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정복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제 7차 교육과정의 선택중심 교육과정이 학생의 적성과 흥미를 발견, 신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게 진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진로지도를 강화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진로심리검사 결과와 과정 및 과목 선택 등과 관련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재량수업을 통해 실시하여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첫째,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고등학생이 통제집단의 고등학생에 비해 자아정체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고등학생이 통제집단의 고등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위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서초구 소재 남녀 공학 고등학교 1개교의 1학년 두 학급(각각 32명으로 남 14명, 여 18명)을 선정, 각각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여 실험집단에 5주간 주 2회 총 10회에 걸쳐 재량수업 및 학급활동(H·R)시간에 50분씩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고 사전-사후 검사만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박아청(1998)이 제작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이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이며 자료처리는 SPSS/Window 10.0을 사용하여 MANCOVA를 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프로그램 실시중 학생들의 활동을 관찰한 내용과 매 회기 활동 후 학생들이 작성한 경험보고서 및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내용을 수록하여 양적 연구 결과가 갖는 신뢰성의 제한점을 보완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고등학생이 통제집단의 고등학생에 비해 자아정체감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1). 하위요인별로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주도성, 친밀성, 정체감 혼미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목표지향성, 정체감 유예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고등학생이 통제집단의 고등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1). 하위요인별로는 계획성, 자기이해, 정보활용 및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일반직업에 대한 지식, 관심 있는 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독립성, 일의 중요성 인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진로지도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된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과정과 과목 선택을 위한 진로지도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진로지도와 후속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진로를 탐색하는 가운데 자신의 장·단기적 진로계획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그것과 관련된 과정을 선택하고 그 과정 안에서 제시된 교과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고등학교 1학년 1학기(5∼6월)에 과정과 과목 선택을 해야하므로 중학교 때부터 각 과정 및 교과가 학문 분야 및 직업 분야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리라 본다. 아울러 일단 선택이 이루어진 후에도 자기 이해와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가 계속 되도록 진로지도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단기간을 이용해 프로그램을 진행하다보니 한 회기에 다소 많은 양을 다루는 바람에 학생 상호간 의견 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학생들은 경험보고서에서 다른 학생들의 의견이나 발표 내용에 대해 많은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고 또한 그것에서 도움을 얻는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장기간을 이용하여 학생 상호간의 활동을 충분히 활용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In order to turn the educational curriculum centered on the selection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to the opportunity to develop and expand the aptitude and interest of the students, we have to strengthen the career guidance so that they may select the careers to match their own aptitude and making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the career guidance program related to the result of the career psychological test and to the selection of the curriculum and curriculum of study for the first year students of the high school(hereafter cited as student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 effect it affects the ego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by conducting it through the discretional instruction. Two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see if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go identity between the students of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guidanc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and if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reer maturity between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examine the above hypothesis, two classes of the first year students were selected (male 14 and female 18 respectively among the total of 32 students) in one coeducational high school located at Seohcho-gu, Seoul, one for the experiment and the other for the control group, and conducted the career guidance program to the experiment group for 50 minutes each both for the discretional class and class activity(H·R: Home Room) hours over 10 times for 5 weeks. But only the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without taking any action to the control group. As measuring instruments, I used the 'Korean Type Ego Identity Test' devised by Ah Chung Park(1998), and 'Career Maturity Test' developed by Korea Occupational Ability Development Service(2001), and for the data processing, I did MANCOVA using SPSS/Window 10.0.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s: First,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 group, who had participated in the career guidance program,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go identit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P < .001). The lower factors such as the self-reliance, self-acceptance, confidence about the future, initiative, intimacy, and confusion about the identity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ut those such as the goal orientation, and hesitation about the identity did no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Secondly,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 group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areer maturit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P<.001). While the lower factors such as planning, self-understanding, information utilization and rational decision-making ability, knowledge about the general occupations, knowledge about the interested occupations,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behavior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those such as the independence, and realiz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tasks did not. Since the result of the above study showed that the career guidance program has affected the ego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of the students positively, it may be used as the career guidance materials for the first year students of high school so that they can select the appropriate curriculum and study them at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here the requirement of the career guidance has increased more.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drawn for the career guidance and successive studies. First,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students have to choose their curriculum and curriculum of study during the 1st term of the first year of the high school(May∼June), it is required to provide students the guidance program from their middle school days, which provides them the information as to what relationship each course has with the fields of learning and occupational fields. Secondly, since students had a lot of things to do in every session, the exchange of opinions among the students were not achieved sufficiently. The students stated in their experience reports that they had much concern and interest toward the opinions and contents presented of other students, and that they acquired the help from them. Therefore, conducting the career guidance program using the mutual activities among the students sufficiently for a long time will be of increasing help to them.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Master of Education(Counseling Psychology) in February, 2004.

