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가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최영재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how the values of college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influence the career-decision making style,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career guidance for college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to become a professional person. To achieve this aim, a survey was carried out on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hair, skin esthetic, make-up, nail art) in colleg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between April and June 5, 2014, and 332 copies among them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 of analysis. Collected data was used for SPSS 18.0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female students were the majority with 309 persons (92.0%), 99 respondents among them were senior students (29.5%), and 235 students (69.9%) responded that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beauty art major was ‘because they had interest and aptitude’, implying that large percentage of students give priority to their interest and aptitude in selecting their major. Yet 181 students (53.9%) answered that ‘I did not take an aptitude test upon entering the college’, implying that still there are more colleges that do not administer an aptitude test. Presently, the skin esthetic was taken up by most students as a detailed major, with 181 students (53.9%), followed by majors of Make-Up, Hair, and Nail Art. Most desired field of employment after graduation was opening a personal shop or franchise shop, with 145 respondents (43.2%), followed by working at a hospital,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department store or goods corporation. Sightly high percentage of respondents, 187 students (55.7%), said that they obtained esthetic-related national certificate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factors for values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were values of material orientation, ego-realization orientation, practicality orientation, emotion-orientation, social-relation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of-others orientation. Factors for satisfaction with major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included satisfaction with subjects, class, relation, and awareness; and factors for career maturity were purposefulness, decisiveness, preparedness, confidence, and independence. Factors for career decision-making were rationality, intuitiveness, and dependence. Third,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showed distinct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for values, except for material-oriented and emotion-oriented values; and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nd their career maturity showed distinct corelation in terms of all factors for values. Gratification with major of beauty art students and career maturity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except fo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career maturity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nd career maturity also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all factors. Fourth, with regard to difference in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students in upper grades showed higher values of material orientation and ego-realization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of-others orientation, and students in lower grades showed higher social relation-oriented values and emotion-oriented values. With regard to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specific major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material-oriented values and ego realization-oriented values were high in majors of skin esthetic, and social relation-oriented values and practicality-oriented values were high in majors of hair. Students who want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material orientation, ego-realization orientation, and social relation-orientation. With regard to the different satisfaction with maj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students of skin esthetic or hair major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different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howed high career maturity, and students of skin esthetic or hair major showed high preparedness, and students who want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showed high career maturity. With respect to different career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kin aesthetic majors, and students intending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s showed high rationality in decision making. Fifth, the results of analysis of influence between values, satisfaction with major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re as follows.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were turned out to influence every factor for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maturity, especially the values of ego-realization orientation showed the biggest influence.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influence every factor f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Satisfaction with majors by beauty art college stud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maturity, and it was analyz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every factor f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This research outcomes are significant in that it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 rational decision making concerning the career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the impact of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tyle. Through this research, a career educational course for the right and accurate career decision-making by beauty art students, as well a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이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미용전공대학생이 전문직업인으로 나아가기 위한 진로지도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14년 04월부터 06월 05일까지 수도권 지역의 미용전공대학생(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 대상으로 332부를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의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은 여학생이 309명(92.0%)으로 높았으며, 학년은 4학년이 99명(29.5%)으로 나타났고 미용전공을 선택한 동기는 ‘관심과 적성이 있어서’가 235명(69.9%)로 나타나 학생들이 전공 선택 시, 자신의 관심과 적성을 고려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입학 시 ’적성검사를 받은 적이 없다’가 181명(53.9%)으로 아직 적성검사를 하지 않는 학교가 더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세부전공은 피부가 178명(53.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메이크업, 헤어, 네일 전공 순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취업희망분야는 개인 샵 또는 프랜차이즈 샵이 145명(4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 백화점 또는 제품회사의 순으로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관련 국가자격증을 취득하였다는 187명(55.7%)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요인은 물질지향 가치관, 자아성취지향 가치관, 실용지향 가치관, 감성지향 가치관, 사회관계지향 가치관, 타인의식지향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요인은 교과만족, 수업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으로 나타났으며, 미용전공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요인은 목적성, 결정성, 준비성, 확신성, 독립성으로 나타났다. 진로의사결정유형 요인은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간에는 물질지향, 감성지향가치관을 제외한 모든 가치관 요인과 뚜렷한 상호관련성을 보였으며, 가치관과 진로성숙도간에는 모든 가치관 요인과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가치관과 진로의사결정유형 간에도 모든 가치관 요인과 상호관련성을 나타냈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 간에는 수업만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간에는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나타냈다.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간에도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넷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고학년일수록 물질지향, 자아성취지향, 타인의식지향 가치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학년일수록 사회관계지향, 감성지향 가치관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물질지향과 자아성취지향 가치관은 피부전공이 높았으며, 사회관계지향과 실용지향 가치관은 헤어전공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은 물질지향, 자아성취지향, 사회관계지향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는 고학년일수록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헤어·피부 전공학생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는 고학년 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피부나 헤어전공학생이 다른 전공학생에 비해 높은 준비성을 보였으며,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의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의 차이는 고학년과 피부 전공자,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에게서 합리적 의사결정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진로의사결정유형간의 영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장 많은 영향력을 보인 것은 자아성취지향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은 진로의사결정유형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는 진로의사결정유형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용전공대학생의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전공대학생의 바르고 정확한 진로결정을 위한 진로교육과정 개발과 향후 전문직업인으로써 직무만족 향상 및 자부심 고취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미용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미용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만족, 전공만족이 진로결정,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2년제, 4년제 미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황수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find out how field practice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satisfaction affect career path determination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of beauty majors, and to establish a systematic direction for cultivating professional beauty workers at the university concerned. The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f-controlling questionnaire to students of two-year and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data analysis collected was used by SPSS Ver. 24.