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제조기업의 경영성과와 품질경영시스템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경영혁신의 매개효과 및 조직역량의 조절효과

        유군일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중소제조기업의 경영성과와 품질경영시스템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경영혁신의 매개효과 및 조직역량의 조절효과 -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경영품질 전공 유 군 일 지도교수: 김 성 수 오늘날 한국기업이 처한 국제적 상황은 그리 녹록하지 않다. 특히 기업 간 경쟁은 국가의 흥망을 좌지우지할 만큼 격화되어 가히 전쟁에 비할 수 있다. 한국과 같이 물적, 환경적 자원이 부족한 국가에서는 인적 자원을 활용한 기업의 경영시스템, 그중에서도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축에 무엇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다. 21세기가 품질의 시대인만큼 기업생존과 직결된 품질경영시스 템은 무엇보다 큰 관심을 끌고 있다. 국내 산업에서 중소기업은 어느덧 중추신경으로 자리잡았다. 본 연구는 총 205명으로부터 설문을 받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205명 중에 서 남자가 147명으로 71.7%, 여자가 58명으로 28.3%를 나타냈다. 이는 우리 나라 중소제조기업의 성비를 잘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전사적 품질경영 활동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이 두 변수 간의 관계가 경영혁신이라는 변수에 의해 서 매개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품질경영 활동이 경영혁신에 영향을 미치 고, 경영혁신은 다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조직역량이 품질경영 활동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에 대 해서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2.0을 활용하였는데 빈도분석과 상관분석, 그리고 회귀분 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신뢰도 분석과 타당도 분석을 실 시하였다. 또한 변수의 정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왜도 및 첨도를 도출하였 다. 그 결과 먼저 품질경영시스템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품질경영시스템을 잘 운영하는 것이 기업의 경영성과 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품질경영시스템은 매개변수로 상정한 경영혁신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경영혁신은 품질경영시스템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품질경영활동에 기업의 경영혁 신이 동반될 때, 경영성과가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직역량은 품질경영시스템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성과에 대한 품질경영시스템의 영향력은 제 3의 변수인 조직역량과 관계가 없음을 의미하고 그만큼 경영성과에 대한 품질경 영시스템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의 중소제조기업 지원의 방 향성을 제시했다. 정부는 중소제조기업이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중소기 업의 품질경영시스템 구축에 많은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중소제조기 업의 경우 취약한 자금력에 대하여 국가주도의 중소기업 품질경영시스템을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주제어: 경영성과, 품질경영시스템, 경영혁신, 조직역량, 중소제조기업

      • ESG 경영과 ESG 경영 수준의 변동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정은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ESG 경영과 ESG 경영 수준의 변동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ESG 경영전공 유 정 은 지도교수 : 손 성 진 본 연구는 ESG 경영의 수준과 ESG 경영 수준의 변동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707개 기업을 대상으로 FnGuide에서 2019년부터 2022년까지의 ROA, ROE, Tobin’s Q 등의 재무자 료를 수집하였고,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ESG 기준원에서 공개한 2,121개의 ESG 등급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SG 경영 수준이 양호한 기업이 재무성과가 우수하고, ESG 경영 수준이 취약한 기업이 재무성과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SG 경영 수준과 ESG 경영 수준 변동의 상호작용변수는 일부 재무성과에 음(-)의 영향을 미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 다. 셋째, ESG 등급과 변동의 고저 수준별로 4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재무성과에 대 한 차이 분석을 수행한 결과, ESG 등급과 변동이 모두 양호한 그룹이 모두 취약한 그룹보다 재무성과가 우수하였다. 본 연구는 ESG 경영 수준이 양호한 기업의 재무성 과가 우수하다는 점, 그리고 그 과정에서 ESG 경영의 수준이 증가하는 기업의 재무 성과가 일부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일환으로 기업은 ESG 경영을 꾸준하게 전개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고 있다. 주제어: 지속가능성, ESG 경영, ESG 등급, ESG 변동, 재무성과

      • 경영자 환경적 특성이 기업의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정유선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역사상 산업화가 시작된 후 수많은 경영자와 학자들은 훌륭한 경영자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한 경영을 위한 방법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다. 경영자 개인의 경영 능력은 결국 경영자 특성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경영자의 선발과 경영 환경의 구성이 기업의 성과와 직결 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관심과 대안이 중요한 경영 요소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경영자의 환경적 특성이 기업에 미치는 기여도에 따라 기업의 가치와 경쟁력은 좌우 되며, 이는 경영자의 개인적 특성과는 별개로 기업경쟁력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즉, 경영자의 경영성과 보상과 연계된 경영자의 스톡옵션 등의 인센티브여부, 경영자 교체여부, 또한 경영자 자신이 경영하는 기업의 주식 소유(지분율) 여부의 세 가지 요소가 대표적인 경영환경특성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영자환경 특성은 기업의 가치평가에 영향을 미치며, 그 가치평가의 기준은 회계수치로 기록되고 제시하며 신뢰성 있는 정보로 판단되어 시장에서 기업의 중요한 가치지표로 받아지므로, 이러한 가치지표를 작성하는 감사품질과 경영환경특성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환경적 특성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가설을 기반으로 하여 관련성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경영자의 환경적 특성으로는 스톡옵션이라는 인센티브를 부여 했는지 여부와 경영자의 교체 여부, 경영자가 대주주로서 기업의 주식을 보유했는지 여부를 독립변수로 감사품질에 통계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즉, 경영자의 환경적 특성이 감사품질(감사보수, 감사시간, 국내 4대 회계법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연구기간을 2009년부터 2014년 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신용등급을 이용할 수 있는 기업 3,984개를 대상으로 영업을 통한 현금흐름, 총자산순이익률 등 다양한 재무지표를 변수로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의 인센티브 관련 내용으로 “경영자 인센티브(스톡옵션)제도가 감사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설은 경영자 인센티브(스톡옵션)제도가 감사보수, 감사시간, 회계법인 규모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는 통계적 검증과 더불어 유의적인 결과로써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경영자 인센티브(스톡옵션) 제도가 결국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되는 것을 검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경영자 교체 관련되어 “경영자가 교체되면 감사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설은 경영자가 교체되면 감사보수, 감사시간, 회계법인 규모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는 통계적 검증과 더불어 역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기에, 경영자가 교체되면 그 즈음에 발생되는 감사품질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편미영․최국현 (2014)의 논문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경영자의 잦은 교체가 장기적인 회사 경쟁력에 도움이 될 수는 없지만 단기적으로 경영 환경을 개선하는 전환점을 맞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일부 검증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주식소유 여부 관련 내용으로써 “주식을 소유한 경영자는 감사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설은 주식을 소유한 경영자는 회계법인 규모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지만,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에는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없는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인센티브나 경영자 교체에 비해 주식소유 여부가 경영자의 환경 특성으로서 유일성이나 시간성에서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는 추정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이세용․송형준 (2005)의 논문에서 보듯이 비교적 경영자의 주식소유 여부가 다른 경영자 환경적 특성들에 비해 감사품질에 덜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계적 분석을 위한 실질적인 표본 데이터는 그 시대의 경영환경, 사회환경, 경영자나 기업가의 경영철학을 대변하는 것이므로 절대적일 수 없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경영능력을 경영자 개인의 능력과 별개로 경영자 환경특성 요인을 정의하고 또한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의 지표로서 감사품질 항목을 선정하여 상호 영향성을 파악하고, 종합적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 중소기업의 경영자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식경영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민병규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의 조직단위를 대상으로 조직성과의 결정변수로써 경영자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지식경영활동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변수의 개념 및 관계 설정을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경영자원을 리더십, 조직이미지, 내부평판, 제품/기술신뢰도로 구분하였으며, 조직성과는 직무만족과 내부성과로 구분하였다. 또한 지식공유 활동도 조직지식 중심형과 정보공유 중심형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서 주로 국내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Stata13.1으로 분석하였다. 표본에 대한 빈도분석을 포함한 변수에 관하여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원과 조직성과에 대한 관계에서 리더십, 조직이미지, 내부평판, 제품기술우위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자원과 조직성과에 대한 관계에서 리더십, 조직이미지, 내부평판, 제품/기술우위는 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경영활동에 대하여 경영자원과 조직성과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소기업의 효과적인 조직경영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과 함께 경영자원을 공유하면서 정체성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경영리더는 효과적인 조직경영을 위해서 다양한 혁신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조직구성원은 개인의 지식과 경험을 조직차원으로 공유 및 확산하는 지식경영을 통해 효과적인 전략경영을 수립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실현하고, 조직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향후의 연구에서는 폭 넓은 지식경영의 활동을 이해하면서도 좀 더 객관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연구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서비스 분야로도 확장하여 신뢰도가 높은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경영자원, 리더십, 변혁적리더십, 카리스마, 지적자극, 개인적배려, 거래적리더십, 상황적보상, 예외적관리, 조직이미지, 지각한 조직정체성, 해석한 외부이미지, 내부평판, 비전공유, 근무환경, 경영안정, 사회적책임, 제품우위, 기술우위, 제품 및 기술, 지속관리, 조직성과, 직무만족, 직무효능, 대인관계, 급여보상, 업무성과, 능률성, 효과성, 공정성, 지식경영, 조직지식중심형, 정보기술중심형 (Abstract) Impact of Managerial Resourc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 Byungkyu Min Department of Asset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Dankook University Advisor:Professor Youngkook Kim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ing the impact of managerial resource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as their determinan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and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or this purpose,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and based on these, managerial resources were classified into leadership, organization images, internal reputation and product/technology reliability whil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were classified into job satisfaction and internal performances. In addition,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organizational knowledge focused activities and knowledge sharing focused activities. Based upon these classifications,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set up. For an empirical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mainly with domestic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a13.1.