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말산업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 : 제주 지구력 승마 페스티벌에 대한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고봉조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지구력 승마 페스티벌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산업연관분석(Input-Output Analysis, Inter-industry Analysis)을 연구방법으로 한다. 생산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산업간의 상호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파악하는 분석방법이다. 연구대상인 제주지구력 승마 페스티벌은 국내 최초의 말산업특구인 제주지역에서 2014년 이후 개최되고 있으며, 1회당 예산투입액은 약 2억원이다. 페스티벌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거시경제 측면의 직접적 효과와 미시경제 측면의 간접적 효과로 나타난다. 지구력 승마 페스티벌 행사의 거시경제효과는 행사 개최를 위한 투입금액이 제주경제에 미치는 영향으로, 미시경제효과는 참여기간 동안의 소비증진 효과로 각각 분석할 수 있다. 거시경제 효과는 투입산출 모형을 통해 예산투입이 얼마만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유발하는지를 측정하고, 미시경제 효과는 행사참여로 인해 발생하는 민간소비지출 증대효과(부가가치효과)로 한정하여 체류기간의 소비액 추정을 통해 측정한다.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역산업연관표에 따른 통계가 필요하다. 보통 한국은행에서 제공하는 산업연관표상 30개 대분류 부문으로 구분된 통계자료를 사용한다. 하지만 ‘스포츠’는 ‘문화 및 기타서비스’로 묶여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사회단체’를 따로 추출하여 31개 산업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4년 이후 3개년 페스티벌로 인해 투입예산 대비 1.34배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제주지역 경제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677.8백만원의 거시경제적 효과와 2.2억원의 미시경제적 효과. 거시경제적 효과는 본 연구의 산업재 분류에 따른 스포츠 사회단체에 끼친 영향이며, 미시경제적 효과는 제주도민의 참여로 1.64억원, 타지역 선수 및 관광객 참여로 0.44억원, 외국인 참여로 0.11억원의 민간소비가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7.3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 of ‘Jeju Endurance Horse-riding Festival’. This study was planed on the Inter–industry Analysis based on the interrelation and the statistical comparison between the industries. Jeju Endurance Horse-riding Festival has been held since 2014 in Jeju known as Korea’s first Horse Industry Zone, and an invested budget at one time is about 200 million won. The economic influence of this Festival has a direct effect in macroeconomics and a indirect effect in microeconomics. The macroeconomic effect can be analyzed by input budget’s effect to economy of Jeju and the microeconomic influence can be understood by the promoting consumption during the festival. Indeed the macroeconomic effect is estimated by Input-Output Model, which shows how much input budget causes economic ripple effect. The microeconomic effect is estimated by how much a participation in festival causes enlarging private consumption expenditure during the length of visit. It is needed statistics with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to use Inter–industry Analysis. Usually, researchers use statistics made with 30 big categories in classified inter-industry relations table Bank of Korea provide. However this study reclassifies 31 categories by isolating ‘Sport’ from ‘Culture and The other service’. The result suggested economic impact of 1.34 times over the input budget occurs in economy of Jeju during 3 times of festival. This is a total of 677.8 million won in macroeconomic effects and 220 million won in microeconomic effects. The microeconomic effect increased 164 million won by private participation by Jeju citizen, 44 million won by participation of other players and tourists, and 11 million by foreign participation. In addition, it was estimated that the employment inducement consequence of 7.3 persons occurred.