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showed that the two-year system was female for gender, first grade for grade, middle grade for grade, hair for major, and the most suitable field practice period was four to five weeks, and the most suitable field practice period for the second grade for the first semester, The four-year system was followed by women in gender, third grade in grade, middle grade in grade, and hair in major, and the most suitable field practice period was four to five weeks, and the most suitable field practice period was the first semester in grade 2. Second, based on the survey of the surveyors' field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field satisfaction is based on two factors: satisfaction with hands-on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hands-on training, Major satisfaction is due to three factors: 'textbook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wareness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is due to 'planning', 'purpose' and 'researchability', Job preparation activities were classified as two factors: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y' and 'self-improvement activity'. Third, the impact of field satisfaction on career path determination in the survey target is defined as the two-year system is defined as the lower the factors of on-site practic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ropensity of the on-site practical experience satisfaction, and the more the factors that satisfy the practical training, the more the planning factors, the lower the on-course decision, Field exercise satisfaction is not related to the purpose and impact of career decisions, The higher the propensity of the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hands-on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hands-on training, the more the factors of studyability, the more factors that are subordinate to career decisions, were identified as the relation of the definition, The four-year system is defined as an increasing number of planning factors, which are sub-factory factors for fieldwork satisfaction, that are sub-factor of course determination, The higher the propensity of the laboratory experience satisfaction factor, which is a sub-factory factor of the on-site practic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relevance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y factor of the career decision, The higher the propensity of the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factor, the lower the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factor, the more the studyability factor, was found to be the relation of the definition. Fourth, the impact of fieldwork satisfac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r of the survey subjects was found to be due to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which is a sub-factory factor of field practice satisfaction, and the tendency of practical education satisfaction factors of both two and four-year system, The two-year system was defin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mprovement behavioral factors, a sub-factor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s the propensity for the on-site practical experience satisfaction and practical education satisfaction factors increased, The four-year system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an increasing number of self-improvement behavioral factors, a sub-factor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s the propensity for satisfaction factors in practical education, a sub-factor of on-site practical satisfaction. Fifth, the impact of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path determination by the survey target is defined as the two-year system has a higher tendency toward curriculum satisfaction factors, which is a sub-factor of major satisfaction, and the more planning factors, which are the sub-factor of career decision, The purpose,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decision, is not related to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tendency of the factors of curriculum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wareness satisfaction, which are lower 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the more research factors that are lower factors of career decision, were found to be the relation of the definition, The four-year system is defined by the definition that the lower the factors of the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tendency of the factors of curriculum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wareness satisfaction, the more the factors of planning, the lower the factors of career decision, Objective,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decision, has no influence with major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propensity for curriculum satisfaction factor, the more research factor was found to be. Sixth, the impact of the major satisfac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r of both the two and four-year system was found to be due to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which is a sub-factor of the major satisfaction, which is a sub-factor of the job preparation behavior, The two-year system is defin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mprovement behavioral factors, which are lower factors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higher the tendency of the curriculum satisfaction factors, which are lower factors of the major satisfaction, The four-year system has been shown to be the definition of an increasing number of self-improvement behavioral factors, a sub-factor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s the tendency toward relationship satisfaction factors, a sub-factor of major satisfac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o combine practical training contents and theoretical background before field practice, On the problems you might encounter in the hands-on lab, you should draw up a textbook for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How to send students to the most suitable practitioners based on a questionnaire that students can find out about the desired occupational groups and the basic information they want to support and the surveyors they are interested in, To help students with uncertainty about their majors, they should suppor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ptitude tests for their majors and desired occupational groups to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In the case of social beginners, only students who want to be guided based on problems caused by employment and who want to be certified by the vocational group during the vacation will be provided with the Diploma education, Lastly, when preparing the curriculum, it suggests guiding students to become more knowledgeable about the subject in depth by ma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advanced classes of the subject,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beauty care. 미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실습만족과 전공만족이 진로결정과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관련학과의 대학에서 전문적인 미용산업 종사자를 배양하기 위한 체계적 방향을 정립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는 서울·경기 지역의 2·4년제 대학교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연구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2년제는 중간성적의 1학년 여학생, 전공은 헤어, 가장 적당한 현장실습 기간은 4∼5주, 가장 알맞은 현장실습 실습시기는 2학년 1학기 순으로 나타났고, 4년제는 중간성적의 3학년 여학생, 전공은 헤어, 가장 적당한 현장실습 기간은 4∼5주, 가장 알맞은 현장실습 실습시기는 2학년 1학기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본의 현장실습만족, 전공만족, 진로결정, 취업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을 알아본 결과 현장실습만족은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2가지 요인으로 전공만족은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3가지 요인으로, 진로결정은 ‘계획성’, ‘목적성’, ‘연구성’ 3가지 요인으로, 취업준비행동은 ‘정보수집활동’, ‘자기계발활동’ 2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조사대상의 현장실습만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2년제는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계획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연구성 요인이 각각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4년제는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계획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목적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연구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의 현장실습만족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2·4년제 모두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정보수집활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2년제는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자기계발행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4년제는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자기계발행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의 전공만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2년제는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계획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연구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4년제는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계획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연구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사대상의 전공만족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2·4년제 모두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정보수집활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2년제는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자기계발행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4년제는 전공만족의 관계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자기계발행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장실습 전 실기 위주의 교과 내용과 이론적 배경을 접목한 교육과, 실습 시에 대면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학과의 교과 편성, 학생들에게 희망하는 직업군과 지원하고자 하는 실습업체 및 해당 실습업체에 관련하여 학생이 인식하고 있는 기초정보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설문지를 토대로 가장 알맞은 실습업체에 파견하는 방법, 자신의 전공에 대하여 불확실성을 가지는 학생들에게 개인의 특성 및 전공과 희망하는 직업군에 대한 적성검사를 지원하여 학생들의 전공만족 개선, 사회초년생의 경우 취업 시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토대로 지도하고 희망하는 학생들에 한하여 방학 중 해당 직업군에 필요한 자격증 외에 디플로마 교육, 마지막으로 교과편성 시 해당 전공의 초급반부터 고급반까지의 차이를 둬 보다 해당 전공을 심도깊게 숙지할 수 있게끔 지도하는 것을 제시하며, 미용학과의 학생들을 위한 전공만족 및 취업지도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 남성의 사회적 이미지 형성을 위한 눈썹 형태와 추구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 20〜30대 남성을 중심으로- : 한국과 중국 20〜30대 남성을 중심으로

