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udies on Heterogeneous Decision-Making Structure in terms of Attribute Non-Attendance and Random Regret Model

        박상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942

        Understanding consumer taste heterogeneity is always a crucial part of establishing marketing activities. The distributional approaches of consumer preferenc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tatistical marketing applications. These statistical approaches have evolved in various ways, and this dissertation adds diversity to the field of consumer heterogeneity studies. This study proposes a series of models that capture consumer heterogeneous decision-making strategies as a perspective of consumer heuristic behavior by adopting a Bayesian stochastic search variable selection model. The proposed models in this dissertation are two fold. First, this study suggests a model for explaining consumers’ attribute non-attendance behavior with consumer characteristics. When consumers face complex decision-making situations, they are possibly attracted to or ignore one or more attributes while processing the information on offer, which cannot be explained with the usual random utility maximization model. Previous studies attempt to explain this attribute non-attendance behavior by questioning respondents directly or stochastically estimating a considered subset. However, these models do no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non-attendance behavior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dissertation suggests a method for capturing respondents attribute non-attendance behavior based on their individu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distinguishing agents’ decision-making strategies is also a critical issue for understanding consumer heterogeneity. Previous research suggests various alternative decision-making strategies and demonstrates consumer decision-making strategy with the latent class model or with comparison of model fit measures such as Akaike Information Criteria or Bayesian Information Criteria. These approaches may possibly classify consumer decision-making strategies but they do not fully identify individual heterogeneity for individual decision-making strategy. Among suggested alternative decision strategies,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random regret minimization, which is conceptually opposite to random utility maximization. This dissertation proposes a model for identifying individual decision-making behavior heterogeneity between random utility maximization and random regret minimization using the Bayesian stochastic search methods.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ree high-tech durable goods: a zero-energy house, a telecommunications bundle, and a vehicle choice behavior. High-tech durable goods were chosen for empirical analysis because high-tech durable goods have many attributes in comparison with other goods categories, and therefore, respondents face complex, uncertain decision-making situations while decision making process. The empirical results illustrated these attribute non-attendance and complex decision-making behaviors well. The suggested model in this dissertation has two main implication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w product design process, manufacturers in the product planning stage should identify consumer consideration of product attributes. Next, setting up a marketing strategy based on segmentation, targeting, and positioning require classification of consumer characteristics based on consumer choices. The models suggested in this dissertation effectively organize consumer heterogeneity with reference to consumer socio-demographic traits. 소비자의 이질성은 오랜 기간 동안 통계적 마케팅 선택모형 연구의 핵심적인 부분이었다. 소비자 이질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확률적 접근방법들이(distributional approaches) 존재했고, 소비자 선호에 분포을 부여하여 소비자의 취향 이질성을 도출을 통해 소비자 이질성을 도출하는 방법론들이 제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의사결정 전략을 확률적 변수 선택 모형 (Stochastic Search Variable Selection) 을 이용하여 포착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첫 번째 모형은 소비자의 대안 선택 시의 속성 비집중 (Attribute Non-Attendance) 행태를 소비자의 특성을 통하여 설명하는 모형이다. 소비자들은 복잡한 의사결정 상황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를 이용하지 못하고 의사결정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선행 연구에서는 이러한 행태를 속성 비집중 이라는 용어로 설명하고 있고, 이에 대한 분석을 직접 응답자에게 묻거나, 고려대상이 되는 부분정보집합을 통계적으로 추론하는 방법론을 이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모형들은 개개인의 특성과 변수선택간의 관계를 소비자 특성과 연관 지어 설명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모형은 소비자들의 attribute non-attendance 행태를 소비자의 특성과 연관 지어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두 번째 모형은 소비자의 이질적인 의사결정구조를 효용 최대화(Random Utility Maximization)와 후회 최소화(Random Regret Minimization)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모형이다. 기존 연구는 소비자의 대안적 휴리스틱 의사결정 모형을 결정하기 위하여 AIC, BIC와 같은 모형추정적합도를 비교를 하여 소비자의 대안적 휴리스틱 의사결정 모형을 설명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개별적 의사결정 행태의 이질성을 효용 최대화와 후회 최소화 관점에서 베이지안 변수탐색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은 제로에너지 하우스 선택 상황, 방송통신 결합상품 선택 상황, 그리고 차량 구매 상황의 세 가지 첨단기술 내구재에 대한 소비자 선호 분석을 이용하였다. 소비재와는 달리 첨단 기술 내구재의 선택에 있어 소비자는 많은 정보를 처리해야 하고, 소비자의 특정 선호에 대한 확실한 개인 선호가 반영되기 때문이다. 또한 소비자는 내구재 선택에 있어 복잡한 의사결정 상황에 마주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의사결정 구조 이질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증 분석 결과는 이러한 소비자의 복합적 의사결정 구조와 특정 대안에 대한 고려를 잘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은 두 가지 함의가 있다. 첫번째로 제품생산단계에서 제품기획단계의 생산자는 소비자의 제품 특성 고려에 대한 이질성을 도출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두 번째로, 시장세분화, 표적시장 선점, 위상정립 마케팅 (STP Marketing) 측면에서 소비자들의 특성에 따라 확실한 시장 세분화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모형이다.

