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 이미지 개선을 위한 VI 디자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중국 량산주(涼山州) 소수민족 지역을 중심으로

        ZHAN CHAOBI 부경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31999

        최근 도시의 공공시설과 교통 등의 기반 시설이 크게 발전함에 따라, 도시는 지금까지처럼 단순 기반 시설 발전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 도시 이미지의 구축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도시 이미지 구축은 어느덧 오늘날 도시발전의 한 주류가 되었다. 하지만 최근 중국 도시 이미지 구축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 대부분의 3, 4선 도시들은 도시 이미지 구축의 개념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도시 이미지는 그 도시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 수단이기 때문에, 도시 VI 디자인 설계의 관점에서 어떤 도시 이미지를 만들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량산이족 자치주 지역의 도시 이미지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도시 VI 디자인의 관점에서 량산이족 자치주 지역의 VI 디자인 설계를 전면적으로 분석 연구한다. 량산이족자치주는 줄여서 '량산주(凉山州)'로 불리며 중국에서 가장 큰 이족(彝族) 집단 거주지역이자 중국에서 소수민족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량산주는 민족문화자원과 물적 자원이 매우 풍부하며, 지리적 위치도 매우 특이하다. 이러한 량산주의 풍부한 자원 요소들은 도시 이미지 조성에 있어 중요한 기반 요소를 이루며, 량산주 지역의 장점을 살려 도시브랜드를 조성하고 량산주 지역의 도시이미지를 더욱 높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 이미지와 도시 VI 디자인 등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통해, 량산주 지역의 도시 브랜드를 탐색 연구하고, 량산주 지역의 도시 VI에 대한 필요성 및 향후 영향력을 연구한다. 다음으로 량산주 지역의 현재 도시 VI 디자인 설계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량산주 지역이 가진 도시 이미지의 문제점의 해결책을 모색한다. 먼저 선행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량산주 지역의 도시 브랜드 현황과 국내 및 해외 도시 VI 디자인 사례를 연구·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 VI 디자인을 활용하면 도시의 자체가 가진 도시의 시각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도시 이미지를 통한 도시 문화 영향력 제고와 지역경제 발전 등을 이룰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량산주와 연계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량산주 지역 도시 VI 디자인에 대한 대중들의 수요성과 량산주 지역 도시 요소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이 설문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량산주 도시 VI 디자인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고, 량산주 지역 도시 VI 디자인 제안서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 VI 디자인의 중요성 및 영향, 량산주 지역의 도시브랜드 개발계획 및 디자인 정체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본문 서론 부분은 논문의 연구 배경과 목적, 연구 방법과 범위를 확정하여 논문의 연구 목적을 서술하였다. 이론적 배경 부분은 먼저 도시 이미지의 개념에 대해 분석하고, 분석한 도시 이미지의 개념을 통해 도시 이미지의 중요성을 논한다. 다음으로 도시 VI 디자인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필요성에 대한 서술을 전개하고, 도시 VI 디자인의 활용 필요성을 논증하여 후속 설문조사 및 디자인 제안 연구에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ᅠ제3장은 도시 이미지와 도시 VI 디자인의 개념을 바탕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량산주 지역의 도시 이미지 현황 및 도시 VI 디자인 현황을 서술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국내와 해외의 도시 VI 디자인 우수 사례를 분석하였다. 먼저 현황 분석에서는 량산주 지역의 도시 이미지 발전이 타도시에 비해 많이 늦은 상태이며, 현재 완전한 도시 브랜드 구축이 아주 부족한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황분석에 관한 연구로는 량산주 지역의 기존 도시 VI 디자인 사례를 정리하고, 도시 현황에 대한 SWOT 분석을 진행하였다. 량산주 지역 도시를 강점, 약점, 기회, 위협 등 네 가지 요소로 나누어 정리하고 SWOT 매트릭스 분석법을 이용하여 량산주 지역 도시 발전 전략을 분석했다. 본장의 분석은 오늘날 량산주 지역이 도시 이미지 구축 및 도시 브랜드 수립이라는 개념을 매우 필요로 하고, 도시 VI 디자인 설계가 량산주 지역에 미치는 필요성 및 영향을 잘 반영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4장은 량산주 지역과 연계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량산주 지역 도시 VI 디자인의 중요성과 량산주 지역 도시디자인 요소 선호도를 분석했다. 설문조사 결과 데이터는 SPSS 분석을 통해 설문의 신뢰성을 검증했고, 량산주 지역의 도시 VI 디자인 설계에 대한 디자인 기반을 마련하고 향후 방향을 제시했다. 제5장은 앞의 분석 결과를 통해, 도시 VI 디자인의 요소 및 디자인 방향을 확인하고, 량산주 지역의 도시 VI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량산주 지역의 도시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도시 이미지와 도시 VI 디자인의 중요성을 정리하였으며, 도시 VI 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영향과 량산주지역의 도시 브랜드 이미지 디자인 개발을 통해 국내 도시브랜드 이미지 디자인 연구에 더욱 발전된 연구내용과 풍부한 향후 실천 방안을 제공한다. 도시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대중의 인식 수준을 높이고, 본 연구의 한계와 미래에 대한 기대효과를 제시하여 향후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연구 가능성의 방향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