      • 제주관광보드게임개발을 위한 디자인 연구 : 제주 맵(MAP) 활용을 중심으로

        이재은 濟州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제주도는 오래 전부터 1차 산업과 관광산업이 도민 전체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감귤산업이 WTO에 의한 수입개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관광산업에 있어서도 해외여행의 자유화로 경쟁력이 뒤쳐져 있기 때문에 제주도를 국제적인 관광.휴양도시, 첨단지식산업도시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국제자유도시로 육성.발전시키기 위하여 2002년부터 제주는 국제자유도시(International Free City)로 다시 태어나게 되었다. 또한 단체관광 위주의 여행에서 가족단위, 개별단위로 급속히 변모하는 관광 스타일에 대처하기 위한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쇼핑은 여행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인 동시에 관광지 차원에서는 수입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국의 현재 관광상품은 어느관광지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것들로서 품질 및 디자인적 요소들이 고려되지 못한 제품들이 판매되고있는 실정이다. 이에 그동안의 전통적인 제품으로 일관되어져온 제주관광기념품시장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한 후 새로운 관광기념품시장의 도약을 위하여 제주관광보드게임을 제안하였다. 보드게임은 7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분야이고 현시점에서 새로이 각광을받고있는 분야인 동시에 사회적으로도 인터넷놀이에 매달리던 청소년을 보드앞으로 끌어내 여럿이 어울리는 문화를 만들어 가는 건전한 놀이 도구이다. 이 게임을 통해서 관광지를 방문하기전에는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관광을 마친 후에는 관광지에 대한 좋은 인상을 기억할 수 있게된다. 이를 관광기념품에 접목시키는 시도는 제주의 관광을 다른 시각으로 해석해 보는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 있어서도 그 가치를 둘 수 있다. For a long time, Jeju has had a special industrial structure whose revenue has come from agriculture and tourism. JeJu was reborn as an International Free City in 2002. And this island was developed to multi functional and cutting edged intelligent technology city with plentiful resorts to overcome their economic problems followed by opening tourism and import market according to WTO. Also they changed their tourism style from group unit to individual and family one. Shopping is the most exciting experience for tourists, and it also became the important means for JeJu Island people. However, our tourism industry is lacking for quality and design, furthermore, native goods of JeJu Island can easily be found anywhere in Korea. Tourists want unique, high quality designs comparable to other goods. So I suggested JeJu Tourism Board Game as a souvenir for the new attempt at JeJu souvenir market. The Board game is healthy toy for young people because it can draw them out to the front of the board and make them to get along together instead of staying with computer at home. Through enjoying this game, they can get the information of tourism site before visiting and help to remember it after tour. This attempt to graft the board game on the souvenir has special worth which is a new trial to find out different method for JeJu tourism.

      • 말산업 진흥을 위한 승마 면허 제도 도입 방안

        김기현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의 목적은 말산업 진흥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제주의 말산업은 경마 산업과 승마 산업을 주축으로 발전되어 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말산업육성법에 의해 국내 최초의 말산업특구로 지정되면서, 한라산 둘레길을 따라 에코힐링 관광마로를 조성하고 있다. 말산업 발전을 위한 하드웨어의 구축과 대조적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라는 것이 본 논문의 문제의식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택하였다. 선행연구들과 말산업육성법 그리고 국민여가활성화기본법을 주된 자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승마 면허 제도와 관련된 해외의 사례들도 일정 부분 검토하였다. 국내에서 여가활동의 트렌드는 자아실현이 가능한 활동으로 변화하고 있다. 차별화를 통해 개인의 성취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고급 레저 스포츠를 선호하는 경향을 띠고 있는 것이다. 승마인구의 증가는 그러한 여가활동 트렌드 변화에 따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마인구의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은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승마 면허 제도의 도입이 새로운 수요 창출은 물론 제주특별자치도가 조성한 관광 마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 is to look for a way for the horse industry development. the Horse Industry in jeju has been deveoled by the horse-racing and the horse-riding. Jeju province is appointed as the first Horse Industry Special Area in Korea and making the eco-healing horse-riding course around Halla mountain. This sudy focus on the method to use that eco-healing horse-riding course. Method: The subject of this thesis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the review on the current studies and the Korean Law such as the law to develop the horse industry and the law to activate the lesure sports of the people and also abroad cases. Conclusion: In Jeju, the horse industry has been deveoped especially in the groud of the hardware such as the setting of the eco-healing horse-riding course around Halla mountain. But the software to satisfy the need of horse rider for the self-actualisation through lesure has not been prepared yet. So the introduction of the horse-riding license program must be designed as a software to develop the horse industry.

