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수의계약(隨意契約) 제도에 관한 연구 : 그 경제적 기능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전해룡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가를 상대로 한 단체수의계약 제도는 1965년에 처음 지정되어 변화를 겪으면서 현재까지 이르렀다, 국민의 정부에 들어서서 각종 규제철폐, 제도에 대한 개혁입법 차원에서 구매대상 물품을 1998년에 지정된 물품에서 해마다 20%씩 축소를 의결했으나, 2000년 12월 23일 개정조치로 인하여 단계적인 계속축소는 당분간 유예된 것으로 단체수의계약제도는 존속되는 법적근거를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존폐에 대한 논란은 향후에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제도를 통하여 경제적 의의 즉 국민경제적인 측면, 정부조달적 측면, 중소기업적인 측면을 객관적으로 연구하고, 단체수의계약에 대한 반대론에 대한 내용과 그 논리에 대해서도 연구검토를 통하여, 이 제도의 근본적인 본질과 장래에 관하여 이론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특히 단체수의계약제도는 카르텔이라는 주장에 대하여 명확한 정리를 위하여 카르텔의 개념과 종류에 대하여 연구를 했고, 카르텔과 수의계약제도와의 관계성을 이론적으로 정리하는데 노력하였다. 아울러 연구과정에서 문제점으로 나타난 부분, 즉 운영상의 문제점, 경제적 효율성에 관한 문제, 가격인하 유도의 문제점등을 서술하였고 반대로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도 시도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라면 본인이 실제로 이 제도의 이해 당사자의 한사람으로서 객관적인 자료 및 현실감 있는 현장의 목소리를 연구에 담을수가 있었던 것을 하나의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한 이론연구에 그쳤다. 이 문제에 대한 이해당사자, 즉 중조기업협동조합중앙회, 각 소비자단체, 공정거래위원회, 학계와 실무자들을 상대로 한 실증연구를 거치지 아니한 것은 이 연구의 하나의 한계로 지적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점을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above thesis is to study the nature, function of governmental contracts ad libitum with small and middle sized manufacturers and to discuss wether this system may further develop or not. The system of capitalistic competition based on market economy departs from the fact that no one may enjoy unreasonable privileges on the victim of the other in competition. This is legally declared as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Vertragsfreiheit). In this sense, the object of this study contracts ad libitum seems like to hit against the system of fair competition of business or against the so to say cartel prohibition act, because in contract ad libitum a certain natural person or a firm is entitled to have chance to bargain or close a contract without competition. This thesis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in the side of policy implementation of government purchasing organizations and cooperatives, the selection of object goods, and coping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 into openness of government procurement market. Originally, this system was promulgated as a way for stable purchasing of necessary goods in suitable time, and suitable price. As it's functions, budget scale and the quantity of purchasing have increased, the contract ad libitum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Besides of it's basic function, governments have linked the purchasing goods to the policy for industry promotion. The Korean Government initiated and introduced the system of contracts ad libitum for the small and middle 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in early 60th.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Promotion of purchase of goods manufactured by the small and middle sized business and through this to encourage them to help national economic growth.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proclaim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tect middle and small enterprises. Nevertheless, a special privilege for the middle and small enterprises can not be derived from this article of Korean constitution itself, but from the paragraphs of special acts like the Ac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 Cooperative, the Act of Furtheranc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the Promotion of Purchase of their Products and the Act relating to the Contract to the Government. But the situation has been changed, when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came into effect and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judged the contract ad libitum as unfair trade. Parallel with this trend some authors filed and represented the opinion that the system of contract ad libitum should be abolished. Main reason for their assertation is, among many others, that the contract ad libitum is a cartel. Contract ad libitum is, however, according to the Korea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not to characterize as a cartel. I introduced the opinions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conclusion is that the contract is not a cartel. The system itself does not meet the conditions and criteria of cartel. Problematic is, however, that the cooperatives of small and medium manufacturers have often applied the system so that the business not participating the system may assert the contract ad libitum would be a bias and exclusive. Against the assertation that the contract ad libitum is a cartel or a bias subvention for certain groups of business I would like to agree with the opinion of Korea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e status quo is that the contract ad libitum system may continue with the following compromise: The Chief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hould(or can) limit the quantity of goods to purchase from the cooperatives to under 60 of 100 of the quantity of the year of 1998. Nevertheless, the problems experienced in practice of the system should be reasonably solved and corrected. Ways to overcome the barriers and assertations against the contract ad libitum cooperatives make extensive efforts to realize the motive to codification of the system.

      • 개성공단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경제특구정책의 국제비교와 개성공단입주기업 경영애로요인 분석을 통한

        이광석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세계를 무대로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 지는 만큼이나 각국 정부의 국가경쟁력 확보와 기업 유치를 위한 규제차익(regulatory arbitrage) 경쟁도 심화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경쟁력의 한계로 작용하는 것이 정치적 불확실성을 야기하는 북한의 존재이다. 우리나라가 처한 현실에서 국가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방법 중 하나가 경제특구조성정책이다.경제특구란, 일정한 지역에서 기업이 자유로운 시장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국가가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인데, 중국의 여러 경제특구가 나타나면서 일반명사가 되었다. 경제특구는 중국을 위시하여 베트남, 싱가포르, 폴란드 등 다양한 나라에서 만들어지고 있으며, 각 경제특구의 운영형태는 조금씩 다르지만, 모두 국가경쟁력의 강화를 지향한다는 목적상의 공통점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 10월에 故정주영 현대명예회장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2차면담에서 서해안 공단건설사업 추진에 합의함으로써 처음으로 경제특구 사업이 시작 되었다.개성공단 사업은 정치적으로는 한반도 평화의 확보를, 경제적으로는 남북한의 경제적 효율성 개선을 기대하였다. 하지만 현재 그 효과의 달성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고, 이러한 제약은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실태와 애로요인 조사 결과에 따라 드러나고 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노동의 유연성 부족, 통행?통신?통관의 3통 문제, 원산지 표시의 문제, 각종 보험제도의 문제 등을 경영상의 애로 사항으로 지적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해결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네 가지 애로요인에 대한 해결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이 연구가 향후 개성공단의 발전에 도움이 되길 빈다.