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f variables were conducted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of the sampl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leadership, organizational images, internal reputation and product/technology advantage were shown to have an impa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leadership, organizational images, internal reputation and product/technology advantage were shown to have an impact on work performance. Third, it was shown that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had a moderating effect on managerial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identity of an organization as well as to share managerial resources with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or the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the strengthening of professionalism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addition, the management leader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hould play various innovative roles for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Members of the organization should be able to realize the value of the enterprise and enhance its competitiveness by establishing effective strategies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that enables sharing individual knowledge and experienc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 the future extension of this study, the improvement in research methods that allow more objective measurement while understanding a wide range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is needed. Furthermore, for higher reliability of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into the service area. Keywords: Managerial resources,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Personal consideration, Transactional leadership, Situational compensation, Exceptional management, Organizational image,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Interpreted external image, Internal reputation, Vision sharing, Work environment, Management stability, Social responsibility, Product advantage, Technology advantage, Product & technology, Continuing managem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Job 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ge compensation, Work performance, Efficiency, Effectiveness, Fairness, Knowledge management, Organizational Knowledge-focused, Information technology-focused

      • 고객만족을 위한 복합 문화예술 공간의 서비스 경영 전략 연구

        한유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과거 ‘문화상품’이라는 공연 예술을 제공하는 기본적 공간으로의 역할에서 현대 여가활용 및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 증대로 복합 문화예술 공간의 역할이 다양해지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역할의 다양화와 세분화된 고객의 욕구에 비해 아직은 복합 문화예술 공간의 많은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연 관람을 위한 계층의 폭이 넓어지고 소비의 습관 및 제공되는 서비스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 현대 소비문화를 바탕으로 복합 문화예술 공간은 과거의 수동적 제공자의 입장에서 변화에 맞추어 시장성을 갖추어야할 필요를 느끼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를 바탕으로 현재 기업 경영에서 가장 관심을 두는 전략인 ‘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 경영이 복합 문화예술 공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실천해야할 경영 목표로 방향을 정하는 사회, 문화적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고객만족이란 어떠한 상품을 구입함으로 만족감을 얻는 것을 넘어서 그로 인한 가치를 제공함으로 고객에게 기쁨과 감동을 주는 것이며 경영적 측면에 있어 일반적 마케팅의 개념보다 광범위하게 해석될 수 있다. 이에 예술의전당, 성남아트센터와 같은 수도권 주요 복합 문화예술 공간에서는 서비스 경영을 실천하고 있는 백화점의 서비스를 벤치마킹하는 등의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위와 같은 복합 문화예술 공간의 변화를 위한 시도를 바탕으로 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 경영 전략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전략으로 고객만족 프로세서 체계를 실천하여 종사원의 서비스 교육 체계를 마련, 고객접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고객의 참여를 유도함과 고객접점 종사원의 고객 니즈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여 반영할 수 있는 피드백을 활용하는 등 방문하는 고객에게 만족을 줄 수 있는 서비스 경영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두 번째,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위해 내부 종사원의 만족도가 높아야한다는 내부 고객 관리에 대한 중요성과 서비스 전략을 구축함으로 모든 종사원의 목표를 설정해야하는 전략이 있다. 세 번째, 점차 다양해지는 고객만족 요소를 위해 시장 조사를 통한 세분화된 전략에 대한 전략을 제시한다. 위와 같은 방안을 통해 기타의 여가문화 시설과 타 복합 문화예술 공간 간의 경쟁력을 갖춘 고유의 공간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기대해본다.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 that played the role of a basic space that provided performing arts called ‘culture products’ in the past has been playing diverse roles owing to the increased demand for utilization of modern leisure and culture and art. Efforts on the part of the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 should be made to meet the rapidly changing diversification of the roles and subdivided customer desires. Based on the modern consumption culture in which the audience classes of public performance have been broadening and consumption patterns and provided services have been diversified, the multipurpose art and culture space needs to be equipped with marketability in line with change from its position of passive provider in the past. Based on such changes,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in which service management for ‘customer satisfaction’, a most touted