)에 대한 관심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관광지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강력한 표현과 의미를 부여하면서 잠재 관광객의 마음에 포지셔닝을 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관광지 스토리텔링은 매우 필요한 전략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이 러브마크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또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연구의 목적과 설문조사방법 등에 대하여 충분한 교육을 받은 문화유산해설사가 일대일로 여행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설문항목에 대해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식(self-administration)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의 주요 속성으로 관광지의 흥미성, 교육성, 사회문화성, 정서적 감정, 묘사성 그리고 지역의 고유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부산의 주요 관광지에 대해 스토리텔링으로 실시한 본 연구에서는 주요 속성으로 4가지가 추출되었는데 흥미성, 교육성, 사회문화성, 정서적 감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속성들은 러브마크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문객들은 스토리텔러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나 관광지의 사회문화적이며 교육적인 그러면서 정서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관광지에 대해 러브마크를 형성한다. 따라서 부산을 더욱 관광지화하고 애착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러한 속성들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특히 흥미성은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무엇보다도 관광지의 흥미적인 요소를 발견하는데 초점을 둬야 할 것이다. 둘째,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관광지의 묘사성과 지역의 고유성은 제외되었는데 이는 스토리텔러의 전문성의 부족과 관광지에 대한 관람객들의 이해부족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증가함에 따라 이를 이용한 연구들이 점점 진행되고 있지만 스토리텔러의 양성을 위한 전문기관의 부족과 관련된 의식의 부족으로 현재 스토리텔러들은 관광지에 대한 깊이 있는 역사와 전문성이 아직은 부족하다. 따라서 관광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나 풍부한 설명을 제시하기에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고 방문객들은 설명만으로 관광지를 형상화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러브마크는 관광지에 대한 관계강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가 강화된 것으로 다른 곳보다 더 많이 방문하게 되고 잦은 방문은 더 강한 애착을 형성한다. 따라서 관광지에 대한 정서적 애착을 발생시키기 위한 감정적인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스토리텔러가 러브마크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음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스토리텔러의 유용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관광지를 개발하는 것도 아주 중요하지만 관광지를 방문객들에게 더 잘 전달하고 애착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스토리텔러 또한 유용한 전략임을 알 수 있다.

      • 문화관광자원의 연계성의 인지도 및 관광객의 만족도, 관리보존에 관한 연구

        박미선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문화관광자원은 그 지역을 대표하면 지역성, 고유성, 역사성, 문화성, 혜택성, 예술성이 반영되는 문화자원이다. 오늘날 전통의 복위, 여가시간 확대, 소규모 단위 여행형태, 획일화된 문화등에 대한 반발감으로 문화자원과 문화관광자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부산은 항구도시로써 바다 지형 해안에 의해 형성된 문화자원이 많다. 문화자원이 가까운 지역에 밀접되어 있는 부산 박물관 주변의 문화자원이면서 관광자원인 박물관, 유엔기념공원, 평화공원, 문화회관, 이기대공원에 관한 문화자원의 연계성, 역사성, 문화성, 혜택성과 더불어 이곳의 인지도 현황과 문화관광자원의 관리보존에 관한 연구이다. 향후 문화관광자원으로써 문화관광지 및, 교육적 기능으로써 활용보존 되기를 이곳을 찾는 방문자나 관광객들은 바라고 있으며 유엔기념공원의 문화관광적 가치가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 FIT,SIT 관광객의 전통주 문화 체험관광 참여 동기가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단아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인들의 풍부한 관광 경험은 관광목적지의 문화와 역사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문화관광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 혹은 한 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수단으로 문화관광은 의미가 매우 크다. 문화와 관광 체험의 연계된 방식은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관광의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관광객은 이와 같은 이중 문화 체험으로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통하여 삶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주에 관한 FIT, SIT 관광객의 경험을 통한 체험관광 체험 동기를 통한 고객만족도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통한 선행 및 결과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고 전통주와 연계된 체험 활동에 관한 다양한 사례를 알아볼 것이며 이를 통해 문화 관광상품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볼 것이다. 또한 해당 연구 수행을 위한 설문조사를 2022년 10월 3일~2022년 10월 28일까지 진행하였다. 이후 자료수집을 위하여 대면 및 비대면 설문지에 자기기입식으로 진행에 따라 총 277부를 배부하여 253부를 최종 연구 유효표본을 수집하였다. FIT, SIT 관광객, 전통주의 종류, 역사와 문화 등. 문화 체험관광, 고객 만족도 간의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한 결과,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었으며 모든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보았다. 또한 전통주에 관한 FIT, SIT 관광객의 경험을 통한 체험관광 참여 동기를 통한 고객 만족도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객 만족도에 대하여 전통주 문화 체험관광 체험 동기는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주 문화 체험관광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역사와 전통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다. 둘째, 체험관광 동기에 의한 관광목적지를 유형화·분류화하여 관광객의 체험관광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셋째, 전통주 문화 체험관광 프로그램을 활성화를 통해서 가족 단위를 대상으로 자녀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전통주 전문가들과의 직접적인 교류를 통한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로 국내 관광객뿐만 아니라 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 향상과 재방문 관광객 수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새로운 재미와 색다른 체험프로그램을 통한 동기 부여와 함께 COVID-19 이후 달라진 관광 형태의 변화 추세에 맞추어 FIT·SIT 관광객들의 안전과 위생,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사람의 수에 대한 관리 등 K-관광 방역의 완벽함을 준비하여 우리나라의 관광 재방문 의사를 높여줄 수 있다. 이에 전통주 외에 다양한 우리나라의 전통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세대와의 교류를 가능한 융·복합적인 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부와 지자체의 체계적이고 명확한 계획을 중심으로 식품, 외식, 문화, 관광 등과의 연계로 장기적이면서 지속적인 노력을 한다면 선진 사례의 문화 체험관광과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한류문화가 방한 중국관광객 숙박 및 쇼핑행위에 미치는 영향