      • 말산업 육성법 고찰을 통한 말고기 시장 활성화 방안

        오유나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의 목적은 말산업 육성법 고찰을 통해 말고기 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의 말산업은 경마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나, 성장 잠재력과 부가가치가 높은 복합산업으로 대두되면서 2011년 말산업 육성법이 제정되었다. 이 후 2012년 제1차 말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이 수립되었고, 2014년 제주도에 이어 2015년 경상북도와 경기도가 말산업 특구로 지정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말산업은 경마산업 외에 승마의 대중화 및 말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확대하고 있다. 한편 최근 우리가 주로 섭취하는 가축에서 각종 가축전염병이 발생하여 소비자들은 기존 축산물에 대한 불안감으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대체제를 찾고 있으며 가축전염병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한 말고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말고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아직까지 존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을 통해 말산업 육성법을 토대로 지정된 말산업 특구에서 말고기 시장 활성화를 위해 어떠한 정책을 펼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자의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택하였다. 선행연구와 말산업 육성법, 제1차 말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 각 특구의 말산업 육성 정책, 말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주된 자료로 사용하였다. 말고기 시장의 현황을 파악한 결과 아직까지 말고기 시장이 말산업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말고기의 생산과 소비가 제주도에 한정되어 있으며, 말 비육에 대한 체계 구축이 미비하다는 문제점을 발견했으며, 말고기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 현황을 파악한 결과 현재 말고기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곳은 제주가 유일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제주에서도 말 도체 등급판정 시범사업의 중단, 비육 전용마 도입 효과의 미비 등의 문제점을 발견하으며, 이를 개선할 방안으로 말산업 특구(제주ㆍ경북ㆍ경기) 간의 말고기 유통망 구축 방안과 말고기 품질 개선을 위한 등급ㆍ부위별 단가 책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llowing the review the horse industry promotion method, with the aim to find out the lest possible solution that can vitalize the horse meat market. The horse racing industry had been in the center of the horse industry until 2011, however later the law for horse industry rearing was enacted as it consider a composite industry with high growth potential and added value. First five-year maste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horse industry was established in 2012. In 2014, Jeju-do 2014 and Gyeongsangbuk-do and Gyeonggi-do in 2015, were designated as exclusive horse industry zones. Indeed, the horse industry has been seeking for the popularization of horse-riding on top of the horse racing industry and expanding various services. Recently, the causes zoonotic diseases various infectious diseases in domestic animal. We eat leads consumers to look for a substitute food that can be eaten safely due to the anxiety over existing livestock products. The horse meat that is relatively safe from those infectious diseases is rising. The interest of horse meat, although there still exists a stigma about horse mea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concern about what kind of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based on the current law for horse industry rearing, which can be invigorated the horse meat market at the exclusive horse industry zone. Literature research was selected as a research method, and main sources included preceding researches, horse industry promotion methods, the first five-year master plan for horse industry rearing, the horse industry promotion policy in each exclusive zone, and researches on the actual conditions. The result, revealed that horse meat market does not account for a large portion in the horse industry. The horse meat is produced and consumed only in Jeju-do, under a poor system set up. The research on the policies implemented for the vitalization of the horse meat market shows that only Jeju-do is implementing such policy and even in Jeju-do, the demonstration project for horse meat carcass grading has been suspended. There was no visible outcome in the attempt to introduce a system to raise horses exclusively for an eating purpose. Finally, following measures are proposed as a measure to improve the following issues: the establishment of a shared horse meat distribution system among exclusive horse industry zones (Jeju, Gyeongbuk and Gyeonggi); and a unit cost setting by grade and meat cut for the improvement of meat quality.