      • 남북한간과 동서독간의 경제교류협력 비교연구

        남미림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김대중정부는 ‘햇볕정책(북한 포용정책)’으로 남북한 경제협력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해 한반도의 긴장완화에 기여했다. 북한은 극심한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해 자본주의식 경제개혁을 시도하면서 남한의 협력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 경제교류협력은 피폐한 북한 경제를 되살려 놓으면서 통일의 발판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동서독의 통일이전의 경제교류협력의 경험을 통해 남북한의 경제교류협력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강구했다. 또 동서독의 경제통합과정과 이후의 경제상황들이 남북한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고찰했다. 독일은 분단상황에서 경제교류협력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통일 여건을 미리 조성해놓았기 때문에 동독의 붕괴로 이뤄진 급진적 통합과정에서 정치적 갈등을 줄이는데 어느 정도 성공했다 동서독의 경제통합과정에서 주는 교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떠한 형태의 경제통합이나 통일에 대비한 사전적 대응책이 마련 되어야한다. 둘째, 실전 경제통합과정 및 통합직후의 과도기에서 대책이 단계적이면서 점진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종합계획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통합정착단계에서의 안정화시책과 통합경제 발전 전략 및 통합확산 전략이 마련되어야한다. 넷째, 경제통합을 위한 통일비용을 충분히 축적시켜야 한다. 우리나라 현재의 경제수준으로는 통일비용을 갑자기 조달하는것은 어려워보인다. 따라서 현재의 남북협력기금에 별도의 통일기금계정을 마련하여 장차 경제통합이나 통일을 대비할 수 있는 재원을 충분히 확보해 놓아야 할 것이다.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s “Sunshine Policy (Engag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has stimulated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has also eased the detension between the two Koreas. South Korea’s assistance will be absolutely necessary for North Korea to effectively implement its recent economic structural reforms. Revitalizing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will help more to revive North Korea’s moribund economy. This in turn will provide a foothold for Korean reunifica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eek ways to activat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rough experiences of inter-German economic cooperation which had have the most similar cases with the Korean peninsula among divided countries. I have studied two German economic integration and analyzed post economic integration and economic situation to find parallels that may apply to the Korean case. We have known since German unification that the ‘Big Bang’ approach incurred unexpected side effects. However, Korea may learn much from the case of inter-German economic cooperation that can help it prepare for reunification. The following is what the two Koreas can learn from the German economic integration : First, any form of economic integration or pre-counter measures for Korean reunification should be prepared. Second, South Korea should set up its overall plan to implement economic integration with North Korea gradually. Third, Korea should establish a stabilization policy during the stage of economic integration and develop strategy for integrating economic development and integrated economic expansion should be established. Long-term employment policy, finance policy, industrial sector restructuring measures and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plans should be prepared so that integration expansion effects could occur. Fourth, South Korea should secure sufficient unification funds for future economic integration. It will likely be difficult for South Korea to finance unification cost in its current economic state. Therefore, South Korea should secure sufficient funds for the futur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by establishing a separate Unification Fund and a separate inter-Korean Cooperation Fund for future economic integration and unification in the future.