strategy in current business management, aims to practice to secure competitiveness of the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 has been forming. Customer satisfaction is not just obtaining satisfaction from purchasing goods but to provide customers with delight and deep impression, and from management aspects, it can be interpreted more broadly than general marketing concept. So, major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s in the capital area like Seoul Arts Center, Seongnam Arts Center are making efforts to benchmark the service of department stores that practice service management. Based on the above-mentioned efforts to change the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 I attempted to make a research on service management strategies for customer satisfaction. The first strateg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stomer contact points formed by practicing customer service process system and preparing the service training system for employees.. It presents the service management strategy to provide satisfaction for visiting customers by inducing customer participation and utilizing the feedback system to collect and reflect the opinions of employees at the customer contact points about customer needs Second, it is the goal for all employees to set the strategy to build service strategies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internal customer management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internal employees should be high to provide service for customers. Third, I present the strategy subdivided through market survey for increasingly diversified customer service factors. I expect the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 to grow into the one equipped with competitive power of other leisure culture facilities and other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 through the above-mentioned sways.

      • 건설업에서의 효과적인 지식경영시스템 도입 방안 연구

        허무환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지식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요소로서 사례분석 결과 건설업을 비롯한 국내기업들의 지식경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지식이 기업경쟁력 제고의 핵심요소로 인식됨에 따라 국내 건설업 중심의 지식경영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얻고자 연구하였는데, 공통적인 핵심요소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이다. 사례에 나타난 각 기업들의 최고경영자는 건설산업의 특성 및 지식경영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경영혁신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신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식경영을 도입하고 실천할 수 있다. 둘째, 지식경영 추진전략이다. 지식경영을 추진하기 위한 지식경영 추진전담 조직을 바탕으로 회사별 건설사업 핵심사업 분야에 대한 전략수립 및 각 회사의 특성에 맞는 추진계획과 단계적인 실천이다. 셋째,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한 정보공유이다. 건설업체들은 전국에 산제되어 있는 건설현장의 지식들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존에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트라넷을 비롯하여 그룹웨어 등을 통한 지식관리를 하고 있었다. 건설 개방과 치열한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건설기업들은 현장에서의 노하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공유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지식경영 활용 문화이다. 지식경영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인식과 참여할 수 있는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문화는 지식경영을 활성화 시키고 성공적으로 이끄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요소이다. 개인 및 조직의 지식의 가치를 존중하고 공유할 수 있는 문화가 형성되어야 지식경영이 가능한 것이다. 다섯째, 지식경영 평가보상제도이다. 지시의 마일리지제도 포상, 진급, 교육연수기회 부여 등의 지식활동에 보상은 지식공유를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지식의 창출을 활성화 시킨다. 위와 같은 핵심요소를 크게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지식경영 추진전략, 지식관리시스템의 활용을 통한 정보공유, 지식경영 활용 문화, 지식경영의 평가보상제도 등으로 도출하였다. Case analysis as a key factor to build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showed that knowledge is perceived as a key factor of rais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with throwing the spotlight on knowledge management of domestic compani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companies. S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implications through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centered knowledge management cases. The common key facto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the CEO's leadership. Because CEOs from each companies in cases are conscious of the characteristic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necessity for knowledge management, and they have firm will and convictions about management innovation, they can introduce and practice knowledge management. Second, it is the knowledge management promotion strategy - the establishment of strategy for construction businesses and core businesses according to the companies, appropriate promotion plans and the phased practic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ny based on the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knowledge management promotion to promote knowledge management. Third, it is the information sharing through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companies were