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 前·後記 모더니즘詩의 效果 硏究 : 後記 모더니즘詩를 中心으로

        진창영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sult of this comparative study on the modernist poetry of both the first term and the latter one is roughly outlined as follows. First, the ramifications of the modernist poetry in Korea are classified in following streams; (1) The chain of an intellectual modernism The intellectual modernist poetries, written by those such as Kirim Kim, Jiyong Jong and Kwangkyun Kim in the first term of modernism, had the tendencies that were civilization-critic, intellectual and sensible, and that showed the contemplative attitudes towards cognition for actualities. Such tendencies were derived from the circumstances of a heteronomous colony. The works, written by those such as Kyongrin Kim, Inhwan Park and Kyudong Kim in the latter term of modernism, had the tendencies that were civilization-critic and urbanely delineative, and that showed empirical attitudes towards cognition for actualities. Such tendencies might come out because of the periodic autonomous conditions that followed to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ese rule in 1945. In the result, the poetic tendency of the both terms was in series of literature. (2) The chain of a radical modernism Such a poet as Sang Lee showed the tendency of Dadaism in the first term of modernism, and those such as Hyang Cho and Bonsrae Lee showed the tendency of surrealism in the latter term of modernism. It is clear that they did fundamentally belong to a same stream in the meaning of seeking for "the embodiment of a real human spirit" and "the pursuit for the real liberty of a human spirit" in their poetries even if they had much differencies in individual literary styles of their works for the radical modernism as well as for the Dadaism and surrealism. Second, there were apparent limitations of expression even if the poets in the latter term of modernism made their efforts for "the pursuit for expansion of poetic diction" in their expressional techniques. It was, however, their main methods of experiment to expand the limitations in the poetic diction. The former lyric poets of them tried to avoid urbanely civilized and ideological words in their materials and poetic dictions, but the latter modernists used such poetic dictions without hesitation as shown in their work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xpansion of the poetic diction and material might be significant, however, it can be also said that they dared use the words of foreign origin and the western name of a person or a land not through "materialization of a word," so that such words had no immanence. Third, the significance of the latter modernism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ven though the latter modernism did merely succeed to the former one repeatedly, it filled the role of covering the period of a literary gap jus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ese rule, so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lowing of Korean literature to succeed successively about its time. (2) The poetical movement in the latter modernism did first represent the very own ideology in the movement of Korean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3) Even if it was not successful in the side of works in the significance of Korean literary history, it can not be decidely said to be a miscarriage in the movement of Korean literature.

      • 詩文學派 硏究

        진창영 東亞大學校 199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has been written for the purpose of studying "Simunhakpa" in the early 1930’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Up to now, the study on "Simunhakpa" has been concentrated on a few leading poets and only mentioned piece by piece. There is, therefore, no study which set up a systematic position showing reasonable grounds to take its place in the literary history as a school. In order to form the basis of synthetic study, this thesis found out two general qualities which was expressed in the poems of 'Simunhakpa'. One is continuity which is perceived in the spiritual stream of the works and the other is revolution in the technique of expression; moreover the beginning of Korean pure poetry. The existing and historical valuation on 'Simunhakpa', the beginning of modern poetry, has a tendency centered on the representative poets. And it is a vague reasoning which has not been demonstrated through the works. To overcome these defects, this thesis regards the two qualities mentioned above as the grounds to form a separate school and tries to demonstrate Simunhakpa as a school synthetic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which the poets belonging to the school composed. This research shows not only the common feature but the distinction of poets. In relation to internal continuity and technical revolution in the poetry of 'Simunhakpa', what they are and why they are called so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tinuity (of simunhakpa) can be seen in the two kinds of view, that is to say, in the poetic ternal side and in the metrical form. This shows that a part of poetry in 1920’s and tradition of classical poetry are handed down to 'Simunhakpa'. The poetic internal side is a direction which the poetry follows and also a stream including the poetic feeling which shows the theme of poetry and metrical form is a conception which includes a set pattern of the number of line centered on a meter. Second, revolution in general means a change of expressional technique. It can be called revolution in point of recognizing the fact that literature is art created using language. This revolution enables a sensual image to form poetry and creates the verse as a spacial form. In addition, it makes it possible to organize the existential view of poetry. It can be called a big revolu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f a necessary condition that enables poetry to be existential form is a spacial form and if that of this spacial form is an image, the poets of 'Simunhakpa' have a basic condition of spacial form by making a-minimum image through linguistic recognition. At the same time, it became the beginning of a new artistic genre which 'Simunhakpa' made in the existential view of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Simunhakpa had continuity that admiration for an ideal world resulted from tragedy shared by Korean in the colonial period was expressed poetically on the basis of our traditional meter. On the other hand, it recognized that literature is the expression of a language and made revolution of expressional technique. Simunhkpa, therefore, is a school of literature which has two different qualities. It is thought of the beginning of Korean pure poetry by enlarging the range of a language. And, from a expressional standpoint, it is considered a school which helped poetry of those days get out of the old poetic practice and develope into that of real modernism after 1930's.