      • 濟州觀光 活性化를 위한 캐릭터디자인 硏究 : 제주고유의 민속소재인 동자석(童子石)을 중심으로

        우종구 濟州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평화의 섬, 국제자유도시, 국제자유항 ----- 제주(濟州) 2002년 말 기준으로 세계 관광인구는 약 6억명으로 전 세계 인구의 10%를 차지할 만큼 성장하였고, 국가와 지역의 경제와 문화에 미치는 영향 또한 지대하다. 이에 세계 각 국은 일찍이 관광을 국가 전략산업 내지 대체산업으로 인식하여 중점적으로 육성하였고, 그 경쟁 또한 치열하다. 대부분의 국가와 지역의 관광전략은 궁극적으로는 보다 많은 관광객의 유치와 관광수입의 창출이라는 목표하에 시대적 흐름과 관광객의 요구 및 욕구에 초점을 맞추고 이루어져 왔다.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은 이미 국내외적으로 정평이 나 있다. 한편 제주도는 육지와 다른 독특한 제주 민속권을 이룬다. 제주는 지리적 환경의 특수성으로 하여 의식주, 신앙, 세시풍습 등이 독특하고 개성적이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육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절해고도일 뿐 아니라 제주도의 문화는 귀족적 고급문화와는 달리 원초적이고 도민적 기반 위에 제주도 풍토적 생활에 알맞게 토착화되어 육지와는 다른 특유한 민속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렇듯 민속자료 면에서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인정되며 향토색이 짙은 풍부한 연구자료들이 잔존하고 있어 학계와 일반대중들의 관심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제주의 역사가 말해주듯이 제주도의 곳곳에 산재해 있는 돌하르방, 방사탑, 그리고 조상의 묘소를 지키기 위한 산담과 동자석에서 제주 사람들의 삶의 양식과 현실에 대처하는 또 다른 일면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특히 제주 고유의 민속소재인 동자석은 제주도의 상징적인 이미지를 잘 표출시키고 있으며, 물질문명에 날로 식상해 가는 현대인의 의식구조에 동자석의 친근감 또는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어서 동자석을 디자인 모티브로 사용, 동화적이고 회화적인 표현으로 캐릭터디자인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캐릭터는 단순히 디자인 요소가 아니라 하나의 브랜드이다. 캐릭터를 사회적커뮤니케이션 산업 이라 말할 정도로 이미 캐릭터의 개념은 우리에게 친숙하게 다가와 있으며 이에 대한 인식도 빠르게 확산되어 가고 있다. 캐릭터는 지역홍보의 효율을 높이고 제주의 독자적인 문화와 특성을 갖기 위한 지역이미지의 차별화를 유도하는데도 효과적이다. 현재 제주도는 자연적인 관광조건이 매우 훌륭하여 많은 관광객이 도내를 왕래하고 있다. 캐릭터 상품은 관광객에게 그 지역의 문화, 풍속, 민속, 역사 등을 이해시키고 또는 기억되게 하는 중요한 매개체의 역할을 하고 있어서 캐릭터 상품의 차별성 있는 개발은 제주의 전통문화를 상품화하여 보급시킴으로써 1차적으로 제주에 대한 이미지와 관광지로서의 선호도를 높이고 2차적으로 우리의 제주문화를 세계화하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Island of Peace, International Free City, International Free Port -- Jeju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end of 2002, the world s tourist population has increased up to six hundred million or 10% of the world s population and the effects on nation, regional economy and culture are great. Therefore, many nations of the world have considered and developed tourism as their strategic industry and the competition is wild. The tourist strategy of most of the nations and regions has been focused on the times and the demand of the tourists under the aim of attracting as many tourists as possible and of creating tourist incomes. The beautiful nature of Jeju Island is already well know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On the other hand, Jeju Island has its own culture distinguished from that of inland. This is because geographical features have influenced Jeju Island and the ways of life, religion and customs are unique. Jeju is geographically a lonely island in the distant sea and unlike aristocratic high culture it has formed a folk culture different from that of inland based on popular culture combined with natural ways of life. Likewise, in respect of folk culture data, its academic and artistic value is recognized and since there are abundant data for studying folk culture the attention of the academy and public is rapidly growing. As the history of Jeju proves, Dolharubang and Bangsatap situated here and there and Sandam and Dongjaseok built to protect the ancestors graveyards reflect the ways of life of the citizens in Jeju Island. Under this condition, especially, Dongjaseok, Jeju s unique folk feature, is a fine symbol for Jeju Island. Also, since modern people growing tired of materialistic civilization are showing more friendliness and attention to Dongjaseok, it should be used as a design motif to study and develop a character in fairytale and picture-like ways. Character is not simply an element for design but a brand. The concept of character is already familiar to us as it is called a social communication industry. Moreover, its recognition is rapidly spreading. Besides that, character is effective in elevating regional PR and therefore, it can help distinguish Jeju s uniqu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Currently, many tourists are visiting Jeju Island because of its excellent natural tourist conditions. Character products are helping tourists understand and remember Jeju s folk culture and history. Therefore, developing character products and distributing the traditional culture of Jeju have the aim of elevating the image and the preference as a tourist site and secondly, of distributing the Jeju culture in the world.