      • 마이데이터 현황 및 경제적 영향에 대한 연구

        김혜경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personal data in the data industry, the MyData ecosystem has emerged new.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MyData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nd explores its impact on individuals and businesses. Furthermore, this study will calculate economic impacts of data industry using Input-Output Analysis and apply this finding to the estimated market size of MyData, resulting in estimated economic ripple effect in implementation of MyData. MyData emphasizes that maintenance and utilization of personal data should belong to each individual and its key principle states that each individual should take ownership of data rights, data provision, and data utilizatio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re leading the development of MyData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mart disclosure systems and the GDPR, while South Korea marke has fully implemented MyData since January 1, 2022, following the amendment of the Data 3 Act. The growth of MyDatais expected to increase consumer benefits, resolve information asymmetry, leverage network effects, generate externality, and create economic effects in terms of scale and scope. According to the results measured through Input-Output Analysis, the value-added effect was higher than the industry average among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in the data industry. The estimated market size of the domestic MyData industry, based on financial data, is expected to exceed 6 trillion won by 2028, with a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of 13.4% during the period from 2020 to 2022.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ripple effects of the MyData market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growth rate of the MyData market during the period from 2021 to 2023. MyData emphasizes the rights of individuals regarding their personal data and actively seeks to fuse personal data from various sectors, starting with the financial sector. Currently, MyData is predominantly focused on financial data services, but as it combines with non-financial data in areas such as public, healthcare, and energy going forward, the MyData industry is expected to create high value-added effects. Key words : Data industry, MyData, Personal data, Financial data, Input-Output Analysis, Economic ripple effect. 데이터산업에서 개인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마이데이터 생태계가 새롭게 부상했다. 본 논문은 미국, 유럽, 국내의 마이데이터 현황을 파악하고, 마이데이터가 미치는 영향을 개인과 기업 측면으로 살펴본다. 이어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계산한 데이터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마이데이터의 추정 시장규모에 적용함으로써 마이데이터 도입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연구하였다. 마이데이터는 개인데이터에 관한 관리와 활용이 정보주체인 개인에게 있음을 강조하고, 개인 중심으로 데이터 권한, 데이터 제공, 데이터 활용이 기본원칙임을 명시한다. 미국과 유럽은 스마트 공시제도와 GDPR 시행을 통해 마이데이터를 선도적으로 발전시키고 있으며 국내 또한 데이터3법 개정 이후 2022년 1월 1일부터 전면 시행하였다. 마이데이터 도입은 소비자 편익 증가, 정보 비대칭성 해소. 네트워크 효과, 외부성, 규모 및 범위의 경제 증가 등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측정한 결과, 데이터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중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산업 평균값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금융데이터를 기준으로 추정한 국내 마이데이터 산업의 시장 규모는 ‘20년~’22년 동안 연평균성장률(CAGR) 13.4%로 성장하여 28년에는 6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며 ‘21년~’23년 동안 마이데이터 시장규모 증감률보다 마이데이터 시장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더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데이터는 개인데이터의 권리를 강조하며, 금융 분야를 시작으로 타 분야의 개인데이터와 융합하기 위하여 활발히 진행 중이다. 현재 마이데이터는 금융데이터를 중심으로 서비스되고 있으나, 향후 공공, 의료, 에너지 등 비금융 데이터까지 결합되면 마이데이터 산업은 고부가가치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 무역 확대를 통한 북한의 경제 위기 극복과 한국의 지원 방안

        김옥룡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2000년 6월에 개최된 남북한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은 서방국가들과의 관계개선 노력을 하고 있으며, 남한과의 경제협력사업에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비록 북한의 1990년대 무역·대외경제 확대정책은 경제재건이라는 당초 목표에는 실패를 하였다고는 하나, 북한의 최악의 위기상태에 놓여있던 경제난은 조금은 회복 된 것으로 보이며 남한을 포함한 자본주의 국가와의 경제관계를 계속 유지 확대하려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또한 각종 외자유치관련법안의 정비, 경제특구 내에서의 북한화폐 태환 보장에서 볼 수 있듯이, 최근 북한의 대외경제 정책은 과거의 소극적인 정책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진전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북한은 1990년대 초반부터 심각해진 경제난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대외개방을 통해서 외국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여 산업생산증대, 무역활성화 및 경제성장을 도모하였다. 북한은 정권출범 초기부터 사회주의 국가건설과 자립경제 구축이라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1990년대에 표출된 세계경제의 급속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최악의 위기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소련·동유럽을 축으로 하는 사회주의체제의 붕괴로 인해 북한의 대외무역의 60-70% 내외를 차지하던 사회주의 시장의 소멸과 사회주의 국가를 중심으로 한 경제협정에 따른 우호가격에 의한 물물교환과 청산계정 방식이 경화결제 방식으로 바뀜에 따라 심각한 외화 부족으로 전력, 에너지, 원자재 사정이 경제를 마비시킬 정도로 악화되어 1990년대 9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며 최악의 경제위기를 맞게 되었다. 또한 북한의 핵 확산 금지 조약(NTP) 탈퇴와 장거리 미사일 개발 등으로 미국, 일본, EU등 관계국과 주변국들의 경제제제 등 고립화만을 자초하여 개혁 개방을 위한 노력이 물거품이 되고 있다. 2002년 북한은 4년 연속 플러스 성장에는 성공하였으나 성장세는 1.2%로 둔화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2001년의 성장률 3.7%의 3분의 1수준으로 성장의 동력이 한계에 달한 느낌을 주고 있다. 남북한 정부 당국자 간에 금강산 육로관광과 해로 관광 재개, 개성공단의 공동개발, 경의선과 동해선 철도 연결공사 합의, 쌀 40만 톤 차관제공 등 경제적인 협력체제의 구축에 힘을 쏟는 등 북한은 남한의 지원과 협조가 절대적인 상황이다. 