        왕아정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20∼30대 남성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눈썹 형태와 추구하는 이미지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추론하고, 이를 통해 남성의 사회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있어 추구이미지에 따라 인상 형성에 주요 변인이 되는 눈썹 형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 및 통계에 의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한국 남성의 일반적 특성의 경우 ‘26∼30세’, ‘미혼’, ‘애인 없다(미혼)’, ‘사무/관리직’, ‘대학교 재학 및 졸업’과 ‘고등학교 졸업’ 순이었고, 중국 남성의 경우는 ‘20∼25세’, ‘기혼’, ‘애인 없다(미혼)’, ‘생산/기술직’, ‘대학교 재학 및 졸업’, ‘대학원 재학 및 졸업’ 순이었다. 이를 통해 같은 연령대의 중국 남성이 한국 남성에 비해 일찍 결혼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직업도 한국은 ‘사무/관리직’이 많은 반면, 중국은 ‘생산/기술직이 많았으며, 학력에 있어 중국 남성들의 대학원 진학이 한국 남성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한국 남성의 경우 ‘표준형’, ‘일자형’, ‘아치형’, ‘상승형’, ‘각진형’ 순이었고, 중국의 경우는 ‘표준형’, ‘아치형’, ‘각진형’, ‘상승형’, ‘일자형’ 순이었다. 이를 통해 한국과 중국 남성의 가장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표준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가장 선호하지 않는 눈썹 형태는 한국은 ‘각진형’, 중국은 ‘일자형’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국 남성들이 가장 선호하지 않는 ‘각진형’ 눈썹을 중국 남성들이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 중국 남성들이 남성적인 이미지를 보다 많이 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과 중국 남성 모두 가장 추구하는 이미지는 ‘자연스러운’ 이미지였고, 가장 추구하지 않는 이미지는 모두 ‘귀여운’ 이미지였다. 그러나 한국 남성들의 추구이미지에서 중·하위권에 차지하는 ‘품위 있는’, ‘남성적인’, ‘역동적인’, ‘강인한’ 이미지가 중국 남성들에게는 상위권에 추구하는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중국 남성들에서 하위권을 차지한 ‘부드러운’ 이미지가 한국 남성들에서는 상위권을 차지하여, 추구 이미지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 남성들이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을 하는 데 있어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것 보다는 원만한 관계 형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중국 남성들은 한국 남성들과 비교해 남성적인 이미지를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성적인 강인함을 드러내는 것을 좋아하는 성향이 있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추구 이미지는 고학력일수록 높게 나타나 중국의 사회적 이미지 추구에 있어서 ‘직업’보다 ‘학력’이 우선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사대상의 추구이미지에 따른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한국 남성의 경우 ‘부드러운’ 이미지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표준형’ 눈썹을 가장 선호한 반면, 중국 남성의 경우 ‘자연스러운’, ‘품위 있는’, ‘지적인’, ‘강인한’, ‘발랄한’, ‘남성적인’, ‘도시적인’ 이미지에 모두 동일한 ‘표준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국 남성들은 추구하는 이미지와 눈썹 형태가 갖는 일반적인 이미지가 서로 부합된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과 중국이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남성들의 성향이나 인식의 차이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국에 비해 중국 남성들이 눈썹 형태가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과 외모를 통해 자신의 사회적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인식이 아직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가 중국 남성들의 외모와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사회적으로 더욱 성숙한 남성상을 만들어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적용한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이 고객 감정 반응, 구매 행동 의도, 정보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아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In the 21st century, networking services and digital technologies have considerably developed. As a result, new content has been produced, and communication has changed with the emergence of smartphones and tablets. Previously, information was mostly acquired from customers’ purchase experience, advice from family members or acquaintances, catalogs, and sales clerk explanations. Now, such information searches first occur at the customer’s decision-making stage, and consumers tend to search for reliable information by eliminating uncertainties. They share their experiences and thoughts with other consumers by posting online reviews. Consumers anticipate the highest values from products and services. Their expectations are maximized according to product/service-related search costs, limited information and experiences, knowledge, accessibility, and income level. They enjoy such senses and experience an increase in their tendency to purchase the values they seek, significantly influencing purchase processes, such as additional treatments, styling products, and treatment ticket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types of online reviews and examined their influence on customers. It also targeted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reviews when choosing a beauty salon and ascertained what channels are used to get the information they want. The goals are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customers depending on the degree of elaboration likelihood and suggest how online reviews should be constructed based on understanding how they are used in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For a sample survey, a Naver Forms survey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ere performed against adult men and women who have previous experience referring to online reviews. A total of 354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in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women’, ‘20s’, and ‘single’ were the highest in terms of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respectively. When asked about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college graduate’ and ‘student’ were the most common responses, respectively. When asked if consumer reviews influenced their selection of a beauty salon and if they ever visited a beauty salon after reading consumer reviews, ‘Yes’ was higher than ‘No’. Second,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reliability, usefulness, timeliness, and rightness) were derived in the central route, while two factors (expertise and) popularity) were obtained in the peripheral route. In the customer emotion responses, ‘positive emotional response’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 were derived, while a single factor was obtained in the purchase behavior intention and information-sharing intention. Thir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reviews, customer emotion responses, purchase behavior intention, and information-sharing intention. Fourth,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reviews on customer emotion responses, usefulness, reliability, and accuracy in the central route and expertise and popularity in the peripheral route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while reliability, accuracy, usefulness, and timeliness in the central route and expertise and popularity in the peripheral rout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Fifth,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reviews on purchase behavior inten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timeliness, usefulness, and reliability in the central route and expertise and popularity in the peripheral route. Sixth,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reviews on information-sharing inten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in timeliness and reliability in the central route and expertise and popularity in the peripheral route. Seventh, in the influence of customer emotion responses on purchase behavior inten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Eighth, in the influence of customer emotion responses on information-sharing inten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The above results show that contemporary customers do not rely on information provided by beauty salons. Instead, they get positive or negative reviews on beauty salons and divers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reviews and likes, through diverse online channels. Based on such information, they visit a beauty salon or make a reservation. They also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others and exercise their market pow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online reviews are a key factor to closely watch and monitor to attract new customers and increase sales.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적용한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이 고객 감정 반응, 구매 행동 의도, 정보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21세기를 맞이하면서 네트워크 서비스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콘텐츠가 생성되고,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도입으로 소통 문화가 바뀌면서 과거 정보 탐색은 구매자의 구매 경험, 가족과 지인의 조언, 카탈로그, 판매 원의 설명 등이 대부분이었으나, 소비자가 구매 의사를 결정하는 단계에 서 정보 탐색은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단계가 되었고, 소비자는 의사 결정 단계에 불확실성을 줄이는 과정으로 공신력 있는 정보를 탐색하고자 하며, 온라인 리뷰를 통해 제품 및 서비스의 다양한 경험과 의견을 소비자와 공유 한다. 