      • 中年 女性의 스파認識 및 治癒認識이 스트레스 對處行動에 미치는 影響 硏究 : 人口 社會學的 要人에 따른 스파利用

        김남희 濟州大學校 産業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For modern people who need to make their body and mind rested and refreshed, it is anticipated that healing industry would emerge as very useful industry. As a result, R&Ds and talent development have become more important for industrial convergence (wellness, anti-aging and healing in diverse fields) and new value creation in order of Jeju Island to grow into the Mecca of forestry, agriculture and marine healing. Therefore, it is required to nurture professionals for forest recreation, healing, education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and improve service quality. In addition, it is needed to build a decent network, develop hydrotherapy programs, classify marine medicine, biomedicine, tourism and marine healing industries and make consumers more interested in marine healing industry and gain consumer trust to facilitate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connection with spa therapies. For hypothesis test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by the global research firm ‘DataSpring KOREA’ against adult women (aged 40-49, 50-59, 60-under 69) in the capital region from March 27 to April 3, 2023. The purpose of the survey was explained to the respondents. Among a total of 400 copies distributed, 387 on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χ²,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after data coding. To examin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analysis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furthermo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were used. In exploratory research, 0.6 or higher is deemed acceptable. To examine the descriptive statistical values of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was performed. To predict the degree and direction of varia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use of spa by socio-demographic factors, χ², Fisher’s exact test and ANOVA were implemented. Lastly,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spa and healing on stress-coping behavior,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concerning differences in the use of spa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y child status, occupat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y age and marital status. In differences when accompanied by someone during the use of spa,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y marital status and child status whi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y age, occupat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In differences on important matters in selecting a spa,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income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ge, marital status, child status, occupa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important services during the use of spa, last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ducational background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ge, marital status, child status, occupation and income. Consequently, no difference was confirmed by age. In terms of the meaning of spa and desired spa facilitie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socio-demographic categories. Second, regarding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healing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income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occupa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ird, concerning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spa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occupation. Fourth, in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healing on stress-coping behavior, perception of healing value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hile no significant influence was found in perception of healing industry. In the influence of utilizable value, social value, educational value, intimacy and healing industry on stress-coping behavior, intimacy of healing values reveal a positive effec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no significant influence was found in utilizable value, soci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Fifth, in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healing on perception of spa, both healing values and perception of healing industry showed a positive effec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urthermore, in the influence of utilizable value, social value, educational value, intimacy and healing industry on perception of spa, utilizable value, soci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showed a positive effec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intimacy, however, no positive influence was observed. Sixth, the perception of spa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tress-coping behavio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몸과 마음의 휴식과 치유가 필요한 현대인에게 치유산업은 매우 유용한 산업으로 대두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제주도의 산림과, 농업, 그리고 해양치유의 메카로 성장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별 웰니스, 항노화, 그리고 치유라는 산업 융합 및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해 연구개발 및 인재 양성에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휴양을 넘어서 산림휴양․치유, 교육, 산업기술 개발을 위해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서비스 품질향상과 네트워크 구축, 수(水) 치료 프로그램 개발, 해양에서의 의료, 바이오, 관광, 해양치유 산업분류, 소비자들의 해양치유업에 대한 인식, 관심, 그리고 신뢰가 확보되어 분류 체계에 따른 활성화와 스파 연계성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0세∼49세, 50세∼59세, 60세∼69세인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글로벌 리서치 전문기업인 ㈜데이터스프링코리아에 의뢰하여 진행하였으며, 2023년 3월 27일부터 4월 3일까지 7일간 진행하였다. 표본으로 선정된 40세∼69세인 여성들에게 설문조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 기입법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400부를 배포하여 387부가 회수되어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은 데이터 코딩을 수행하였고 SPSS 26.0을 사용하여 T-test, χ²,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항목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보통 탐색적 연구분야에서는 0.6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변수들의 기술적 통계값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동의 정도와 방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스파이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², Fisher 검증, ANOVA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스파 및 치유인식이 스트레스 대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스파이용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스파이용 경험에 따른 차이는 자녀의 유무 및 직업, 학력,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연령과 결혼 유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스파이용 시 동행인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결혼과 자녀의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연령과 직업, 학력, 소득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스파 선택 시 중요 사항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소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과 