위기에 처한 북한의 경제를 살리기 위하여 여러 가지 처방이 있겠으나 우선 북한당국이 전향적인 자세로 국제적인 신뢰를 회복하고 외자를 유치하고 무역산업을 개발육성하고 해외시장을 개척하여 경제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남한의 70년대부터 이룩한 경제개발 성공사례를 연구하여 북한이 비교우위에 있는 산업과 남한을 대체할 수 있는 분야에서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것들이 장기적으로 남북의 동질성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고 통일을 위한 민족의 합의를 도출하고 통일 비용을 절감하는 절대적인 작업이라고 생각 한다. 그 동안 남한과 북한은 비거래 성 경제관계와 더불어 경제협력 관계가 많이 발전을 하였지만 외자 유치를 통한 고부가가치 산업을 개발하고 해외시장을 개척하여 무역이 북한 산업 전반에 획기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과 연구를 하는데 기폭제가 되기를 기대 한다. South and North Korea summit conference that is held June, 2000 by meter North Korea being doing relation improvement effort with the western countries, is expressing active interest in economic cooperation business with South Korea. Trade/outside economy extension policy looks that economic that it is lain in the one, worst crisis state of North Korea that failed in target very first time called economic goods agenda is gotten back a little in the 1990s of North Korea. although, economic relations with capitalistic country including South Korea position to magnify continuation oil and fat adhere to. Also, as can assume in full equipments of various abroad capital infancy connection bill, North Korea money conversion guarantee in special economic zone, North Korea's the outside economy policy can be evaluated that is marched relatively when compare with past negative policy recently. North Korea introduces foreign capital and technology through outside opening by one way to solve economic woe that became serious from early 1990s and planed industry production enlargement, trade activation and economic growth. North Korea was faced in worst crisis situation because do not escape and does not cope spontaneously in fast change of international economy that is expressed in the 1990s in formality that is socialism country construction and viable economy construction since government sailing early. Because is worsened enough to military strength, energy, raw material circumstance paralyzed economy by serious foreign money insufficiency according as barter by friendship price by economy agreement and open account way change by hardening settlement way laying stress on socialism market's extinction and socialist country which occupy 60 - 70% interior and exterior of North Korea's foreign trade by crash of system of society week that do Soviet Union/Eastern Europe by roller, took a worst economic crisis recording the 1990 9 years series negative growth. Also, effort for innovation opening is becoming bubble incuring quarantine such as economic sanction of nation concerned and on the outskirts such a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apan, EU by North Korea's nucleus spread prohibition treaty NTP· secession and long-range missile development etc. North Korea succeeded in 4 years series plus growth in 2002 but is giving impression that growth was assumed that is slowed by 1.2% and power of growth of this reaches by 1/3 level of growth rate 3.7% of 2001 in limit. Bend in construction of economical cooperation system such as Mt Kumgang land route sightseeing and sea route sightseeing resume, joint development of character industrial complex, Seoul-Shinuiju railway and Dong Hea railroad connection construction mutual agreement, rice 400,000 ton vice-minister offer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government officials and North Korea is situation that support and cooperation of South Korea are absolute. There will be various kinds prescription to live North Korea's economy that is been confronted with crisis but North Korea authorities thinks that recover international trust by forward-looking attitude and invite foreign capital and must consider way to develop and rear trade industry and reclaim oversea market and overcome an economic crisis first. Because studying economic development success example that accomplish since the 1970s of South Korea, must try so that can construct cooperation system in field that North Korea can alternate industry and South Korea in comparative advantages and advance to oversea market. Become opportunity that these things recover homogeneity of South-North for long-term and draw mutual agreement of the nation for unity and think that is absolute work that reduce unity expense. Expect that recentl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ecome explosive to study with support that economic cooperation relation developed much but develops high added value industry through induction of foreign capital along with rain transaction sex economic relations and is many so that reclaim oversea market and trade can motive epoch-making change on North Korea industry whole.

      • 企業構造調整에 대한 租稅政策課題와 稅制合理化 方案