carrying out knowledge management through groupware including intranet using in the existing companies in the ways which can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manage and use knowledge in construction fields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They must actively use and share know-how in construction fields to enjoy a dominant position in an open construction and keen competition. Fourth, it is the knowledge management-based culture. The culture, which can share knowledge through organizational members' perception of and participation in knowledge management, is a crucial factor in activating and leading knowledge management successfully. Knowledge management is possible only with the formation of culture, which can respect and share the value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knowledge. Fifth, it is the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compensation system. The compensation for knowledge activities - mileage system reward of direction, promotion,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training - attracts voluntary participation in knowledge sharing and activates the production of knowledge. Above key factors were largely drawn by CEO's leadership, knowledge management promotion strategy, information sharing through the us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nowledge management-based culture,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compensation system.

      • 한국 예술경영교육의 현황 연구

        박권주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에 문화행정이 예술활동에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부여한다는 인식이 커짐에 따라 예술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그런 사회적 요구에 따라 문화예술분야에 종사하고 있거나, 이 분야에 종사하게 될 예술경영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예술경영 교육 기관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89년 단국대학교를 시작으로 최근 2~3년 사이에 무려 20여 개 이상의 대학에서 예술경영 관련 학과들이 개설되었고, 현직 종사자들의 재교육을 위한 예술경영 교육프로그램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우리나라 예술경영교육의 현황을 진단하고 우리 실정에 맞는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은 예술경영분야에서의 대학 정규 프로그램이 과거 40년간에 걸쳐 증가하면서, 전수할 만한 일정한 기술이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고 생각하여 미국과 영국의 예술경영교육 사례를 들었다. 그리고 국내의 예술경영교육을 대학과 대학 밖에서 이뤄지고 있는 정규교육과 비정규 교육으로 나누어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의 예술경영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의 예술경영교육의 문제는 무엇이며, 그 문제점들을 위해 앞으로 개선해야 할 것들은 무엇이 있는지를 도출하였다.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첫째, 비정규 교육프로그램은 그 교육프로그램이 일회성으로 그쳐 문화예술 종사자들이 실제로 겪고 있는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교육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했고,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의 종사자들의 재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역시 부재했으며, 기존에 교육되어지고 있는 연수 프로그램은 문화예술 전문가를 양성하기에 부족했다. 둘째, 대학에서의 예술경영교육은 수적으로는 증가했으나 질적인 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다. 먼저, 교육환경이 부실했으며, 커리큘럼의 불안정성, 낮은 이수학점으로 인해 학습량 부족, 전문 교,강사들의 부족, 학교와 현장간의 연계 부족들이 지적되었다. 이런 문제점들을 보안해 나갈 개선 방안으로 첫째, 실무자들의 효과적인 재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연수 프로그램의 강화와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의 성격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교육프로그램을 위탁하여 교육하는 방식의 맞춤식 위탁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둘째, 학문적 체계 정립의 필요성과 현장과 이론이 함께 소통 될 수 있는 장으로 정기적인 학술회의, 세미나, 심포지엄, 워크샵 등을 개최하는 학회의 활발한 활동이 요구 된다. 셋째, 예술경영 교육의 현장과의 연계를 위한 인턴십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과 팀 프로젝트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인턴십은 대학의 예술경영교과과정의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야 하며, 인턴십 제도의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교육기관과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와의 인턴약정이 체결되어야 하며 인턴십 기관과 훈련 프로그램 사이에 실제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턴십 제도의 담당 코디네이터도 함께 창설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현장실습을 확대할 수 있고 이론과 실제를 파악함과 동시에 사례연구를 위한 팀 프로젝트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예술경영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그 역사가 짧으며, 앞서 살펴본 외국의 예술경영교육의 사례에서도 많은 국가들이 아직까지 예술경영분야의 교육 시스템에 있어 하나의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예술경영교육은 질적인 면보다 양적으로만 팽창하였고 아직은 형성기에 있는 과정이지만 앞으로 끊임없는 교육환경의 개선과 우리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행해진 연구들을 통해 우리의 현실에 적합한 예술경영교육체계를 구축해 나간다면 우리나라의 예술경영교육의 미래도 밝을 것이라 본다. As more and more people acknowledge that cultural administration may give new functions and roles to art activities, the importance of arts management becomes highlighted. In accordance with those social demands, a variety of institutions for arts management education begin to appear, which aim to instruct or train technical personnel specializing in arts management, whether they work actually in culture and art fields or they will do so later. In Korea, departments related to arts management have been opened up in about 20 campuses during recent 2∼3 years, since the first department was established in Dankook