소비자들은 어떤 제품 및 서비스가 최고의 가치를 제공할 것인가를 기대 하고 있기에 스스로가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탐색 비용, 한정된 정보 및 경험, 지식, 접근성, 소득의 수준 등에 따라 기대치를 극대화하고, 감정 적인 부분에서 느끼는 감각을 즐기며,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구매하고 자 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나면서 미용실에서의 추가 시술, 스타일링 제품, 시술권 등 모든 구매의 전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의 유형은 고객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고객이 미용실을 선택할 때 의존하는 리뷰 정보 특성은 무엇인가, 어떤 경로를 통해 정보는 얻는가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온라인 리뷰에서 보이는 다양한 요인을 정교화 가능성 정도에 따라 고객의 설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중심 경로와 주변 경로의 어떤 신호로 작용하는지 이해하여 온라인 리뷰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한 표본 조사는 미용실 온라인 리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네이버온라인폼과 자기기입식 설문지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을 사용하여 직접 연구의 대상자가 작성하였으며, 354부가 최종 자료로 사용 되었으며, 통계 프로그램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 통계 분석, 일원 변량 분석(One way ANOVA), 독립표본 t-test, 사후 검증 Duncan test, Pearson 상관관계 분석, 회귀 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성별은 ‘여자’, 연령은 ‘20대’, 결혼 여부는 ‘미혼’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최종학력은 ‘대학 졸업’, 직업은 ‘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용실 선택 시 다른 이용자의 리뷰에 영향을 받는지는 ‘예’, 평소 온라인 리뷰를 보고 미용실 방문 여부를 결정한 적 있는지는 ‘예’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의 요인 분석 결과 미용실 온라인 리뷰의 중심 경로는 ‘신뢰성’, ‘유용성’, ‘적시성’, ‘정확성’의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주변 경로는 ‘전문성’, ‘인기성’의 2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고객 감정 반응은 ‘부정적 감정 반응’, ‘긍정적 감정 반응’의 2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구매 행동 의도와 정보 공유 의도는 단일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 고객 감정 반응, 구매 행동 의도, 정보 공유 의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이 고객 감정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본 결과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의 중심 경로 하위요인인 유용성, 신뢰성, 정확성 요인과 주변 경로의 하위요인인 전문성, 인기성 요인이 고객 감정 반응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감정 반응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의 중심 경로 하위요인인 신뢰성, 정확성, 유용성, 적시성 요인과 주변 경로 하위 요인인 인기성, 전문성 요인이 고객 감정 반응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감정 반응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이 구매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의 중심 경로 하위요인인 적시성, 신뢰성, 유용성 요인과 주변 경로 하위요인인 인기성, 전문성 요인이 구매 행동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이 정보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의 중심 경로 하위요인인 신뢰성, 적시성 요인과 주변 경로 하위요인인 전문성, 인기성 요인이 정보 공유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고객 감정 반응이 구매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고객 감정 반응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감정 반응, 부정적 감정 반응은 구매 행동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고객 감정 반응이 정보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고객 감정 반응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감정 반응, 부정적 감정 반응은 정보 공유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오늘날 고객들은 더 이상 미용실에서 제공하는 정보에만 의존하지 않고, 온라인 매체를 통해 미용실에 대한 기본 적인 정보 또는 리뷰 수, 좋아요 수 등에 대한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긍정적 이거나 부정적인 리뷰를 접하여 미용실 방문 또는 예약을 진행하고 각자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미용 시장 지배력을 행사하기도 하며, 온라인 리뷰는 관심을 두고 집중해야 할 핵심 과제임을 인식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신규 고객 확보 및 매출 증대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朝鮮時代 鄕校와 書院의 空間構成과 風水立地에 관한 硏究 : 地域別 주요 鄕校와 書院을 중심으로

        허태호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 시대 교육과 배향 기관인 향교와 서원이 지닌 풍수적 입지상의 특성을 분석하며, 이의 연장선상에서 교육과 문화관광의 측면에서 이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조선은 유교이념이 사회운영의 제반원리로 작동하는 유교국가 체제이다. 국가적 차원에서도 유교국가 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지방민을 교화할 목적으로 향교를 모든 군현에 설립하였다. 향교를 통해 유교 중심의 교육과 문화를 강화, 확대하려는 의도였다. 한편 서원의 등장은 조선사회의 정치변동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조선 중기 사림정치의 도래 이후, 서원은 사림들의 활동 근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향교와 서원은 유교와 풍수사상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유교의 위계질서와 절제미를 표출하고 있으며, 풍수적 지형을 통하여 인재 배출 통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입지와 배치의 측면에서도 산줄기를 타고 오는 지기地氣를 온전히 받도록 하는 풍수지리의 요소를 중요하게 적용한다는 공통점을 지니면서도, 기능의 중요성에 따라 차이점을 보였다. 본 논문은 여덟 곳의 향교와 다섯 곳의 서원을 대상으로 하여, 배향기능과 강학기능 그리고 이와 연계된 공간배치, 풍수적 입수와 혈의 결지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능과 그 중요성에 따라 공간 구성의 차이를 보였다. 첫째, 기능의 중요성에 따른 우선순위의 차이이다. 향교는 선현에 대한 제향, 강학, 사회교화 등이며, 서원은 강학과 제향, 그리고 풍류와 지역사회의 도서관 역할 등이었다. 둘째, 향교와 서원의 배향대상과 공간구성의 차이이다. 향교는 배향대상으로 중국을 포함시켰다. 반면, 서원은 중국을 제외시켰으며, 서원의 학맥을 대표하는 사람 1인을 배향하였다. 따라서 향교는 배향인물이 많았기 때문에 대성전⦁동무⦁서무에 나누어 배향하였다. 서원은 사당에 배향을 하였다. 다음으로 건물 배치의 차이이다. 향교는 배향공간의 대성전과 강학공간의 명륜당을 중심으로, 전묘후학⦁전학후묘⦁좌묘우학⦁우학좌묘 등을 기준으로 삼았으며, 선현을 배향하는 대성전을 위계상 우선시 하였다. 서원은 배향 인물이 적어 전면으로 나오지 못하고 가장 깊숙한 곳에 배치하고 있다. 규모도 작았으며, ‘사당’이라고 명명하였다. 셋째, 강학기능과 배향기능의 공간구성에 있어서 위계질서를 엄격하게 구분하였다. 강학공간은 유학의 가르침을 직접 주고받는 공간이며 배향공간은 제사를 통해 선현들의 가르침을 되새기는 수양공간으로 제례행사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건물의 배치 위치나 높이도 위계상으로 대성전이 명륜당보다 높고 크다. 명륜당의 단과 건물의 높이는 대성전보다 낮아야 하며, 건물의 규모도 대성전 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넷째, 향교와 서원의 입수 영역이다. 향교는 지방의 관부에서 읍성 밖으로 1리 혹은 3리 이내에 배치되었으며, 관부의 남쪽에 배치되지 않았다. 이것은 관부가 자좌오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간섭하지 않기 위함이었다. 향교는 관부의 동쪽 혹은 서쪽에 별도의 지맥을 잡아 배치하였으며, 굳이 자좌오향을 고집하지 않았지만 특이한 점은 대성전이 혈처에 배치한 곳이 많았던 것이다. 반면 서원은 관부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좌향은 자좌오향이 대부분이었으며, 강당을 혈처에 배치하였다. 이것은 사림이 자좌오향을 선호하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혈처에 강당을 배치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강학기능을 중요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향교와 서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시점에서 향교와 서원을 조선시대의 교육기관과 같은 역할로서 기대할 수는 없지만, 점점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를 전승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쉽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의 장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향교, 서원, 강학, 배향, 대성전, 명륜당, 청룡, 백호, 풍수입지, 사당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two majo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Joseon dynasty, played roles to demonstrate order and moderation of Confucianism and to develop talents by Feng Shui topography as the coexisting space with the perspectives of Confucianism and Feng Shui. Hence, with respect to the locations, orientations, and architectures of two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how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were expressed differently with the selection criteria of Feng Shui topography for local officers and noblemen to receive the wisdom from the mountain range; to seek the utilization status and plans of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that had maintained their position as serving places of ancestors for some scholars; and to find out the useful implications of the architectures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To do so, 8 Confucian schools and 5 Seowons in the local administrative cities were investigated as the study subjects including Confucian schools in Seonggyungwan, Naju, Jeonju, Sangju, Gyungju, Cheongju, Chungju, and Chuncheon; and Sosoo, Dosan, Byungsan, Pilam, and Museong Seowons, respectively. They were divided by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firs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spatial functions, organization, and Feng Shui location were reviewed for both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Differences were also reviewed and lastly, their utilization status and plans were approach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was the organizer, either public or private. With respect to the foundation period, Confucian schools had been originated from the Goryeo dynasty and they were established at the local counties in King Seongjong, the Joseon dynasty while Seowons were originated in the 16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Main functions of Confucian schools were memorial service for the ancestors as a top priority followed by pursuit studies and reforming society. Seowons functioned pursuit studies first followed by memorial service for the ancestors and they played roles as public libraries for the communities. In terms of locations, Confucian schools were located in downtown near the local government offices while Seowons were located in the uncrowded areas with good scenery. Second, with regard to differences of the function of serving the past scholars and space, Confucian schools prioritized serving the past scholars including Confucius, 4 Wes, 10 Cheols, and national 18 Hyuns while Seowons served one scholar representing their schools. Therefore, Confucian schools served separating them into Daesungjeon, the East, and the West since the ancestors were many, and Seowons served them in the shrine. With respect to the allocations of architectures, there were allocation criteria in Confucian schools including Jeonmyowhohak, Jeonhakwhomyo, Jwamyowoohak, and Woohakjwamyo based on Daesungjeon and Myungryundang as the spaces for ancestor service and studies, respectively, and they prioritized Daesungjeon to serve the ancestors. Since the number of ancestors to be served in Seowons was not many, the shrine was located deep inside without exposure in front. Third, the hierarchical order was strictly divided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lecture function and orientation function. The Ganghak space is a space for directly exchanging the teachings of