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시대 소설을 통한 죽음교육 방안 연구 : 김애란의 소설을 중심으로

        천이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가상의 죽음이 범람하고 있지만, 현실에서의 죽음은 갈수록 소외되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인간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목표로 하는 교육 현장에서도 죽음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따른 대안으로 동시대 소설의 죽음 인식을 바탕으로 한 국어 교과 내 죽음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학습자가 죽음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수업 지도안을 구상하였다. 죽음교육은 다른 나라에서는 이미 정규 교과에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있고, 그 정의 또한 다양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선 연구를 토대로 하여 죽음교육을 삶과 죽음의 의미를 탐구하여 자신과 타인의 삶을 이해하는 교육으로 규정하였다. 국어 교과에서의 죽음교육 모색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자신과 타인의 삶을 이해한다는 측면에서 근본적인 의식이 동일하며, 현재 도덕 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죽음의 개념적 측면의 학습에 대한 보완으로서의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동시대 소설의 특징인 인물이 처한 상항과 인물이 느끼는 감정과 사건에 대한 사유를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방식은 추상적 개념인 죽음을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별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한다. 김애란의 소설은 현재 2015 개정 교과서에서 문학이 주는 감동과 윤리적 기능 또는 작품에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의 이해 학습에 수록되어 그 교육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재로 다룬 「입동」과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는 모두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입동」은 어린 아들을 사고로 잃은 부부의 이야기,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는 학생을 구하려다 같이 사고를 당한 남편을 떠나보낸 ‘나’의 이야기로 학습자가 사별자의 마음을 이해하고 애도 과정을 미리 경험해볼 수 있게 한다. 두 소설의 죽음 인식을 바탕으로 죽음과 관련된 학습자의 반응을 이끌어내고 이를 명료화하기 위해 반응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설계하였다. 같이 제시한 활동지로 학습자의 초기 반응과 마지막 반응을 모두 기록하여 반응의 변화 과정을 살피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넘쳐나는 가상의 죽음 속에 실제 죽음의 의미는 자꾸 잊혀 가고 있다. 우리는 타인의 죽음을 마주하고 겪으며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이는 우리가 삶에 대한 완전한 이해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는 가능성이다. 죽음에 대한 소설을 가지고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수업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학습자가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여러 사람과 나누는 활동을 하게 된다면 이 역시 그 자체로 죽음에 대해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작은 장이자 좋은 시도로 작용할 것이라 기대해본다. This study started with recognizing that death in reality is increasingly alienated, although virtual death is overflowing in modern society. And it indicates that the death education is not conducted even in educational field that aims for a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s. As an alternative to this, a teaching plan is designed to allow learners to think about death for the purpose of seeking the method of the death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eath in contemporary novels. The death education has been already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in other countries, and its definition also varies. Therefore, this study defined the death education as education of understanding the life of oneself and others by exploring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search for the death education in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shares the identical fundamental consciousness with the 2015’s revised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on the aspect of understanding the life of oneself and others. And it has an advantage as a complement to the learning of the conceptual aspect of death conducted in the current moral studies curriculum. In addition, regarding the method of describing in detail the grounds of the situation the characters are put into, their emotions and event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novels, they do not only allow learners to effectively understand the abstract concept of death, but also to advance towards the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the bereaved. Kim-Ae ran’s novels are currently recognized for their educational values by being included for the inspiration and ethical function of literature or the study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contained in works in the 2015 revised textbooks. Both 「The Onset of Winter」 and 「Where Would You Like To Go」 covered as topics in this study is a story of people who have lost their beloved ones. 「The Onset of Winter」 is the story of a couple who lost their young son in an accident and 「Where Would You Like To Go」 is the story of “I” who let go of her husband as he tried to save a student and had an accident. These stories allow learner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process of grieving in advanc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eath in the two novels, this study designed a specific teaching plan by drawing a learner’s response related to death and applying a response-oriented teaching/learning model to clarify it. It also focused on examining the process of changes in response by recording both the initial and final responses of learners on the worksheet presented together. In the midst of the overflowing virtual death, the meaning of real death is continuously forgotten. We should think about our own death while facing and experiencing the death of others. And it is the possibility that we may be one step closer to a complete understanding of life. If a class to share stories about death included in novels about death takes place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if learners engage in activities to share stories about death with others, it is also expected to serve as a small forum and a good attempt to discuss death openly.