University(1989). Also, arts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become rapidly popularized for the re-education of current personnel in arts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iagnose the practices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as booming recently in Korea, and present reasonable policies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 in compliance with domestic circumstances. For these purposes, considering that there are a series of techniques to hand over to follow-up scholars in the course of growing regular education programs in domestic campuses over last four decades, this study showed some examples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in USA and United Kingdom. Moreover, it classified domestic arts management education into regular and irregular education available within or outside campus to examine the educational practices. By looking into domestic arts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in progress, this study indicated what are the questions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in Korea and which of the questions is to improve in the future. The questions in domestic art management education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irregular educational programs have been mostly discontinued, so their educational effects have been too temporary to solve the questions personnel in culture and art often face actually. Besides, there was not any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for re-education of personnel in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And conventional orientation or workshop programs have been considered insufficient to train technical personnel specializing in culture and art. Secondly, arts management education in campus has increased in the level of quantity, but exposed different problems in the level of quality. Above all, many employees in culture and art often pointed out weak educational environment, unstable curriculum, lack of learning or knowledge due to low credits insufficient to complete regular course, lack of specialized lecturers and poor connection between school and art/cultural fields. Remedial solutions to complement these ques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facilitate orientation or workshop programs without a hitch for effective re-education of working-level personnel, while promoting customized education by commission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duly qualified institutions, depending up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econdly, art management and the science of arts management have been still unfamiliar in Korea, and have been not much acknowledged as one of technical jobs. Majority of domestic campuses have not yet implemented intensive and formulated education to train and foster the future arts management personnel. In particular, the operation of domestic cultural institutions still stays in the level of customary mannerism. In terms of methodology, domestic art management has been very underdeveloped as compared with other fields. That is why we should build up arts management in the level of academic system. It is also required to encourage related societies to promote activities such as academic meeting, seminar, symposium and workshop on a regular basis, which may provide a ground to communicate theories(campus) and practices(field). Thirdly,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formulated internship system for interactive connection between arts management education and fields, while facilitating a series of team projects. It is recommended that internship courses should be opened up as required ones in the campus curriculum of arts management. For building up an internship system, internship agreements must be concluded with educational and art & cultural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set up qualified coordinators in the internship system to facilitate practical communications between internship institution and training programs, while facilitating team projects to expand field practices and identify both theory and practice along with case study. The history of study on arts management has been still short around the globe, as well as in Korea. As shown in the above examples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around foreign countries, many countries have not yet developed a single and unified criterion for their education system in arts management. Currently, arts management educations in Korea have been expanded in the level of quantity, rather than in the level of quality. Besides, it still goes through beginning level. However, if we try to build up a system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as compatible in Korea through ceaseless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 along with follow-up studies based on Korea's own circumstances,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of arts management in Korea will be brighter than now.