      • 지식 네트워크에 근거한 정보보호 점검기준 관계분석

        진창영 高麗大學校 情報保護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보안 인식과 중요성이 시대적으로 고조됨에 따라 각 산업부문별로 조직의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정보보호 점검기준을 기반으로 한 정보보호 평가․인증 등의 제도가 마련되어 시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정보보호 점검기준 간의 문맥적인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해 규명하기 위하여 지식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로 ISMS와 PIMS, 금융 IT부문 경영실태평가, 금융 IT부문 보호업무 모범규준, 정보보안 관리실태 평가 상에 나타난 점검기준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본 논문에서 연구된 정보보호 점검기준은 공통적으로 정보시스템 및 정보통신망에서의 정보자산의 보호와 침해대응, 운영통제에 관한 부분을 다루고 있다. 둘째, 금융권에서는 앞선 공통부분 외에도 IT 경영 및 감사활동에 관한 적정성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셋째, ISMS의 점검기준은 PIMS, 금융 IT부문 경영실태평가, 금융 IT보호업무 모범규준, 정보보안 관리실태 평가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 신라하대 불교 선문의 사제관계와 선사들의 교육사상 연구 : 개창조와 그 제자를 중심으로

        진창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신라하대의 선불교를 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이다. 종교의 기능 속에 교육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넓은 의미일 뿐 체계적 의미의 교육은 아니다. 신라하대에 들어 당나라 유학으로부터 귀국하는 선사들이 기존의 교학불교와는 전혀 새로운 선불교를 도입하여 제자를 양성하기 시작하고 지역별로 선문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스승과 제자 관계의 성립, 선사들의 구도과정과 교화실천의 모습, 이들의 교육사상 등을 밝힘으로서 나름의 체계를 갖춘 교육이 이루어졌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Ⅱ장에서 선종의 형성 개요, 시대와 사회적 배경, 선불교 도입 이전의 불교교육과 선의 교육학적 이해를 서술하여 논의의 배경 근거를 마련하였다. 원래, 마음으로만 통하는 선불교의 근본 취지로 보면 선(禪)에서 언설적 교학이란 있을 수 없다. 직지인심ㆍ견성성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의 교학관계로서 스승과 제자 관계는 엄격히 존재했고, 이는 역사적 사실이기도 했다. 이에 선불교의 교학 현상은 ’선문답‘이라는 초언어적 논리로 표현되면서 깨우침을 유도하는 간접적 교육현상으로 나타난다. 이 때 선문답은, 기존의 인식틀 해체(스승이), 깨달음의 상태와 수준 확인(스승이), 선문 안으로의 진입(제자) 등의 단계로 파악되는 이론적 근거도 세워진다. 이러한 선의 교육 단계는 Ⅱ장에서 논의된다. 신라하대 선불교는 9산문 중 7산문이 마조계의 선사로부터 전수한 것이었다. 이 때 중국 유학에서 귀국한 신라 선사들은 각 지역으로 나아가 저마다 제자를 양성하면서 선문을 개창한다. 이 선문들은 중국 선종의 영향이었지만 신라의 상황에 맞는 저마다의 특징과 선풍을 이루었다. 다시 말해 지역 교육의 중심으로서 학교의 역할을 하면서 그 전통을 세워간 것이다. 이것은 선문마다 개창조의 성향에 따라 조금씩 다른 선풍과 선불교 용어를 제시하면서 제각기 그 특징을 드러낸다. 이는 선불교의 ‘도입과 선문 개창기’, ‘정착ㆍ발전기’, ‘선문 분화기’로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점 구체화된다. 이 때 각 선문마다 개창조와 그 제자의 만남과 소통,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그 선문의 특징 등에 관한 논의가 Ⅲ장의 주제이다. 물론 이 때의 주 논지는 선의 가르침과 배움의 관점에서 선사들의 행위를 해석하는 것이고, 그 바탕 자료는 주로 비문(碑文)과, 선종인물어록이었다. 