Confucianism, and the Orientation space is a training space that reflects the teachings of the predecessors through rituals. Fourth, related to the locations, Confucian schools were located within 1 to 3 Ri out of fortress from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nd they were not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overnment office. This was not to interfere each other since the government office was located as Jajwaohyang. Confucian schools were located in the east or west of the government office following separate vein, and they did not follow Jajwaohyang with clean area of Daesungjeon. On the other hand, Seowons were located in the calm and noncrowded areas without affecting the government office following separate vein, and they followed Jajwaohyang, reflecting its preference by scholars in Joseon. Allocation of auditorium in Seowons at the caves implicated they empathized pursuit studies. Fifth,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s of utilization status as the cultural tourism, Confucian schools were designated as ‘treasures’ or ‘local cultural properties,’ while 9 Seowons were enlisted as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s’ in 2019. In terms of education, both institutions focused on personality education commonly, while the students were children and general public for Confucian schools and multiple targets were for Seowons including children, adolescents, adults, foreigners, and so on connecting with cultural tourism. For future development plans, Korean Seowon Integrative Conservation Management Corps took the initiatives for succession of Seowons. There is Union of Confucian schools for Confucian schools, however, they showed ununified features with loud voices from each scholar, separately, which made the investigator depressed. They should develop educational and playing programs integrating th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o as for the youth to approach them easily without burden. Keywords: Confucian School, Seowon, Pursuit Studies, Serving the Past Scholars, Daesungjeon, Myungryundang, Blue Dragon, White Tiger, Feng Shui, Shrine.

      • 업사이클 패션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한 핵심구매기준 연구

        윤지원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Despite the rise of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fashion industry with nearly 82,000 tons of waste fibers being discharged from the domestic clothing production stage every year, most of the relevant inventory after 3 years are incinerated and buried. In addition, fast fashion brands are rapidly increasing, resulting in environmental destructive production and disposal. As a result, the domestic government and fashion brands are introducing the upcycle system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greenhouse gases and realiz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s consumer awarenes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products and brands has increased, there have been more cases of focusing on eco-friendliness as an upcycled product marketing strategy. However,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ior research and research reports, I have found that high levels of consumer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do not necessarily result in substantial purchases of upcycled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problem. We inte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ing criteria through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upcycled fashion products purchasing criteria, consumers' environmental involvemen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urther help planning and marketing upcycled fashion products based on research results. For this study, we distributed self-administration-type mobile questionnaires to a total of 224 people for a week from November 26 to December 2, 2020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rough the questionnaires, we measur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monthly average income), environmental involvement, and purchasing standards of the upcycled fashion products (design, brand awareness, quality, eco-friendliness, price). We analyzed 233 study subject data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 program, excluding one unfaithful response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 responses.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tudy on the degree of influence of environmental involvement and purchasing criteria on upcycled product purchase, the average degree of environmental involvement was 4.2 points, the influence of upcycle fashion product purchase criteria on the purchase decision was in the order of design, quality, price, eco-friendliness, and brand awareness.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gree of environmental involve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occupation'. 'Women' had higher environmental involvement than 'men', and occupation was in the order of 'housewives', 'unemployed', 'students', 'general office workers', and 'service/sales worker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purchase criteria of upcycled fashion products, the influence on 'eco-friendliness' among the purchasing criteria was significant and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nd `occupation`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Women' were higher than 'men', and occupation was in the order of 'unemployed', 'housewives', 'general office workers', ‘professionals’, ‘services/sales workers’, and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involvement and upcycled fashion products purchase criteria, it was found that ‘eco-friendliness’ and ‘quality’ among the purchasing criteria had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involvement.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involvemen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purchasing criteria of upcycled fashion produc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design' and' eco-friendliness' among the purchasing criteria. Design has the negative (-) relationship with 'age', and positive (+) relationship with 'average monthly income' and eco-friendliness has the positive (+) relationship with 'gender' and 'environmental involvement'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s the cause of the problem found in the background of the study by deriving factors that affecting the purchase and key criteria for purchasing upcycled fashion products, taking into account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roughout the fashion cycle process. There is also practical significance in providing practical information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upcycled fashion products to fashion brands that handle upcycled products. 국내 의류 생산 단계에서 배출되는 폐 섬유가 매년 약 8만2000t에 육박하며 패션산업으로 인한 환경문제가 대두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3년이 지난 재고를 소각 및 매립 처리하고 있다. 이에 더불어 패스트패션 브랜드가 급증하면서 환경파괴적 생산 및 폐기 과정에서 배출된 온실가스가 지구온난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이에 국내 정부와 패션브랜드는 온실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환경 지속가능성을 구현하고자 업사이클 시스템을 도입하는 추세이다. 제품 및 브랜드의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업사이클 제품 마케팅 전략으로 친환경성을 강조하는 사례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국내외 선행연구 및 연구보고서를 통해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인식수준이 업사이클 제품의 실질적인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문제를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업사이클 패션제품 구매기준과 소비자의 환경관여도, 인구통계학적 특성 간 상관관계를 통해 구매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업사이클 패션제품의 기획 및 마케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의 조사는 편의표본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2020년 11월 26일부터 12월 2일까지 일주일 동안 총 224명에게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식 모바일 설문을 배포하였다. 설문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평균 소득)과 환경관여도, 업사이클 패션제품의 구매기준(디자인, 브랜드 인지도, 품질, 친환경성, 가격)을 측정하였다. 수집한 설문 응답 중 비성실한 응답 1건을 제외한 233부의 연구대상자료를 IBM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관여도와 구매기준이 업사이클 제품구매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알아본 결과, 환경관여도는 평균 4.2점이고, 업사이클 패션제품 구매기준이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디자인, 품질, 가격, 친환경성, 브랜드 인지도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환경관여도를 비교한 결과, ‘성별’과 ‘직업’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보다 환경관여도가 높았고, 직업 중에서는 ‘주부’, ‘무직’, ‘학생’, ‘일반 사무직’, ‘서비스/판매직’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업사이클 패션제품 구매기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구매기준 중 ‘친환경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했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 ‘직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직업은 ‘무직’, ‘주부’, ‘일반 사무직’, ‘전문직’, ‘서비스/판매직’, ‘학생’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경관여도와 업사이클 패션제품 구매기준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구매기준 중 ‘친환경성’과 ‘품질’이 환경관여도 간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업사이클 패션제품 구매기준에 환경관여도와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구매기준 중 ‘디자인’과 ‘친환경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디자인은 ‘연령’과 음(-)의 관계를, ‘월평균 소득’과 양(+)의 관계를 갖고, 친환경성은 ‘성별’, ‘환경관여도’와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패션 순환과정 전반에 걸친 환경 지속가능성에 집중하여 업사이클 패션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핵심구매기준 도출을 통해 연구 배경에서 발견한 문제의 원인을 규명한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 업사이클 제품을 취급하는 패션브랜드에게 소비자 인식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실무적 의의가 있다.