        노석우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1997년 말의 IMF 경제위기와 세계무역기구(WTO)의 출범 등 대내외 경제여건과 환경변화에서 기업이 생존하고 국제경쟁력을 갖추려면, 우리기업의 제도·의식 및 관행을 Global Standard에 맞추어 가야 하는 변화를 거듭할 수밖에 없고, 경제·사회 전반에 걸친 구조조정 내지 구조개혁(Structural Reform)이 국가적 당면과제가 되었다. 구조조정은 경제·사회 각 부문에서 함께 이루어질 때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이다. 특히, 기업구조조정은 경제운용의 주체인 기업(Enterprise), 기업집단 또는 기업주가 경제 및 산업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조직변경, 사업조정, 재무구조개선 등을 통해 기업보존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울이는 자구노력이라 하겠다. 이러한 기업구조조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제도로는 합병, 기업분할, 사업 또는 자산의 양수도, 현물출자, 주식교환, 채무조정, 기업개선작업(Work Out)등이 있다. 미국·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합병·분할·주식교환 등 기업구조조정을 지원하는 세제를 오랜기간동안 정교하게 다듬으면서 운용해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IMF 경제위기를 맞아 우리경제의 체질을 개선하기 위해 기업구조조정을 강력히 추진함에 따라, 세제가 구조조정과정에서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각종 조세특례제도를 단시일내에 도입하여 기업구조조정을 지원하는 세제를 운용해오고 있다. 이처럼 우리의 기업구조조정지원세제가 구조조정 유형별로 조세지원의 실효성과 적정성 등을 사려깊게 검토할 겨를도 없이 급히 도입됨에 따라 세제의 경제효율과 공평 등 「바람직한 세제」의 요건을 일탈한 각종 조세특례제도가 적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 IMF 경제위기 이후 약 4년동안 외환위기를 극복하고 기업구조 조정촉진법의 제정 등 상시구조조정 제도의 기틀이 마련된 현시점에서, 조세정책이 추구해나가야 할 과제를 되돌아보고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현행세제의 합리화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그동안 운영해온 조세지원제도가 적정한지를 살펴보고 기업구조조정 유형별로 조세특례제도를 전면적으로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ⅰ) 조세전문가도 이해하기 쉽지 않은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각종 비과세·감면조항을 간명하게 정비하여 조세감면체계를 단순화하고 ⅱ) 구조조정 유형별로 조세지원대상의 적합성, 지원수준의 적정성, 지원방법의 합리성을 비롯하여 조세지원의 실효성 등을 재검증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기업결합방식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합병관련 세제는 세제지원 유형별 합병요건에 일관성이 부족하고 적용요건이 느슨하여 조세회피소지가 있거나 현실과 괴리된 부분이 있으므로 ⅰ) 미국에서처럼 합병요건 중 실사업목적, 주주소유관계의 연속성, 사업의 계속성 요건을 보강하는 한편, ⅱ) 현실적으로 지키기 어려운 이월결손금 승계사업에 대한 구분경리 요건은 완화하는 등의 세제보완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업분할요건의 보완, 현물출자에 대한 세제지원대상 확대, 채무의 출자전환에 대한 과세유예, 과세이연방식에 의한 세제지원원칙 등 기업 구조조정에 대한 현행 세제의 미비점 등을 합리적으로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have the enterprises develop their competitive power on the world market and survive in the change of economic circumstance such as the economic crisis of Korea in the end of 1997 and the departure of WTO, we should adjust our business system, our way of thinking and tradition to the global standard over and over again and make a structural reform in our economy and society as a national confronting target. Simultaneous structural reform in economy and society will be effective. Above all, business reorganization is a blood-and-tears endeavor which a business entity, a group of enterprises and an enterpriser make in order to maintain his business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his business through organizational reform, business adjustment and financial structure improvement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economic and industrial circumstance. The useful means for the business reorganization are merge, split-up, business and property transfer, investment in kind, stock exchange, liability adjustment and work out etc.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and Germany, have trimmed for a long time and applied elaborately their tax system which supports the business reorganization such as merge, split-up, and stock exchange etc. But Korea, when driving the business reorganization strongly in order to improve the structure of its economy in confronting economic crisis, has applied the tax system which supports the business reorganization by introducing many special tax programs in a short period of time to avoid being an obstacle itself. As Business-reorganization-supporting-tax-system was introduced in haste without sufficient time to consider deeply whether it will work effectively and properly according to the type of business reorganization or not, it may have many kinds of special tax program which deviate 「desirable condition」of taxation system such as equity and efficiency.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economic crisis has been overcome for 4 years and the regular business reorganization system, such as business reorganization acceleration law, has been prepared, the assignment to do on tax policy should be looked back upon, and the way to improve the current tax system for business reorganization should be looked for. Specially, we need to change the whole special tax program according to the type of business reorganization after examining whether the taxational supporting program is proper or not. For this ⅰ) the tax exemption system should be simplified by rearranging the tax exemption and reduction provisions about business reorganization which is difficult even for tax specialist to understand. ⅱ) And the effectiveness of tax support, including the fitness of supported object and the propriety of supporting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business reorganization, should be re-inspected. And, owing to inconsistency between the use of business reorganization condition and the tax supporting type, the merge-related tax, which has been generally used for business combinations, contains unreality and potentiality of tax evasion. Therefore ⅰ) we need to add the new conditions, such as real business purpose, continuity of stockholder ownership and continuity of business to the merge condition and ⅱ) to make less strict the condition of separated accounting on the business taking over the deficit carried forward, which is actualy hard to follow. And, we should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current business-reorganization-supporting-tax-system, such as supplement of split-up condition, extension of tax support to investment in kind, taxation deferment on dept-equity swap, tax supporting rule by taxation postponement etc.

      • 남북한 경제통합과정에서 북한 토지개발이익의 이용에 관한 연구