결혼, 자녀, 직업, 학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스파이용 시 중요 서비스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학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과 결혼, 자녀, 직업, 소득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스파 이용 시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스파의 의미와 스파이용 시 희망시설에 관해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모든 부분에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치유인식은 차이가 있을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 결과, 소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직업과 학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스파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과 소득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의 차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치유인식이 스트레스 대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치유가치 인식은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치유산업 인식은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유인식의 하위요인(효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교육적 가치, 친숙도, 치유산업)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분석결과 치유가치의 친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능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 교육적 가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치유인식은 스파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치유가치와 치유산업 인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유인식 하위요인별(효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교육적 가치, 친숙도, 치유산업) 스파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도 효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교육적 가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숙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스파인식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尖端科學機資材의 效率的 運營과 産業體 支援 方案에 대한 硏究

        고정은 濟州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립대학 32개 대학 중 78%인 25개 대학에 26개소의 기자재 공동 활용기관이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3천만원 이상(2003년 12월) 연구기자재는 1,055종 1,079점 1,354억원이다. 사립대학은 114개 4년제 대학 중 23%인 26개 대학이 기자재 공동 활용기관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국무총리 산하 19개, 과학기술부 관련기관 10개 연구기관 중 2개 기관에서 연구기자재 공동 활용, 분석, 시험검사, 산업체 지원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 기관이 특정지역인 경기, 충청권에 편중되어 있어 전국적인 업무지원이 요구된다. 국립대학에는 실험실습기자재 확충사업비로 720억원(2003년)이 48개 대학에 지원되었고, 공·사립대학에는 시설, 설비 확충지원 사업으로 800억원(2000년)이 149개 대학에 지원되어, 국가에서 막대한 실험실습기자재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정부의 기자재 지원은 이공계 대학연구소 기자재 첨단화 지원사업으로 150억원(2001년)이 181개 연구소에 지원되었고, 10만 달러 이상 고가특수연구기기에 대한 운영비로 19억원(2002년) 지원되고 있다. 국립대학 기자재 공동 활용기관은 기기전담제와 책임교수제로 인력을 활용하고 있으며, 전문인력 1인당 9점의 연구기자재를 전담하고 있고, 금액으로는 12억원의 기자재를 전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 인력이 가장 많은 서울대학교 농업과학공동기기센터인 경우는 전문인력 1인당 5점의 연구기자재를 전담하고 있다. 국립대학 기자재 공동 활용기관에서의 공동 활용실적을 보면 2001년도에 이용 건수가 44,520건에서 2002년에는 45,420건으로 900건이 많아졌으며, 특히 산업체 이용 건수가 전년에 비해 1,317건 증가한 것으로 봐서 산학협력으로 인한 공동 활용이 활발해 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기자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기자재구입, 활용, 관리, 전문요원 확보, 관리조직 및 행정, 홍보 등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기자재별 전문요원에 의해서 관리, 운용되어야 한다. 기자재 공동 활용기관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편의성과 공정성, 결과의 신뢰성, 사용료의 적정부과, 홍보의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 또한, 발전을 위해서는 재정적 자생력 강화, 자체연구능력 강화, 교육훈련과정 활성화, 국제협력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산·학·연 협력 체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인센티브 제도를 두어 유기적인 협력 체제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Approximately 78%, 25 out of 32 national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26 instruments and resources joint practice organizations and they are operated. Research instruments and resources above 30 million won(Dec, 2003) are 1,055 types, 1,079 pieces and 135.4 billion won. 23%, namely 26 out of 114 four year-private-university have founded and operated the instruments and resources joint practice organizations. Two research organizations from 19 affiliated organizations of the Office of Prime Minister and 10 related organizations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served for the instruments and resources practices, analysis, inspection and industrial company support, but they preponderate in the province of Gyunggi and Chungcheong and the business support should be spreaded all over the country. Expansion business expenses of instruments and resources for laboratory and training at the national university are given support to 72 billion won(2003) for 48 national universities, also the public and private university are provided with 80 billion won(2000) for 149 universities as facilities and equipment of expansion support business and the government supports the instruments and resources for laboratory and training. In addition, the instruments and resources with support of the government for the project of up-to-date instruments and resources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institute are supported 15 billion won(2001) for 181 institutes and the operation fees of the high-priced special research instruments over 100,000 dollars are given 1.9 billion won(2002). The work force practices of the national university joint practice organization are operated by the whole responsibility system of instruments and professor responsibility system, and 9 pieces per expert work force are taken full charge of research instruments and resources with indicating the amount of money 1.2 billion won. National Instrumentation Center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here exists the most of the expert work forces is taken full charge of 5 pieces of research instruments and resources per expert work force. When it sees the joint practices result from instruments and resources of the national university, the number of use cases is increased 900 cases from 44,520 in 2001 to 45,420 in 2002. As we can see especially the number of use cases at the industry has been increased 1,317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we can recognize that the joint practice is activated due to University-industry cooperative system. To manage research instruments and resources efficiently, purchase, practice of instruments and resources and organization, administration and advertisement of management should be performed smoothly and managed and practiced by expert staff. To practice the joint practice organization effectively, the convenience and equity, confidence of the result, reasonable imposition of the rental and the policy of advertisement should be kept. To develop the joint practice organization, the reinforcement of financial abiogenesis and ability of self-research and the activation of the process of education training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must be accomplished. The organic cooperative system can be achieved through a variety of incentive systems in order to activate the cooperative system of the joint practice organization.