      •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성장마인드셋 및 행복감의 관계

        진동희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31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성장 마인드셋 및 행복감의 관계 감정을 다루는 미용서비스업 종사자는 직업 특성상 고객과의 갈등이 빈번하고 예민한 상태가 되어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고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회복탄력성은 가장 필요한 자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회복탄력성과 함께 성공에 필수적인 신념으로 성장 마인드셋을 들 수 있다. 회복탄력성과 성장 마인드셋은 역경을 극복하고 성장하기위한 필수 요소로서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고객의 만족을 위해 유연한 감정조절이 필수인 미용서비스 종사자에게 매우 중요하게 작용된다. 이렇듯 회복탄력성과 성장 마인드셋, 행복감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인식하고 꾸준히 연구되고 있으나 그 수가 아직 미비하고 미용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성장 마인드셋, 행복감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성장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을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성장 마인드셋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감정조절이 필수인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성장 마인드셋을 높여 성취목표에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성공전략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지역의 미용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322부의 설문지가 최종적인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이 사용되었으며,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공변량 구조모형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은 여성이 높게 나타났고, 나이는 20대가, 결혼여부는 미혼이,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업무분야는 메이크업이, 직책은 디자이너(실무자, 강사, 관리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 평균 수입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 성장마인드셋, 행복감 문항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Cronbach's α 값이 0.909에서 0.938로 문항들 모두 내적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 성장 마인드셋, 행복감의 구성개념별로 사용한 설문항목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를 높이기 위해 수정지수를 참고로 문항을 제거하여 최적상태로 구성하였으며, 요인부하량과 집중타당도, 개념신뢰도를 검증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회복탄력성, 성장 마인드셋, 행복감 요인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모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하나의 구성요인이 실제로 다른 구성요인과 얼마나 다른가에 관한, 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판별타당도를 입증한 결과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판별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여섯째,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은 성장 마인드셋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장 마인드셋은 행복감의 내적행복, 외적행복, 자기조절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이 유의미한 정(+)의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장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 행복감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자기조절능력이나 대인관계, 긍정성과 같은 탄력성 제고 차원의 복지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미용서비스 종사자들의 행복감은 고객을 상대로 지식과 인성, 감정 등으로 표출되어 기업의 성과와 직접적 관련을 갖기 때문에 미용서비스 종사자들에게 경제적 보상이나 단기적인 동기부여보다는 그들의 행복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기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성장 마인드셋의 강화를 위해 교육기관 및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가에게 제대로 된 코칭을 받을 수 있게 전문가 양성 배출에도 힘써야 한다. 전문가에게 회복탄력성 제고를 위한 상담,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관리와 관련해 상담이 가능하게 하고 이들이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회복탄력성과 성장마인드셋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되었던 회복탄력성과 성장 마인드 관련 연구는 주로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을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비하고, 미용서비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실제로 장기적으로 노력해야 적응적으로 독립할 수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회복탄력성과 성장 마인드셋의 관계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첩부제 TV광고에 나타난 패키지 디자인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가영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21st century's modern society has entered the era of population aging and low birth rates. In the change of this society, the modern people’s desire to lead a healthy life grows. As long as people exist, the pharmaceutical industry has to develop for the future and it has become a major industry and a necessity. Since 2012 the pharmaceutical market, the 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and the reduction price of medicine, have gone through a big change. In this situation, the profit of specialized medications (Prescription only medicine) of each pharmaceutical company was reduced. Therefore, while meeting increasing demand on general pharmaceutical, each pharmaceutical company gains income-generating opportunities to increase its reputation through TV advertising. In a growing pharmaceutical market, for the success of income-generating opportunities of general pharmaceutical, the advertising strategy depend on companies and brand awareness can be viewed as being important. Although all of the pharmaceutical companies felt the importance of TV advertisement and have been aired TV advertisement, they did not aware of the power of package design displayed in the TV advertisement. To inform the information and awareness of the medicines through the TV commercials are effective. However, package design in the TV commercials might be more important because it brings decisive influence on the actual consumers. Ultimately, the thing that exposed directly and affect the consumer is a package design of pharmaceutical. Thus, in order to create successful profit of general medicines, the company needs to consider both the TV advertisement and package design which are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cines. Also among general medicines, there is essential TV advertisement concept and package design for aging society. According to this concept and package design, we are going to conduct research about how it affect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And by this research, we need to re-recognize the importance of package design in the TV advertis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among domestic patch brands, we select four domestic patch brands that are broadcasting on TV commercial. The four domestic patch brands are Sinsin Pas RX, Trast, Kefectech, and Ketotop.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patch TV commercial focu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bout appeal type of TV advertisement. And in order to figure out the impact of five different design elements on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onsumers, we conduct a survey. The five different design elements are Brand logo, Color, Typography, Layout, and Illustr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to verify the hypothesis using the SPSS2.0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resulting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by the package appeared in the patch TV commercials, we received analysis that the package brings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onsumers. Second, based on the design elements of the package design in the patch TV commercials, we were able to know that it brings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Especially color and illustration of the design elements of the package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purchasing decisions of consumers. Third, from the analysis results, patch is low-involvement product. As a result of four domestic patch brands TV commercial types analysis, they were using emotional appeal type. Which means that low-involvement product reflect the ego worth in order to make purchasing decisions or it can be seen and interpreted that low-involvement product is using emotional appeal type because it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for product information. Especially, among emotional appeal type, warmth appeal brings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ing intention of the consumers. Thus, for a successful revenue of patch, the company ne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medicines and in order to bring positive impact on the purchasing intention, they hav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package design. Also they need to unify the concept of advertisement and package design by constituting a advertisement scenario.