        이기덕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북한의 최종상태가 붕괴되어 급진적으로 흡수통일 될 것을 가정할 때, 남북한 경제 통합과정에서 북한 토지개발이익 처리문제가 통일한국의 미래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사안 중의 하나라고 가정하였다. 그것은 그동안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부조리하게 만드는 근본적인 원인 중에 하나가 ‘공익의 사유화 현상’이었고 그 중심에는 토지와 관련된 불로소득이 있기 때문이다. 토지개발이익을 개별 토지소유자의 창의와 노력에 관계없이 공공에 의한 토지자산 가치 상승분으로 정의할 때, 토지개발이익은 불로소득이다. 따라서 통일을 통한 남북한의 연계발전을 위해서는 남북한 경제통합과정에서 발생할 막대한 토지개발이익이 사유화 되지 않고 공익으로 환수 할 수 있는 경제제도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먼저 토지개발이익의 합리적 평가를 위해 그 실체와 성격을 가치론과 지대·지가론을 통해 규명하면서 더불어 토지개발이익과 토지임대료와의 관계를 밝혔고, 토지개발이익 사회환원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북한 토지개발이익 이용 연구시 시사점을 도출하였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통일과정에서 북한 토지개발이익 처리가 기회와 장애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고, 개발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북한지역의 인구정책과 산업정책과 연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국토계획은 남북한 균형발전과 동북아시아 연계발전을 도모하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 또한 원소유권문제의 선결이 필요하고, 이러한 토지개발이익의 환수가 개인의 창의와 자율적 토지지용을 제한하여서는 안되며, 토지개발이익은 계층간·지역간·남북간 형평성을 고려하여 배분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도 운영과 관련하여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춘 전담기관이 필요하다. 북한 토지개발이익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서는 남북한 경제통합과정에서 북한 토지제도는 조지스트사상에 기초한 공공토지임대제도가 되는 것이 적절하다. 중국의 공공토지임대제도의 실패와 개혁과정을 타산지석으로 할 때, 공공토지임대제도의 적용시 중요한 것은 토지의 배분과 임대료 책정은 시장경쟁방식과 정보의 공개를 반드시 전제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토지임대료는 적절한 수준으로 매년 납부하는 방식을 통해 주위 개발에 따른 토지개발이익이 사유화 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공토지임대제도는 북한이 중국의 토지개혁 모델을 모방하여 왔기 때문에 토지사유화제보다 북한 주민들이 적응하기에 용이한 점도 그 적용가능성을 높힌다. 북한에서 공공토지임대제도를 통해 토지개발이익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토지이용제도는 상세국토계획이 중심이 되어야 하고, 토지임대료 결정은 감정평가에 의한 평가와 시장의 경매 또는 입찰이 병행되고 상호 피드백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렇게 경제통합과정에서 북한 토지개발이익을 확보하여 이용한다면 그 기대효과로 막대한 통일비용 부담을 덜고, 남한정부의 재정위기 해결의 실마리를 풀 수 있다. 또한 토지개발이익을 금융상품화 하는 과정은 낙후된 금융산업 선진화의 원동력이 될 수 있고, 더불어 토지개발이익의 환수로 확보되는 세수만큼 다른 경제조세를 감세하고, 토지가치 안정화에 따른 생산원가 감소와 창업 및 개발의 활성화 등은 모두 국가경쟁력 강화로 연결 될 것이다. 나아가 불로소득은 환수되고 기회의 균등은 보장된다는 가치가 실현될 때 통일한국의 사회적 통합을 기대할 수 있다.

      • 한국의 거시경제 변화에 따른 채권 금리 반응 분석 : Taylor rule을 가정한 분석방법을 중심으로

        권창진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향후 금리 변화의 예측에 도움을 얻고자 한국의 거시경제 변화에 따른 채권 금리의 반응 행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시장 금리는 채권종류별로 다양하게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시장금리로서 국채 3년 및 5년 금리와 회사채 A+ 및 AA- 3년 금리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분석 모형으로는 정책금리가 거시경제 변화에 반응하는 정도를 효과적으로 나타낸다고 알려진 Taylor rule 을 가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해서 여타 채권수익률이 동일한 거시경제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변수로는 인플레이션률, GDP성장률 갭 및 전기의 콜금리를 사용하였다.분석결과 첫째, 우리나라에서 3년만기 A+등급으로 대표되는 회사채 금리는 대체로 국채 금리의 반응 형태와 유사한 모습을 보였는데, 이것은 회사채의 경우 신용 리스크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거시경제 변화에 대한 금리 반응도에 있어서는 국채금리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3년 만기 회사채 AA-등급 금리의 경우 2000년 4분기 이후 자료부터 이용이 가능하긴 하지만 특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다른 금리가 GDP 갭에 어느 정도 반응성을 보인 반면, 3년 만기 회사채 AA-등급 금리는 인플레이션뿐만 아니라 GDP 갭에 대한 반응이 무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반면 콜금리에 대한 반응도는 다른 채권들에 비해 가장 크게 나타났다.둘째, 1999년 이전에는 각각의 금리가 콜금리나 GDP 갭보다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크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999년 이후에는 인플레이션과의 관계가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데 비해 콜금리에 대한 반응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1999년 이전에는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경제의 주요 관심사항이 인플레이션이었으며 채권금리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것을 말해준다. 반면 1999년 이후에는 인플레이션이 낮은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채권 시장의 주요 관심에서 멀어진 것으로 보이며 채권금리와의 관계도 무의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1999년 이후 콜금리에 대한 반응이 크게 나타난 이유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콜금리를 기준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인플레이션 타겟팅 금리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채권시장의 관심이 한국은행의 금리정책에 집중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셋째, 1999년 이후의 시기에 채권관련 리스크가 클수록 즉, 신용위험이 없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국채 보다는 신용위험이 존재하는 회사채의 경우에 그리고, 단기채권인 국채 3년 금리 보다는 보다 장기인 국채 5년 금리의 경우에 통화정책의 변화에 대한 반응도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신용리스크, 금리리스크 등 채권관련 리스크가 금리변화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넷째, 기간 구분에 관계없이 각 금리의 GDP 갭에 대한 반응도는 큰 변화 없이 일정한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콜금리로 대표되는 통화정책이나 인플레이션과 관계없이 경기 상황에 대하여는 항상 일정 수준의 반응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한·미 FTA 체결이 국내 의료서비스 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정길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ackground of the Korea-US FTA talks and examine the economic effects on our domestic medical service markets opened by the FTA in reference to other nations' cases and thereupon, suggest some desirable ways to develop our medical service industry.A FTA between Korea and US would act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economic dynamics in the East Asia, encouraging such major trading partners to have similar talks with Korea. In addition, the FTAs with major trading partners would help to enhance our external reliability, generating a positive synergy effect on our strategy of building a Northeast Asian economic hub.The major topics in the FTA talks are to be medical businesses and health & social welfare services, so