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비대면 학생 수련활동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신오련 서울교육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unprecedented event of COVID-19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VID-19) that hit the world in 2020, the opening of ‘online’ was announced sequentially from April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grade. Through this, Korea has entered a phase in which non-face-to-face distance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high and college students is implemented as a nationwide education system. However, in the context of COVID-19, where activities that can be done with others are limited, subject education alone cannot help students grow as a whole. Therefore,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it is the time when various studies on training activities as well as subjects are need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applied an education program for on-line non-face-to-face student trai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in order to establish a method for on-line non-face-to-face training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a on-line non-face-to-face student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An on-line non-face-to-face student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into six programs(sports stacking, classroom play, magic, nanta, mask strap making, brain survival) in five areas(sports, physical, cultural, craft, and cooperative activities) and a map was prepared for each program. Second, the developed on-line non-face-to-face student training program was applied as an interactive online non-face-to-face class through Zoom to a total of 293 students in grades 2-6 in 11 classes at 7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rough the Seoul Students’ Education Center. Third,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in on-line non-face-to-face student training program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analysis of 280 participation satisfaction surveys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are as follows. The overall average of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the on-line non-face-to-face training program showed a high level of 4.27. The average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by program was 3.83~4.54, and all programs showed high level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on-line non-face-to-face training program, the Nanta program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hysical satisfaction (M=4.54), psychological satisfaction (M=4.98), and satisfaction with facilities (M=4.7). In terms of social satisfaction (M=4.38)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M=4.45), classroom play programs had the highest levels.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eachers, the magic (M=4.81) program showed the highest leve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in on-line non-face-to-face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However, when looking at each sub-area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in on-line non-face-to-face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grade, the 6th grade was the most satisfied, followed by the 4th, 3rd, 2nd, and 5th grades. In the impression of participation in the on-line non-face-to-face training program, the best thing was that he cooperated with friends, and the most regrettable was that he couldn't work for a longer time. Through the above result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is program is not too difficult to apply to students in grades 2-6. In addition, through the on-line non-face-to-face training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feel the joy of communicating with their friends and sharing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of relieving their stress. In the future, it can be seen that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allows students to be together for a longer time in on-line non-face-to-face training for various training education is also required. As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as a on-line non-face-to-face training program at the training headquarters visiting the Seoul Students’ Education Center, it would be difficult to generalize it as a whole, but it was concluded that it was not unreasonable to apply i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one of the on-line non-face-to-face training activity training programs. Got it. After completing this study, I hope that on-line non-face-to-face training activities will be activated even in the post-COVID-19 era to be unfolded in the future, so that research on training activities in various ways for the holistic growth of students will be attempted. I look forward to it. 전 세계적으로 2020년을 강타한 코로나19(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COVID-19, 이하 코로나19)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로 인해 4월부터 학교급과 학년에 따라 순차적으로 ‘온라인’ 개학이 발표되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초, 중, 고, 대학생의 온라인 비대면 원격 교육이 전국가적 교육 체제로 시행되는 국면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다른 사람과 함께 더불어 할 수 있는 활동이 제한되어 있는 코로나19라는 상황에서는 교과교육만으로는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도울 수 없다. 따라서 온라인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교과뿐만 아니라 수련활동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따른 온라인 비대면 학생 수련활동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참여만족도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온라인 비대면 수련활동 교육에 대한 하나의 방법을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온라인 비대면 학생 수련활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온라인 비대면 학생 수련활동 교육프로그램을 5가지 영역(스포츠활동, 신체활동, 문화활동, 공예활동, 협력활동)의 6가지 프로그램(스포츠스태킹, 교실놀이, 마술, 난타, 마스크스트랩만들기, 브레인서바이벌)으로 개발하여 각 1차시의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둘째, 개발한 온라인 비대면 학생 수련활동 교육 프로그램을 서울학생교육원을 통해 서울시 소재 7개 초등학교 11개 학급 2~6학년 학생 총 293명을 대상으로 Zoom을 통한 쌍방향 온라인 비대면 수업으로 적용하였다. 셋째, 온라인 비대면 학생 수련활동 교육 프로그램 참여만족도를 조사·분석하였다. 불완전한 응답을 제외한 280명의 참여만족도 설문을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온라인 비대면 수련활동 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만족도는 전체 평균이 4.27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프로그램별로 참여만족도의 평균은 3.83~4.54으로 전체 프로그램이 모두 높은 수준의 참여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01)를 나타내었다. 온라인 비대면 수련활동 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참여만족도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신체적 만족도(M=4.54), 심리적 만족도(M=4.98), 시설에 대한 만족도(M=4.7)는 난타 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사회적 만족도(M=4.38)와 교육적 만족도(M=4.45)는 교실놀이 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교사에 대한 만족도는 마술(M=4.81) 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성별에 따라 온라인 비대면 수련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참여만족도의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신체적 만족도와 심리적 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에 따라 온라인 비대면 수련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6학년이 가장 만족도가 높았고, 다음으로 4학년, 3학년, 2학년, 5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비대면 수련교육 프로그램 참여 소감에서 가장 좋았던 것은 친구들과 협력했던 것을 꼽았고, 가장 아쉬웠던 것은 좀 더 긴 시간동안 활동을 하지 못한 것이라 하였다. 위의 참여만족도 결과를 통해 본 프로그램이 2~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기에 무리가 없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온라인 비대면 수련활동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친구들과 소통하고 함께하는 활동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만족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수련교육을 위한 온라인 비대면 수련교육에서 좀 더 긴 시간동안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도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서울학생교육원을 통한 온라인 비대면 수련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하였기 때문에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겠지만, 초등 대상 온라인 비대면 수련활동 교육 프로그램의 하나로 초등학생에게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를 마치며 앞으로 전개될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온라인 비대면 수련활동 교육이 활성화되어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다양한 방법의 수련활동 교육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길 바라며, 본 연구가 수련활동 교육 활성화 연구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