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very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about "how can we effectively attract consumers through package design in TV commercial." From these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re-recognize the importance of package design in domestic & foreign patch TV commercials and to suggest a direction of patch TV advertisement using TV commercial and package design. So we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promoting the patch income-generating opportunities of pharmaceutical companies. 21세기 현대사회는 저 출산과 인구고령화 시대에 접어들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 속에서 현대인들의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면서 제약 산업은 인간이 존재하는 한 계속해서 유지되어 발전되어질 수밖에 없는 미래지향적이고 없어선 안될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매김 되었다. 현재 제약시장은 2012년 이후 의약분업과 약가인하 등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각 제약회사들의 전문의약품에 대한 수익이 줄어들게 되었다. 따라서 각 제약회사들은 일반의약품을 통해 늘어나는 의료 수요도 충족시키면서 자사의 인지도를 높여 수입창출을 기회를 얻고자 TV광고를 통해 일반의약품을 홍보하는데 집중하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앞으로 커져가는 제약 시장에서 늘어가는 일반의약품의 성공적인 수익창출을 위해서는 해당 약품의 기업이나 브랜드의 인지도에 좌우되는 광고 전략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모든 제약회사들이 TV광고에 중요성을 느끼고 TV광고를 방영하고 있지만 TV광고 속 나타나는 패키지 디자인의 힘을 인지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TV광고를 통해 의약품의 정보와 인지도를 알리는데 효과적이지만 실제 소비자들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패키지 디자인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볼 수 있다. 결국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의약품의 패키지 디자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의약품의 성공적인 수익창출을 위해 해당 의약품의 특성에 맞춘 TV광고와 패키지디자인을 함께 고려해야하며, 일반의약품 중에서도 고령화시대에 없어선 안될 첩부제만의 TV광고 컨셉과 그에 따른 패키지디자인이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TV광고 속 패키지디자인의 중요성을 재조명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첩부제 브랜드 중에서도 TV광고를 방영하고 있는 4개 브랜드 ‘신신파스 아렉스, 트라스트, 케토톱, 케펜텍’를 선정하였다. TV광고의 소구유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국내외 첩부제 TV광고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첩부제 패키지 디자인을 패키지 디자인 요소인 브랜드 로고(Brand logo), 컬러(Color),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레이아웃(Layout),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5가지 요소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통계 분석은 SPSS 2.0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첩부제 TV광고에 패키지가 등장함에 따라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둘째, 첩부제 TV광고 속 패키지디자인의 디자인 요소에 따라 소비자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패키지 디자인 요소 중 컬러와 일러스트레이션이 가장 소비자들의 구매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첩부제는 저관여 제품이며, 국내 4개 첩부제 브랜드 TV광고 유형을 분석해본 결과 감성적 소구유형을 활용하고 있었다. 이는 저관여 제품일수록 구매결정을 내리는데 자아가치를 반영하거나, 제품 정보에 대해 큰 영향을 받고 있지 않기 떄문에 감성적 소구 유형을 활용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특히 감성적 소구 유형 중에서도 온정소구를 활용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한 TV광고가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첩부제의 성공적인 수익창출을 위해서는 TV광고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의약품의 정보를 전달하고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패키지디자인을 중요성을 인지하여 광고 시나리오를 구성해 광고와 패키지디자인이 상호간에 컨셉을 통일시켜 진행해야 할 것이며, TV광고 속 패키지 디자인을 통해 어떻게 효과적으로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 것인가에 대한 전략이 매우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국내외 첩부제의 TV광고 속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TV광고와 패키지 디자인을 활용한 첩부제만의 TV광고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의약품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제약사의 첩부제 수익창출을 촉진시키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 코로나-19 시대에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습자 특성과 블렌디드 러닝이 학습 몰입 및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송이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에 미용 실기교육과 관련하여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습자 특성과 블렌디드 러닝이 학습 몰입 및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학습 몰입과 교육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온, 오프라인 미용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실증조사는 2020년 12월 22일부터 2021년 1월 14일까지 서울·경기 지역 미용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종 413부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자, 나이는 만 19세 이상∼21세이하, 학년은 2학년, 대학 유형은 2~3년제 전문대학교, 전공은 헤어, 전공선택 동기는 적성, 흥미, 졸업 후 희망 진로 유형은 취업, 전공 만족도는 중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습자 특성, 블렌디드 러닝, 학습 몰입, 교육 만족도의 요인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은 학습 가치, 학습 효능감, 학습 애착 3가지 요인으로, 블렌디드 러닝은 수업 내용, 의사소통, 인지도, 암기적 특성 4가지 요인으로, 학습 몰입은 학습 집중, 학습 흥미 2가지 요인으로, 교육 만족도는 교육 효과, 교육 내용 2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학습자 특성이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에서 학습 가치, 학습 효능감, 학습 애착이 높은 사람들은 학습 집중,학습 흥미의 학습 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 특성이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에서 학습 가치, 학습 효능감, 학습 애착이 높은 사람들은 교육 효과, 교육 내용의 교육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블렌디드 러닝이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가 블렌디드 러닝으로 학습할 때 수업 내용, 의사소통, 인지도가 높을수록 학습 집중과 학습 흥미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블렌디드 러닝이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가 블렌디드 러닝으로 학습할 때 수업 내용, 의사소통, 인지도가 높을수록 교육 효과가 높아지고, 수업 내용과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교육 내용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결론 및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온라인 교육으로 미용 실기 과목을 무리 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 미용업은 현장 경험이 매우 중요한 만큼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디자이너, 산업체 대표들과 협업하여 현재 유행에 맞는 실전 활용 시술 팁,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특이사항, 문제점 해결방안에 관련된 교육 영상을 제작하여 교육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은 원활한 의사소통과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수업에서 미처 습득하지 못한 학습 내용을 다른 경로로도 충분히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환경이 중요하다. 학습 내용을 공유하고 다른 학습자들과도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다양한 SNS를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자와 소통의 부재를 느끼지 않고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미용 실기 과목은 섬세한 교육이 요구된다. 학습자 개개인 특성을 고려한 1:1 멘토와 매칭을 통해 일률적인 학습 관리 방식이 아닌 학습하는 데 있어 다소 뒤처지는 학생 모두 끝까지 학습에 흥미를 잃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받고, 수업 시간 이외에도 부가적인학습 내용에 관한 도움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블렌디드 러닝은 동일한 교사 실재감을 주기에 한계가 있다.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실기 과목 학습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별그룹 활동을 통해 학습 내용을 공유하고, 학습 능력이 각기 다른 학생들로 그룹을 형성하여 각자의 강점을 바탕으로 도와가며 원활한 학습 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 이때 각자 본인의 학습 자세를 동영상 촬영하여 교수자에게 지도받는 맞춤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차후 연구를 위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이 서울, 경기 지역 미용학과 학생 대상으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다소 한계가 있으므로차후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지역과 다양한 대상으로 표본 설계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본 연구의 변인인 학습 몰입, 교육 만족도의 요인 구성이 학습집중, 학습 흥미, 교육 효과, 교육 내용으로 구성이 다소 한정적이기 때문에 차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인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코로나-19 시대에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 몰입과 교육 만족도를 높이기위한 다양한 연구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 미용 관련 소비성향과 선택속성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누림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research analyzes effect of beauty related consumption propensity and selection criteria on consumer behavior in order to encourage positive consumer behavior and suggest improvements to serve as basic data for academic and practical purposes. For empirical research, total of 453 surveys were collected from hair salon consumers around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n SPSS 24.