한편 이러한 선문형성의 주역들인 개창조 선사와 그 제자 선사들 역시 수학(修學)과 구도라는 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진 인물들이고, 동시에 교육을 실천한 교육자였다는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 이 연구의 Ⅳ장 1절이다. 그리고 이들이 수학과 구도의 과정에서 배우고 터득한 선불교에 대한 사상과, 제자에게 가르치고자 했던 생각 즉 교육사상을 찾아서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Ⅳ장 2절이다. 선사의 구도와 교화실천은 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출가와 수학, 승려로서의 수행과 갈등, 중국 유학, 새로운 공부와 구도 및 득도, 보살행 실천, 교화실천 등의 과정을 거쳐 비로소 ’선사‘라는 종교 지도자가 되고, 한 국가의 ’국사‘라는 호칭을 받기도 한다. 선사들의 생애는 대체로 수학과 득도 이전까지는 구도기, 득도 이후의 중생교화 기간을 교화실천기로 구분된다. 이 때 구도기는 교육을 받는 기간, 교화실천기는 교육을 실천하는 기간으로 나누어 논의하고 있다. 이에 대한 개별 선사들의 구체적 모습은 모두 본문에 밝혀져 있다. 그리고 선사로서 이러한 지도자적 성품의 바탕에는 당연히 그들이 선불교의 교학에 대한 관점과 입장, 수행 방식 등을 제시한 자신만의 생각이 있었다. 바로 ’선사상‘이고 그 가르침인 ’교육사상‘이다. 각 선문의 개창조별로 ’선사상‘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가지산문의 개창조 도의의 조사선도(祖師禪道). 2) 실상산문의 개창조 홍척의 수이무수(修而無修)‧증이무증(證而無證). 3) 쌍계산문의 개창조 진감혜소의 심법(心法). 4) 동리산문의 개창조 혜철의 선교융합(禪敎融合). 5) 성주산문의 개창조 낭혜무염의 무설토론(無舌土論). 6) 희양산문의 개창조 도헌의 점수선(漸修禪). 7) 사굴산문의 개창조 범일의 진귀조사설(眞歸祖師說) 등이다. 이러한 사상이 제자 양성의 바탕이 되어, 각 선문마다 구체적 가르침의 지침과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교육사상‘이었다. 이상 신라하대 선불교의 교육적 논의로써 다음과 같은 교육사적 의의를 도출할 수 있다. 1) 기존의 교학불교가 선불교로 바뀐 것은 국가 이념의 변화이자 교육의 변화이기도 하였다. 2) 선불교에로의 변화는 종교의 영역 확장임과 동시에 교육의 관점 변화를 가져왔다. 3) 초기 선불교 법계의 미시적 연결과정을 확대시켜 사제관계라는 교육의 관점으로 찾아 밝혔다. 4) 산문별 선사들의 선사상과 교육사상을 찾아 밝혔다. 5) 신라하대 불교교육에 대한 연구 부재의 간극을 채우는데 일조하였다.

      • 동학의 생태교육사상 연구

        진창영 부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학의 교육사상은 기존의 남성중심, 문명중심의 권력이데올로기를 혁파 해체하고 여성과 아동중심. 생태중심의 대안적 교육사상을 주장하는 생태교육사상을 갖고 있다. 이를 생태이론과 동학교육사상과의 접점을 비롯 동학의 세계관 등을 논의의 이론적 기반으로 먼저 고찰하였다. 그리고 동학의 교육이념과 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의 세 관점에서 먼저 제시한 생태이론과의 관련여부를 동학사상의 핵심용어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교육이념과 목적으로는 시천주, 양천주, 이천식천, 동귀일리를 중심으로 이것이 생태교육사상이라는 점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교육내용으로는 교리적 교육내용으로 불연기연과 무위이화의 논리가 생태교육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근거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실천적교육내용으로 여성과 아동존중사상 역시 생태교육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교육방법으로는 수심정기와 성경신의 수도법이 생태적 교육방법인지 그리고 대인접물법의 수련법이 역시 생태교육인지의 여부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