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 개발

        최예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4026

        본 연구에서는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의사결정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생명윤리의 영역과 내용을 범주화 하였으며, 각 내용범주에 해당하는 생명윤리 문제의 주제의 예시를 선정하였다. 또한 Harren(1984)의 의사결정 유형 검사를 바탕으로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의 응답 방식에 맞게 수정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 111명을 대상으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를 적용하여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및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른 의사결정 유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직관적 유형이 65.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합리적 유형은 33.3%, 의존적 유형은 0.9%로 나타났다. 또한 생명윤리의 내용범주에 따라 의사결정 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163.270, p=0.000). 반면 생명윤리 문제의 내용에 대해 학생들이 그 내용을 얼마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파악하여 그 인식 정도에 따라 학생들의 의사결정 유형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분석한 결과,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의사결정 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생명윤리 문제에 대해 의사결정을 할 때 감정이나 즉시 떠오르는 판단으로 결정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생명윤리 문제의 내용에 따라 학생들의 의사결정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는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의사결정 유형을 파악하여, 합리적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이나 수업모형 개발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사상체질과 의사결정 유형에 관한 연구

        최민기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35709

        사상체질과 의사결정유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지대학교 본과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남성 69명과 여성 45명, 총 114명을 대상으로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상체질 음성 분석기(PSCC)와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Ⅱ), 사상체질 전문의의 진단을 통한 사상체질분포는 소양인 35명(30.7%), 태음인 32명(28.1%), 소음인 47명(41.2) 이었다. 2. 기존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체중, BMI에서 태음인 집단이 소양인, 소음인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여성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의사결정유형 점수 중 합리적 유형 점수에서 소음인이 소양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 직관적 유형 점수에서는 소양인이 소음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의존적 유형 점수에서는 소음인이 태음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4. 남성, 여성간의 의사결정유형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BMI를 중위수(21.2 kg/㎡)로 구분한 저 BMI군에서는 합리적 유형 점수에서는 소음인이 태음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직관적 유형 점수에서 태음인과 소양인이 소음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의존적 유형 점수에서 소음인이 태음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고 BMI군에서는 합리적 유형 점수에서 소음인, 태음인이 소양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직관적 유형 점수에서 소양인이 소음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의존적 유형 점수에서는 체질별로 유의성이 없었다. 6. 합리적 유형 점수, 직관적 유형 점수, 의존적 유형 점수의 각각의 중위수를 기준으로 각 유형을 높은 군과 낮은 군으로 나누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합리적 유형 점수에서는 태음인이 소양인에 비하여 교차비가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직관적 유형 점수에서는 소양인이 소양인에 비하여 교차비가 유의성 있게 높았고, 의존적 유형 점수에서는 소음인이 태음인에 비하여 교차비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의사결정에 있어 소양인은 직관적 유형이 높고 소음인은 의존적 유형이 높았으며 이는 『東醫壽世保元』의 조문이나 이전 연구들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었으나 태음인의 경우는 일정하게 정해진 유형이 없었다. 따라서 태음인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체질별 의사결정유형과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특히 소양인과 소음인의 체질 감별에 있어 하나의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학생들의 진로 결정이나 학습 성향에 각 체질별 특징을 이해하여 각 개인 체질에 맞는 효율적인 상담 및 안내 도구 마련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