      • 체육교과에서 메타버스 테크놀로지 적용 및 활용방안 탐색

        천이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체육교과에 메타버스 테크놀로지를 적용 및 활용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분석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 분석은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체육과 교육과정, 메타버스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적용 및 활용과 관련한 연구분석을 하였으며, 델파이 조사는 총 14명의 전문가를 선정하여 총 2회를 진행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는 개방형 질문을 통한 전문가들의 자유로운 답변을 회수하였고, 2차 델파이 조사는 Likert 5점 척도에 따라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체육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언급을 통해 메타버스 테크놀로지를 적용 및 활용하는 교육에 주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메타버스 테크놀로지를 교육에 적용 및 활용했을 때의 여러 효과가 검증되었지만, 체육교과에서의 연구는 아직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체육교과에 메타버스 테크놀로지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메타버스 테크놀로지 개발 및 검증, 교육환경 구축 및 지원, 가이드라인 마련의 세 가지 측면으로 제안하였다. 메타버스 테크놀로지 개발 및 검증 측면에서는 신체활동을 통한 체육교육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더욱 다양한 디바이스, 플랫폼, 콘텐츠의 개발과 이를 세밀하게 검증 및 점검을 하여 오류로 인한 수업 손실을 막아야 한다. 교육환경 구축 및 지원 측면으로는 디바이스를 활용해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 이를 마련할 수 있는 예산 지원, 고경력 교사들의 수업 진행 어려움 차단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되어야 한다. 가이드라인 마련 측면으로는 실질적 적용이 가능하도록 활용방안에 대한 구체적 제시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체육교과에서 메타버스 테크놀로지의 활용방안은 다양한 예시로서 제시하였다. 디지털 기기 및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체육수업에서 온·오프라인 융합식 연계 수업, 포트폴리오 제작 및 발표, 체육 교육과정에 부합한 시청각 교육, 시공간적 제약 없는 공지 및 소통을 할 수 있다. VR, AR, 웨어러블기기를 활용하여 평소 경험하기 힘든 스포츠 체험 및 체육 교수 활동, 다양한 스포츠 종목 학습, 학생들 간 경쟁대회, 동작 형상화를 통한 표현 활동, 교통 법규 상황 시뮬레이션과 같은 안전 학습, 벽이나 바닥을 활용한 직간접적인 스포츠 종목 학습, 자신의 체력 및 운동량 점검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교과를 위한 구체적인 메타버스 플랫폼, 콘텐츠, 디바이스 개발이 필요하고, 실질적 적용 및 활용 수업을 통해 문제점 파악 및 발전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apply and utilize metaverse technology in physical education subjec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Delphi survey. The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metaverse technology, and the Delphi survey selected a total of 14 experts and conducted a total of two times. The first Delphi survey collected free answers from experts through open questions, and the second Delphi survey allowed them to respond according to the Likert 5-point scale.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education that applies and utilizes metaverse technology through the mention of 'digital'. Second, although various effects of applying and utilizing metaverse technology in education have been verified, various studies in physical education have not yet been conducted. Third, as a way to apply metaverse technology to physical education subjects, it was proposed in three aspects: developing and verifying metaverse technology, establishing and suppor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eparing guidelines. In terms of developing and verifying metaverse technology,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physical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devices, platforms, and contents, and verify and check them in detail to prevent class loss due to errors. In terms of establishing and suppor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it should provide a space for physical activities using devices, budget support to prepare them, and educational programs to prevent difficulties in class progress for highly experienced teachers. In terms of preparing guidelines, it is necessary to present specific utilization plans so that they can be applied in practice. Finally, the use of metaverse technology in physical education subjects was presented as various examples. Using digital devices and metaverse platforms, online and offline convergence classes, portfolio production and presentation, audio-visual education in line with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spatio-temporal announcements and communication can be provid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VR, AR, and wearable devices, you can learn sports experiences an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that are difficult to experience, learning various sports events, competitions among students,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motion shaping, direct and indirect sports using walls or floors, and check your physical strength and exercis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metaverse platforms, contents, and devices for physical education subjects, and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and develop problems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 and utilization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