the primary bones of issue will be about FDI in our private medical institutes, activation of private medical insurances, mutual recognition of professional licenses and free movement of medical manpower between two nations.Since Korea has already allowed foreign capitals invested in our free economic zones, the Korea-US FTA is expected to influence our medical service industry including such sectors as BT, IT and NT. Such influences and changes would give us some positive opportunities to develop our medical service industry, but they might cause various problems including collapse of the public medical insurance system due to commercialism, bankruptcies of small clinics, wider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in medical services and the like, which require sufficient discussions and a national consensus for the mutual benefits. Nevertheless, in mid- and long-term, an open medical service market would have a considerable positive effect on our medical service industry in terms of increasing employment and consumer welfare.Furthermore, if medical licenses should be mutually admitted between two nations, not only would the advanced medical technologies benefit us but many of our medical professionals would be employed in the United States.So, in order to maximize positive effects on Korea-US FTA which create a spillover effect across the industries is to be taken appropriate political and economic measures before and after FTA. 본 연구는 한미 FTA 추진배경과 국내의료서비스시장 개방에 따른 영향 및 경제적 기대효과를 외국의 사례와 문헌을 통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의료서비스산업 발전을 위한 바람직한 구조조정방향과 대응정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한·미 FTA는 정치적 안보위주의 한미동맹을 경제를 포함하는 포괄적 동맹으로 확대·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거대경제권인 미국과의 FTA체결은 동아시아의 경제적 역학구도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호주, EU 등 주요 통상 상대국들을 한국과의 FTA 협상테이블로 유인하는 효과를 촉발할 것으로도 기대된다. 또한 미국을 포함한 주요통상대국들과의 FTA 체결은 대외신인도를 제고하여 동북아 경제허브전략에 긍정적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보인다.의료서비스시장 개방의 주요 협상대상은 사업서비스와 보건·사회서비스 등으로 외국인 투자에 의한 영리법인 허용, 민간보험 활성화와 개방, 전문의료 인력의 자격 상호인정 및 국경 간 자유로운 인력이동 등이 주요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우리나라는 이미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의 영리법인 설립을 허용하여 의료서비스시장의 개방을 시작하였다. 따라서 의료서비스 시장의 전면 개방은 BT, IT, NT 등 의료서비스 관련 산업과 우리나라의 의료제도 등의 변화와 개혁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시장개방을 통한 이러한 변화는 의료서비스산업 발전에 긍정적 기회로 평가되고 있으나, 민간 보험 활성화와 개방에 따른 공적 보험의 붕괴나 영리법인의 경제적 수익추구 등으로 인한 공공의료의 몰락, 영세 병의원의 수익성 악화와 도산, 그리고 의료서비스의 고급화, 차별화에 따른 국민 부담 증가와 양극화 등 의료서비스시장 개방으로 예견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하여 추진과정에 충분한 국민적 합의와 철저한 대비책 마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의료서비스시장 개방에 따른 외국자본의 투자증대와 고용창출 및 산업 내 경쟁을 통한 소비자 후생증대 등 단기적 부작용에 비하여 중·장기적 국내의료서비스산업 발전에 긍정적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그리고 전문의료 인력의 국경 간 이동과 면허의 상호인정 등이 이루어지면 한미 양국 의료 인력의 상호 시장진입이 자유로워지고 이는 선진의료기술의 유입을 가져와 의료서비스 질 향상과 새로운 해외고용창출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또한 한·미 FTA체결이 우리 경제 전반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적절한 정치·경제적 후속조치를 함으로써 산업상호간 선순환적인 확산효과(Spillover Effect)가 나타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한·미 FTA의 경제적 효과

        조태형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세계의 통상환경을 살펴보면, WTO 체제에서 자유무역협정(FTA : Free Trade Agreement)을 중심으로한 지역주의(regionalism)가 가속화 되고 있는 상황으로써, 현재 발효 중인 186개의 지역협정의 체결을 시기별로 살펴보면 70년대 이전 5개, 70년대 12개. 80년대 10개에 불과 하던 것이 90년대 64개, 2000년 이후 95개가 체결되어 최근 지역주의의 광범위한 영향을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한국은 2006년 4월 1일 한-칠레 FTA가 발효 2주년을 맞았고, 2006년 3월 2일 한-싱가포르 FTA가 발효되었다. 그리고 2005년 12월15일 한-EFTA FTA에 정식 서명하게 되었다. 그 외에 한-일본 FTA, 한-ASEAN FTA, 한-멕시코 FTA, 한-캐나다 FTA, 한-인도 FTA, 기타 FTA등 한국정부는 “동시다발적 FTA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FTA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06년 2월 2일 (미국현지시간)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 Free Trade Agreement) 협상을 시작 한다고 공식 선언 했다.미국은 우선 동아시아에서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한국을 동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일본과 중국을 제치고 자유무역협정을 협상하고 있다. 이러한 한·미 FTA의 협상을 동아시아의 FTA Hub로 하여 한·미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간다면 그 파급 효과는 일본, 중국 등 아세안 국가들의 경제에 모두 영향을 주게 되고 동북아시아 및 아세안국가와 함께 한국이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한·미 FTA의 당위성이 요구된다.첫 번째로, 해외 무역의존도가 70%가 넘는 한국은 해외시장의 확보가 경제성장의 중요한 핵심 과제로서 한·미FTA를 통하여 세계최대의 시장을 확보함으로써 일본,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경쟁국에 앞서서 한국 산업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된다.두 번째로, 그동안 한국경제는 발전과정에서 수출주도형으로써 제조업 발전이 중심이 되어 왔으므로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효율화를 기하고 한·미 FTA를 특히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향상의 획기적인 기회로 만들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세 번째로, 한·미FTA를 통하여 외국인 투자자를 보호하는 방안을 마련하므로써 경제구조를 선진화 하고 외국으로 부터의 FDI의 증대를 기대 할 수있다.네 번째로, 한·미 FTA를 통하여 정치, 외교, 안보,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정치, 외교, 안보와 함께 경제적 효과를 높이고, 또한 이러한 효과로 인하여 한국의 대외 신인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다섯 번째로, 피해가 예상되는 분야에 대한 강구로써, 한·미FTA는 국가전체로 보면 이득을 가져오지만 농업, 서비스업등 일부 부문에서는 피해가 우려되며, 또한 예상되는 피해에 대한 정밀한 영향분석을 거쳐 업계의 의견을 반영한 범정부적인 지원대책과 적극적인 보상 조치를 취해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여섯 번째로, 한·미 FTA 체결의 극대화를 위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에서의 경제적분야, 정치적분야, 산업적분야의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홍보 함으로서 국민들의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야 할 것이다.