      • 최고경영자의 특성과 감사품질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김순옥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특성과 감사품질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 대한 표본선정을 위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거래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은 2,153개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우선 최고경영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고경영자의 재직기간이 길수록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고경영자의 소유지분율이 증가할수록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고경영자의 특성과 감사품질이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연령과 감사품질의 대용치인 감사시간과 감사보수를 살펴보면, 최고경영자의 연령이 적을수록 그리고 감사품질이 높을수록(감사시간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사보수가 증가하거나) 기업가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재직기간과 감사품질의 대용치인 감사시간과 감사보수를 살펴보면, 최고경영자의 재직기간이 짧을수록 그리고 감사품질이 높을수록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은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주식소유율과 감사품질의 대용치인 감사시간과 감사보수를 살펴보면, 최고경영자의 주식소유율이 작을수록 그리고 감사품질이 높을수록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추가분석으로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감사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연령이 적을수록 감사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연령이 작은 최고경영자일수록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을 많이 투입하여 회계투명성에 더 많은 신경을 쓰는 경향이 강하며, 이는 결국 대리인비용을 감소시켜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재직기간을 살펴보면, 최고경영자의 재직기간이 짧을수록 감사품질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재직기간이 짧은 최고경영자일수록 회계이익의 질 향상과 투명성을 위해 감사품질을 높이려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결국 대리인비용의 감소로 인하여 기업가치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주식소유율을 살펴보면, 최고경영자의 주식소유율이 낮을수록 감사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식을 소유하지 않는 전문경영자일수록 회계이익의 질 향상과 투명성에 초점을 둘 것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감사품질을 높이려는 경향이 강할 것이다. 이는 결국 기업가치를 증가시키는 유인이 될 것이다.

      • 기업의 복지비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의 복리후생비, 교육훈련비 및 접대비를 중심으로

        박흥서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시대가 변하면서 기업의 복지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구직자들이 기업에 지원할 때 기업의 연봉, 인사체계와 더불어 복지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확인하고 있다. 또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회사의 매출액, 경영성과뿐 아니라 기업의 복지도 중요시되고 있다. 이런 트렌드를 따라 기업들도 복지 강화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으며 기업을 홍보할 때에도 타사 대비 특별한 복지가 무엇인지 어떤 점이 좋은지에 대하여 설명하곤 한다. 그러나 복지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2011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지속적으로 KSE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복지비용(복리후생비, 교육훈련비, 접대비)이 전체기업, 제조업, 서비스업, 금융업 각 업종별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경영성과를 대표하는 변수로는 ROA, ROE, 매출액, 영업이익 4가지 변수를 이용하였다. 각 변수별로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ROA, ROE, 매출액, 영업이익에 독립변수가 미치는 영향이 각 변수별로 모두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각 업종별로도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제조업은 복리후생비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것이 효율적이었으며 서비스업, 금융업에서는 교육훈련비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이는 업종별 특성에 의해서 이와 같은 차이가 야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업의 경우 제품이 이익을 창출하는 수단이라 할 수 있지만 서비스업, 금융업의 경우 이익을 창출하는 주체가 제품이 아닌 인적자원이기에 인적자원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비가 높아질수록 경영성과가 높게 나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모든 업종의 복지비용이 경영성과에 같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 업종별로 복지비용이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업종별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각각 다른 복지비용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복지비용별로 경영성과를 세분화하여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사례가 많지 않기에 본 연구를 토대로 각 업종별로 원하는 경영성과에 따라서 경영자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어떠한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생각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e importance of corporate welfare continues to increase as the times change. When applying for a job, job seekers check the level of welfare of the company as well as the company's annual salary and personnel system. In addition, when the value of a company is evaluated, the welfare of the company as well as the company's sales and business performance are important. Following this trend, companies are more concerned about strengthening welfare, and when promoting a company, they explain what special welfare they have compared to other companies.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well-being, however, relevant research has been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impact of welfare expenses (employee benefits,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entertainment expenses) of companies listed on KSE continuously from 2011 to 2018 on business performance was analyzed by all companies and by industries (manufacturing, service, and finance). Four variables were used for business performance: ROA, ROE, sales, and operating profit. As a result of analysis,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ROA, ROE, sales, and operating profit were all differently derived for each variable. Results were also different for each industr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t was efficient to put more weight on employee benefits, and in the service and finance industries, it was more efficient to put more weight on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This difference seems to b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products are a means of generating profit.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rvice industry and the financial industry, since the main source of profit is human resources, not products, the higher the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 to increase the level of human resources, the higher the business performance.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welfare expenses on business performance varies by industry. This means that different welfare expenses are required to be focused in order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by industry. Since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business performance has been studied by subdividing business performance by types of welfare expenses, in the perspective of executives, it may be possible to think about the business performance desired for each industry based on this study for better decision 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