      • 12주간의 실시간 비대면 하지 신경근 운동이 50-60대 여성 퇴행성 무릎 관절염 환자의 보행, 신체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복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실시간 비대면 하지 신경근 운동이 50-60대 여성 퇴행성 무릎 관절염 환자의 보행, 신체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18명의 50-60대 여성 퇴행성 무릎 관절염 환자가 대상자로 참여하였으며, 운동집단 9명과 통제집단 9명으로 구성되었다. 운동집단 대상자는 12주간, 주4회, 회당 준비운동 5분, 하지 신경근 운동 30분, 정리운동 5분, 총 40분씩 실시간 비대면 하지 신경근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의 대상자는 평소의 생활습관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모든 결과는 SPSS PC+for Windows(version 25.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집단에서 얻은 종속변인의 기술통계량을 제시하기 위하여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를 산출하였다. 두 집단 간, 그리고 두 시기 간 평균 차이를 동시에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이원변량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집단의 주효과, 시기의 주효과, 또는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경우 각 집단 내 두 시기 간의 차이는 종속 t-검증(paired t-test)으로, 그리고 각 시기 내 두 집단 간의 차이는 독립 t-검증(independent t-test)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12주간의 실시간 비대면 하지 신경근 운동처치 후 보행에서 왼쪽 다리의 보폭이 증가하였고 통증이 감소하였으며, 40m 빠르게 걷기와 30초 앉았다 일어서기의 신체기능이 개선되었다. 무릎 관절염 설문지 결과점수 변화를 보면 증상, 경직성 감소, 일상생활 기능의 향상 그리고 운동 및 놀이 활동 기능의 개선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12주간의 실시간 비대면 하지 신경근 운동이 50-60대 여성 퇴행성 무릎 관절염 환자의 보행, 통증 그리고 신체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12 weeks of non-face-to-face real-time lower body neuromuscular exercises on gait,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in 50s and 60s with degenerative knee osteoarthrit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women in their 50-60s residing in the city of “S” and the province of “K”. These women had not participated in an organized exercise program in the prior six months, had no illness that deterred them from receiving exercise tests and resistance exercise interventions, and were not on a special diet.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neuromuscular exercise group (NEMEX: n=8, 1 dropout) and the control group (CON: n=8, 1 dropout)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NEMEX group participated in an online lower body NEMEX intervention by watching and following YouTube Live consisting of warm-up (5 mins), NEMEX (30 mins) and cool down (5 mins)  for a total of 40minutes a day, 4 times a week for 12 weeks. The control group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 patterns during the same intervention period. All data from this study were processed using SPSS PC+ for Windows (version 25.0).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to illustrate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two groups. Repeated two-way ANOVA was performed to simultaneously analyze the difference in means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pre-/post-intervention time periods. If the main effect of the group, the main effect of the pre-/post-intervention periods, o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time period were significant,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periods of each group, and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in each time period. All statistical tests were run with a significance level (α) of .05. In the NEMEX group, after 12 weeks of 4 times-weekly-lower body NEMEX interventions, there were a significant reduction of pain, increase in left step length, and improvement in physical funtion(40m fast-paced -walk, 30 seconds chair stand test). And also there were improvement in stiffness, symptoms, funtion of daily living, and sports and recreational activities in the NEMEX group. In conclusion, 12 weeks of 4 times -weekly-lower body NEMEX interventions would be beneficial for improvement of gait, pain, and physical funtion of in women in 50s and 60s with degenerative knee osteoarthrit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