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omen, ages 21 to 30, bachelor’s degree enrolled/graduate, married, average monthly income of 1 million won to less than 2 million won and students were the most common responses. Second, for salon usage and preference, most had a regular hair salon of choice, preferred salon type was a none-franchise salon with more than 1 and less than 5 employees, frequency of visit was once every two to three months, mode of transportation was by car, main purpose of visit was for a haircut, preferred salon location was close to hom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for hair salon was from 10,000 won to less than 30,000 won, most preferred perks were discount coupons, most desired potential service besides hair related services was massage, and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for selecting hair salons was from family, friends and colleagues. Third, factor analysis of consumption propensity, selection criteria and consumer behavior yielded three sub-factors of conspicuous consumption, comparative consumption and practical consumption for consumption propensity, four sub-factors of professionalism, price, exterior and relationship for selection criteria, and three sub-factors of positive promotion, trust and intention to revisit for consumer behavior. Fourth, analyzing the 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y on selection criteria indicated higher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ractical consumption resulted in higher trust, while higher comparative consumption and practical consumption resulted in higher focus on price. Higher propensity for conspicuous and comparative consumption resulted in higher focus on external factors such as appearance. Also, higher practical consumption propensity resulted in higher emphasis on relationship while higher comparative consumption resulted in less focus on relationship. Fifth, analyzing the 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y on consumer behavior indicated higher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mparative consumption resulted in higher chance of positive promotion, and higher conspicuous and comparative consumption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trust. Higher practical consumption propensity resulted in lower trust but higher intention to revisit. Conclusions based on aforementioned outcomes are the following. First, as consumers with higher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ractical consumption propensities were more open to purchasing additional services, hair salons should utilize online advertising channels such as YouTube to suggest current hair trends and use such content to encourage additional hair services in order to maximize marketing influence on existing consumers. Also, since consumers with practical consumption propensity tend to be loyal while those with comparative consumption propensity are at risk of selecting better options elsewhere, hair salons should focus their efforts on existing consumers who have demonstrated long-term loyalty via regular visits and provide them with special discounts or points system based on visitation history. Second, since consumers with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mparative consumption propensities tend to feel positive about consumption and are willing to engage in positive promotional behaviors, hair salons could suggest trendy new styles and encourage sharing photographs on social platforms such as Instagram for conspicuous consumers and utilize Naver or Kakao Hair Shop services to showcase hair designers’ pedigrees and the salon’s competitive prices to allow consumers with comparative consumption propensity to make informed choices and feel 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service they received. Also, although consumers with practical consumption propensity are less likely to purchase additional services, they tend to have higher intention to revisit. Therefore hair salons should encourage them to revisit by providing accumulative points-based system favoring returning consumer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since research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mainly Korean consumers, there could be interesting and diverse outcomes if research subjects were foreigners visiting hair salons in Korea. Second, because survey questionnaires here were based on hair salons, it’s challenging to generalize the outcomes for the entire beauty industry. Future research on all beauty related fields such as skin care, nail care and make up could provide even more comprehensive insight. Third, consumption propensity, selection criteria and consumer behavior can be approached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procedural aspects. Therefore, there is ample room for further research endeavors predicting internal motivations and external behaviors of consumers in order to create adaptable management strategies within our ever-changing and expanding world. 본 연구는 꾸준히 성장하고 변화해가는 뷰티 업계 소비자들의 미용 관련 소비성향이 선택속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소비자들의 긍정적 구매행동을 높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며 이와 관련된 학문적, 실리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실증조사를 서울과 경기도 지역 거주자 중 미용실을 이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최종 453부의 설문지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은 여자, 연령은 21세 이상∼30세 이하, 최종학력은 대학교 재학/졸업, 결혼 여부는 기혼, 월 평균 소득은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 직업은 학생 다음으로 전문직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미용실 이용실태는 선호하시는 단골 미용실이 있고, 선호하는 미용실 유형은 일반샵(1인 이상 5인 미만), 평균 미용실 방문 횟수 2∼3개월 1회, 미용실에 오고가는 교통수단은 자가용, 미용실 주 이용목적은 커트, 주로 이용하는 미용실의 위치는 집근처, 월 평균 미용실 지출액은 1만원 이상∼3만원 미만, 미용실에서 가장 선호하는 혜택은 할인쿠폰, 미용실에서 머리 손질 외에 받고 싶은 시술은 맛사지, 미용실 정보 제공의 원천은 가족, 친구, 동료가 많았다. 셋째, 소비성향, 선택속성, 구매행동의 차원을 알아본 결과 소비성향 특성은 과시소비, 비교소비, 실용소비 3가지 요인으로, 선택속성은 전문성, 가격, 외관, 관계 4가지 요인으로, 구매행동은 긍정적 구전, 신뢰, 재방문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소비성향이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과시소비, 실용소비에 대한 성향이 높으면 신뢰가 높았으며 비교소비, 실용소비에 대한 성향이 높으면 가격요인에 대한 중요도가 높았다. 과시소비, 비교소비에 대한 성향이 높으면 외관 요인이 높았다. 실용소비 성향이 높으면 관계 요인이 높았고 비교소비 성향이 높아지면 관계 요인은 감소하였다. 다섯째, 소비성향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과시소비, 비교소비 성향이 높으면 긍정적 구전 요인이 높았고 과시소비, 비교소비 성향이 높으면 신뢰 요인이 높았다. 실용소비 성향이 높을수록 신뢰요인은 감소하였고 실용소비 성향이 높으면 구매행동의 재방문의도가 높았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 및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시성향 및 실용성향이 높은 고객님들은 추가적 서비스 구매에 대해 수용적이므로 기존 고객들을 대상으로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유튜브 등의 온라인 광고 채널을 통해 고객님들께 최신 유행 스타일을 제안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실용적 소비를 하는 소비자들은 미용실에 충성적인 방면, 비교성향의 소비자들은 더 나은 대안을 채택할 위험이 있으므로 기존 소비자들 중 꾸준히 방문하는 행위로 미용실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는 실용적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장기 재방문 소비자층을 위한 기간별 할인이나 적립 혜택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과시성향 및 비교성향의 소비자들은 미용실의 추가서비스 구매에 대해 긍정적이고 주위에 미용실 홍보에 대해 적극적이므로 과시소비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최신 스타일링을 제안하고 사진으로 공유할수 있게 하는 인스타그램 마케팅이나 비교소비 소비자들이 가격대비 고품질 서비스라는 것을 인식하게 하기 위해 네이버나 카카오헤어샵을 통해 디자이너들의 경력 및 가격할인 혜택을 명시하여 소비자들이 스스로 미용실에 대해 홍보하고 혜택을 인지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실용 성향의 소비자들은 비록 추가 서비스는 구매하지 않더라도 재방문 의사가 높기 때문에 장기 이용 소비자 적립제도 등 단골 우대를 통한 재방문 장려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차후 연구에 대한 제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이 국내 미용실 이용 일반인 대상이므로 차후 연구에서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표본 설계를 해본다면 더욱 다양한 결과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헤어 미용실 이용 경험을 바탕으로 설문이 이루어졌으므로 일반화 되기는 한계가 있으므로 차후 연구에서는 피부, 네일, 메이크업 등을 포함한 뷰티 관련 모든 업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의 변인인 소비성향, 선택속성, 구매행동 요인들은 심리적, 환경적, 단계적 등 다방면에서 접근해 볼 수 있으므로 변화하고 진화하는 소비자의 심리적, 외관적 행동을 예측하는 다양한 연구가 도출되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