      • 柑橘産業 發展을 위한 作目班 活性化方案에 關한 硏究 : 濟州의 柑橘作目班을 中心으로

        이원후 濟州大學校 産業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WTO 출범과 더불어 우리 柑橘産業은 農産物 市場과 流通市場의 開放으로 危險과 發展의 기회를 동시에 맞고 있다. 따라서 본 硏究는 農産物의 市場開放이 확대되고 農産物 流通여건이 변함에 따라 作目班의 組織 및 事業推進 方式은 環境變化에 맞게 再編되어야 할 必要性이 대두되어 作目班에 대한 實態調査를 통해 作目班의 運營實態와 發展段階 및 活性化 方案과 農協의 育成·支援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반면 차제에 우리 農産物의 競爭力 향상을 기하고 무분별한 輸入 農産物과의 差別化를 위해 流通事業 전반에 걸친 運營革新과 제도개혁이 요구되고 있다. 生産단계에서는 安全農産物 生産과 低溫流通體系를 시급히 구축하고, 流通부문에서는 효율화를 통한 物類費用의 節滅과 상품성 향상을 통한 收取價格 提高 및 作目班 運營活性化에 모든 力量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農産物 流通事業은 事業의 多樣性과 特殊性으로 事業推進과정에서 試行誤差를 줄이기 위해 무엇보다 農協 任職員들의 전문성과 풍부한 事業經驗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기네 作目班은 농가의 組織化를 통해 영세한 個別 農業經營의 限界를 극복하고 競爭力을 확보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특히 1980년대이후 作目班은 流通부분을 규모화함으로써 농가의 市場교섭력을 增大시키는데 중요한 役割을 해왔으며 지난 25년 동안 政府政策에 의해 aic번의 再編過程을 겪으며 發展해 왔다. 農協은 作目班을 發展段階에 따라 기초, 일반, 선진의 3단계로 구분하여, 指導하고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의 發展段階別 作目班數를 보면 기초 및 일반作目班은 減少하고 선진作目班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 流通市場이 開放됨에 따라 외국의 大形流通業體가 국내에 進出하고 국내 대기업의 流通業 逃出도 擴되고 있다. 이와 함께 1998년부터 개장된 물류센터는 2001년까지 전국에 11개소가 설치될 예정이고 2004년에는 農産物 流通의 23%를 담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국내 流通環經의 變化를 바라보면서 作目班이 물류센터나 大形流通業體에 農産物을 직접 出荷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을 實踐課題를 提示하고자 한다. ① 出荷農産物의 標準規格化(共同選別 品質選別 檢査) ② 作目班 單位로 物量을 모아 出荷單位 규모화(共同出荷) ③ 공동계산제를 통해 동일한 價格出 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農産物 流通環境變化에 積極 對應하여 이러한 作目班의 課題를 解決하고 作目班 活性을化 方案을 3가지 측면에서 제시하고 있는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농협의 역할측면에서 1. 營農計劃의 農協事業 反映 2. 資金支援擴大 3. 農法物 出荷에 있어서 農協의 役割 强化 4. 資材 購買에 있어서 農協의 市場交涉力 强化 5. 販賣業務 인력보강과 專擔體制 구축 6. 作目會의 育成 7. 作目班 組織의 整備 및 電算프로그램 改善 8. 作目班 評價基準 再構成 9. 作目班 운영활동 자가 진단표 作成 체계적으로 指導 ◈ 작목반의 역할측면에서 1. 유능한 組織指導者의 발굴 및 養成 2. 작목반의 자구노력 및 의식전환 ◈ 행정 및 연구기관의 역할측면에서 1. 農業技術 指導 强化(고품질 生産技術 지도 강화) 2. 공동계산제 및 환경농산물 생산 실시 작목반 집중지원 結論的으로 作目班이 중심이 되어서 流通바친을 極小化시키고 消費者들에게 最低價格으로 봉사하며 流通을 生産者組織이 一括的으로 전담하여 協相能力을 제고시키며 안정된 價格에 고품질의 農産物을 공급할 수 있을때 대외 競爭力은 提高된다. 그리고 作目班 組織이 해당 농산물의 生産的인 면에서만 효율성을 提高시키려고 노력할 것이 아니라 市場開拓과 消費者들의 滿足感을 提高시키려는 努力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게 하므로써 生産者들의 收益性 提高는 물론 作目班 組織의 活性化도 촉진될 것이다. Since WTO was founded, the market of the agriculture products and distributions has been opened to the foreign country and our citrus industry faces both the danger and the chance of the development. Since the condition of the agriculture products distributions was changed, it is necessary that the organization of farmers group be rearranged and the way of activity be changed.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ealities of farmers group and analyzes the development stages of farmers group. The object of th 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way to activate farmers group and to foster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in order to satisfy the new distribu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our agriculture products and to set up a distinction between our products and foreign agriculture imports, the reforming of the institution and revolution of its management is needed. In the stage of the production, we must establish how to produce safe agricultural products and to distribute them in the low temperature. In the distribution department, we must exert all possible efforts to save the expense by an effective way and to raise the receiving price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s and to activate farmers group. Because the distribution of agricultures is very various and specific, in order to lessen the trial and error in th a process of the business, first of all, special abilities an d many business experiences of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executives are being required. farmers group sh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individual agricultural management and strength the competitive power by organizing the small-income farmers. Particularly Since 1980's farmers group has played a major role in increasing the farmers' ability to bargain in market and farmers group had to suffer several changes for the former 25 years.