        노효문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한류문화가 중국 관광객이 숙박 및 쇼핑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중국관광객의 숙박업 및 쇼핑 행위는 한국 관광에 큰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적 분석법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중국 관광객이 한국 숙박 고려 시 행위 및 쇼핑의 편리함과 만족도를 어떠한 요인들을 통하여 높일 수 있는지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한국문화배경, 한국의 관광자원분석, 중국의 한국여행 분석을 적용하여 분석의 틀을 설정하였고, 숙박 고려 시 행위에 관한 분석결과 첫째, 호텔의 서비스 수준 등을 평가하는 휴리스틱(heuristic)이다. 이는 고객을 대하는 종사원의 태도와 행동 자체가 호텔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종사원과 고객 간의 라포(rapport) 형성이 매우 중요하였다. 이는 종사원의 고객지향성과 고객신뢰 및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호텔은 유ㆍ무형의 총체적인 상품을 서비스화 하여 관광객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쇼핑행위에 분석결과 첫째, 한국 관광 쇼핑의 다양성이 필요하였다. 현재 중국은 단기 휴가가 늘어나고 중국 국민의 관광 소비 수준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한국의 관광 상품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중국관광객이 한국 관광 쇼핑 시 결제 방식, 포장 방식, 운송 방식 등의 편리함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은 이에 따른 개선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이론적 기여로서 본 연구가 한류문화를 바탕으로 한 중국관광객 숙박 및 쇼핑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개선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분석기준의 한계성과 자료 수집, 주관적 해석, 이론적 비교 및 검토의 한계가 지적되었으며 다양한 분석기법을 통한 연구 확대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nese tourists on accommodation and shopping behaviors in Korea based on Korean culture. Especially, there is a serious lack of research on accommodation and shopping behaviors of Chinese tourists, despite their huge impact on tourism in Kore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of Chinese tourists from accommodation and shopping in Korea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analysis. For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configured by applying the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the tourist resources in Korea, and the analysis of travel to Korea. The results of analyzing accommodation behavior are as follows. First is the heuristic for evaluating the service level of hotels. The attitude and actions of employees when receiving customers can determine the level of a hotel. Second, the formation of rapport between employees and customers is extremely important because rapport affects customer orientation of employees and the trust and satisfaction of customers. Third, hotels provide various services to tourists by turning holistic products in tangible and intangible forms into services. The results of analyzing shopping behavior are as follows. First, tourist shopping in Korea needs diversity. Since short-term vacations and tourism spending in China are increasing, Korea should develop tourist products accordingly. Second, as Chinese tourists demand convenience in payment, packaging, and transport methods when shopping in Korea, such methods must be improv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making theoretical contributions by presenting measures to improve the effects on accommodation and shopping behaviors of Chinese tourists based on the Korean culture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analysis.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limited analytical standards, data collection, subjective interpretation, theoretical comparison, and review. Further studies can be conducted by applying diverse analytical techniques.