결론적으로 세계 통상질서는 다자주의(multilateralism)와 지역주의(regionalism)의 현상이 공존 하면서 급속히 변화 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세계의 각국은 무한 경쟁에서 존재하기 위한 다양한 FTA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제 세계통상에 있어서 FTA는 피할 수 없는 필수적 상황이 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한국의 발전전략은 적극적인 FTA전략을 통하여 FTA를 새로운 인프라로 삼아 개혁과 개방의 선진 경제체제를 구축하는데 가능한 모든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When looking into recent world trade environments, it showed a tendency accelerating regionalism centering around Free Trade Agreement (FTA) under the system of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And, to review 186 regional agreements entered into force by period of time, there were only 5 agreements before 1970s, 12 in 70s, and 10 in 80s, however, it had made drastic increase in number by marking 64 in 90s and 95 since after the year of 2000 indicating a wide range of influences of regionalism conspicuously in recent days.Korea met 2nd anniversary of Korea-Chile FTA on 1 April 2006, and as of 2 March 2006, Korea-Singapore FTA was taken effect. And as of 15 December 2005, Korea-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EFTA) FTA was officially signed. Besides, the Korean government has built up FTA network on the basis of shotgun approach in propelling the strategy relative to FTA, including Korea-Japan FTA, Korea-ASEAN FTA, Korea-Mexico FTA, Korea-Canada FTA, Korea-India FTA and other FTAs.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Korean government officially declared that they started negotiating Free Trade Agreement with the United States, which is the world’s biggest market, as of 2 February 2006 (local time in the U.S.). America is now engaged in negotiation of FTA firstly with Korea that located in an important position in geopolitical aspect in the Far East region putting Japan and China aside.If we could develop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the U.S. in a more productive way making the negotiation of Korea-US FTA an important occasion so as to take a role as a hub of FTA in far-east region, such a derivative effect shall have influences on economy of ASEAN countries including Japan, China and so on. Here, it thus requires oughtness - the right objective as it should be, of Korea-US FTA in order for Korea to play a pivot role together with nations in the Far East and ASEAN countries as well.First, the most important and core issue in the growth of Korean economy where foreign trade dependency is more than 70% is to secure overseas market, and by securing the world’s largest market through Korea-US FTA, it is expected that Korea will be able to build up a beneficial environment for her industry ahead of competing countries in Asia including Japan and China.Second, as Korean economy has developed on the ground of manufacturing businesses relying upon export-driven strategy in the course of its development, it is thought that industrial structure should be more advanced to reach highly sophisticated technology level and pursue higher efficiency, and that Korea-US FTA should be utilized as an important occasion, especially to improve productivity of service industry.Third, by preparing a method to protect foreign investors through Korea-US FTA, advancement of economic structure and increas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rom overseas countries can be expected.Fourth, it is expected that, through Korea-US FTA, Korea’s credibility before the world could be more strengthened in the aspects of politics, foreign affairs, national security, also effectiveness of economy along with politics, foreign affairs and security shall be improved. Therefore, FTA between Korea and US shall make a contribution to improve nation’s credibility before the world due to effects as such.Fifth, Korea-US FTA will surely bring a benefit to people when seeing it in the perspective of entire nation, however, there are worries in such areas as agriculture, service industry and so 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ice a plan in advance to be ready for those areas being expected to get damages and it is thought that comprehensive pan-government measures to support those damages having reflected opinions from the industry through close analysis of impact in relation to damages should be established, and also that measures for compensation thereof should be taken in an affirmative manner.Sixth, to maximize efficiency of the process of negotiation to conclude Korea-US FTA, it is required to induce or encourage people’s participation and their supports by carrying out active publicity activities having analyzed its impacts on economy, politics, and industry in both negative and positive respects.In conclusion, all nations in the world exert their best efforts to spread out a wide variety of strategies to gain advantages in FTA in order to survive from limitless competitions amid rapid changes of the world trade order while experiencing multilateralism and regionalism.Now, FTA has become an inevitable agenda no nation can avoid in the world trade. Thus, further development strategy shall be that Korea must exert every possible strategic and political effort in order to build up innovative, open and advanced economic system taking FTA as a new infrastructure through implementation of strategy relative to FTA in an affirmative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