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divide and direct farmers group in three stages - the base stage, the general stage, the advanced stag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cess. Observing the number of farmers group for recent several years, the number of the base and the general farmers group tends to decrease and the number of the advanced farmers group tends to in crease. Lately as the distribution market is opened to the foreign country, the foreign distribution companies of a large scale are marching out within our country and at the same time the domestic large corporations are advancing in to the distribution industry. The centers where goods are stored and distributed, which have been opened in our country since 1998, are supposed to reach 11 ones until 2001 and occupy 23% of the distribution of all agricultural products. In order th at farmers group may send out goods to the centers or the distribution companies of a large size for themselves, we intend to present the practical assignments as following (1) Standardiz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which are sen ding out (2) Standardizing the units which send out the products (3) Sending out the products in the same price by the system of joint accounts is necessary. Finally, we intend to summarize the ways how to activate farmers group in the three aspects to cope with the changes of the situations of the distribution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farmers group. * In the aspect of the role of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1) Reflecting the plan of farming into the project of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2) Enlarging the technique of farming (3) Strengthening the role of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in sending out the agricultural products (4)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bargain in market of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in purchasing the materials (5) Building up the system and Supplementing human resources in sales department (6) Fostering the assembly of farmers group (7) Rearranging the organization of farmers group and improving the computer operating program (8) Reorganizing the standard to estimate farmers group * In the aspect of the role of farmers group (1) Searching and Fostering the efficient leaders (2) farmers group's endeavoring for itself and Changing the way to think * In the aspect of the role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e (1) Reinforcing how to instruct the agricultural technique (2) Supporting farmers group positively which carry out. the system of joint accounts and grow the products good for the health. In conclusion, when farmers group minimize the distribution cost and offer products to consumers in a lowest price - when the organization of the farmers itself' assumes the distribution exclusively and promote the negotiation power and provide the products of good quality for the consumers in a stable price, the competitive power against a foreign companies will be risen. The organization of farmers group should make an effort not onl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s but also to seek a new market an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consumers. Then the profits of the farmers will be increased and the organization of farmers group will be activ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