      • The Impact of COVID-19 on Hospitality Travelers’ Safety and the Quality of Life

        페니자 아를레니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대유행은 여러 가지 면에서 모든 글로벌 이슈의 최전선에 있다. 그것은 대부분의 산업, 특히 여행과 환대 부문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사람들의 생활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정보기술(IT) 분야에서는 환대 산업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기업에 미치는 대유행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했다. 온라인 마케팅 전략은 점점 인기를 얻었고 새로운 규범이 되었다. 확실히, 온라인 리뷰와 소셜 미디어는 소비자들의 의사 결정 과정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는데 더 큰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논평은 여행자의 상품과 서비스의 구매에 따른 수사적인 사치 효과를 기록한다. 그런 다음 소비자들은 이러한 온라인 리뷰와 미래 여행에 대한 추천을 참조한다. COVID-19 시대 이전과 이후의 소비자 안전은 항상 최우선 과제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COVID-19 대유행에 직면한 환대 여행자의 안전과 삶의 질에 대한 현재 연구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대 문헌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는 COVID-19 시기에 환대 여행자의 안전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식별하고 분류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COVID-19가 여행자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공개 연구 질문을 바탕으로 관광 동기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210개의 응답에 대한 분석은 심리적 고통, 정부 전략, 사회적 거리두기 및 일반적인 삶의 질, 여행자 안전에 대한 주요 영향을 보여준다. 여행자 안전 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38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가 만들어졌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COVID-19에서는 정부정책, 심리적 스트레스, 사회적 거리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환대산업고객의 안전에서는 환대산업수요감소, 환대산업의 개선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삶의 질에서는 발전적인 삶, 생활의 질 등의 요인이 각각 도출되었다. 또한 확인요인분석결과 정부정책, 심리적 스트레스, 사회적 거리, 환대산업의 개선, 삶의 질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상관관계분석을 시도한 결과 각 요인들은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정부의 정책인 환대산업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심리적 스트레스는 환대산업개선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사회적 거리도 환대산업개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대산업의 개선도 삶의 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은 삶의 질의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사회적 거리도 삶의 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에서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와 미래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키워드: COVID-19, 환대산업, 관광, 여행자, 안전, 환대산업 개선, 삶의 질 Purpose: The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is in many ways at the forefront of all global issues. It has severely impacted most industries, especially the travel and hospitality sectors. Consequently, it has also impacted people's lifestyles. In an age field by information technology, the hospitality industry leveraged social media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the pandemic on businesses. Online marketing strategies grew more popular and have become the new norm. Surely, then, online reviews and social media have become more influential in substantially transforming the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Such comments record the rhetorical extravagant effects of travelers' purchasing goods and services. Consumers then consult these online review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travelers’. Consumer safety has always been a number one priority in both pre- and post-COVID-19 eras. Thus,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current research on the hospitality traveler’s safety and their quality of life in the face of the COVID-19 pandemic. A systematic review of contemporary literature seeks to identify and classify research that focuses on hospitality travelers’ safety in the time of COVID-19. Method: This study sought to measure tourism motivation based on open research questions about the impact of COVID-19 on traveler safety. An analysis of 210 responses reveals major impacts on psychological distress, government strategies, social distancing and general quality of life, and traveler safety. A 38-item questionnaire was created to measure traveler safety motiv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actors such as government policy, psychological stress, and social distance were derived from COVID-19, and factors such as a decrease in hospitality industry demand and improvement of the hospitality industry were derived from the safety of hospitality industry customers. In the quality of life, factors such as progressive life and quality of life were derived respectively.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factors such as government policy, psychological stress, social distance, improvement of the hospitality industry, and quality of life were derived. Also,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each factor was found to have discriminant validity.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government's poli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hospitality industry, psychological str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hospitality industry, and social distance did not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hospitality industry. Also,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hospitality industry did not affect the quality of life. However, the government's policie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lso,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stress did not affect quality of life, and social distance did not affect quality of life. Hereinaft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Keywords: COVID-19, hospitality, tourism, travelers, safety, hospitality industry improvement,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