      • 선택의 이유를 바꾸는 카테고리의 힘

        백은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94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product categorization method and examine its effect: ‘hedonic’ vs. ‘utilitarian’ categories. Depending on the value intended for each category for either hedonic or utilitarian, the identical products were arranged into various groups and were named differently, and thus designing two categories of hedonic and utilitarian. Choosers’ characteristics such as familiarity and involvement with the given product are used to classify choosers into two groups: preference matchers vs. preference constructors. Under the choice decision condition, two main dependent variables, the reason for their choice and willingness to pay in time for price discount, were measured. People were asked to choose a product for themselves, and rated the reason for their choice between want and need, which represents for hedonic or utilitarian choice motivation. After that, they were also asked to rate how much they were willing to pay for time to discount the price of the chosen product. A random sample of 157 females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within the context of women shoes choice deci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ategory types and chooser type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preference constructors’ reasons for choice were affected by category characteristics such as hedonic (i.e., want) or utilitarian (i.e., need) motivation, whereas preference matchers’ reasons were shown as the opposite. The opposite result is suggested because preference matchers are highly involved and familiar with the given products. Their choice reasons are mostly based on hedonic motivation such as expressing personal taste with expected, typical utilitarian categories. However, with hedonic, unexpected and atypical categories, they are uncertain with their choice as well as the reason, resulting in attribution to utilitarian motivation for justification. Second, willingness to pay in time for price discount was resulted from the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ategory types and chooser types. However, this result is better explained by utilitarian and hedonic motivation. People who rated the reason for their choice more closely to utilitarian motivation (i.e., needs) were more willing to pay in time for price discount, whereas people who described their choice reason as more close to hedonic motivation (i.e., wants) were less willing to pay in time for price discount. This result illustrates that when people buy products for utilitarian motivation, they tend to adhere to price aspect whereas for hedonic motivation, people are less likely to do that. The findings of the study emphasize a significantly distinct effect of category types on people’s post-choice phenomenon such as reasoning and WTP in time for their choice. The study provides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retailers developing hedonic and utilitarian categorization strategies that may change people’s reason for their choice, which alter the intention to focus on price discount.

      • Consumers' Intertemporal Choice for New Products considering Product Line Extension

        최현홍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941

        신기술 제품은 기존 제품과의 경쟁을 거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확산된다. 정부는 이 확산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수단을 소비자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장기 정책의 경우 시점 별로 달라지는 정책 수준이 소비자의 제품 구입 시점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런데, 시점 별로 달라지는 제품 공급 상황 역시 소비자의 선택 및 신기술 제품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 초기에 신기술 제품의 제품 라인은 상당히 제한적이겠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품 라인 확장을 통해 새로운 제품이 출시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품 라인 확장을 고려한 소비자의 시점 간 선택을 분석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해당 모형을 국내 자동차 시장의 전기차 확산 케이스에 적용하여 제품 라인 확장 패턴에 따른 소비자의 시점 간 선택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형은 크게 소비자의 시점 간 선택 모형과 소비자 선택 및 정책 상황을 고려하여 미래 신기술 제품 출시 계획을 결정하는 제품 라인 확장 모형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모형에서 소비자는 시간 측면에서 확장된 선택 집합을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자신의 제품 구매 시점을 결정한다. 제품 라인 확장 모형의 경우, 신제품 출시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자기 잠식을 고려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최적 제품 라인 확장 계획을 분석기간 전체에 대해 한번에 결정한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은 크게 세 파트로 이루어져 있다. 첫 파트에서는 제품 라인 확장을 특정 케이스로 고정한 상태에서 소비자의 전략적 시점 간 선택 행위에 대해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책 개입에 따른 구매 당김/미룸 행위와, 이로 인한 시장의 매출 변화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정부의 정책 개입으로 인한 제품 라인 확장 (제품 공급) 변화가 소비자의 선택 및 신기술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책 개입 그 자체로 인한 효과와, 이에 따라 제품 공급이 변화하여 나타나는 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세번째 파트에서는 신규 진입자가 시장에 진입하는 경우에 대해, 신규 진입자의 시장 진입 및 제품 출시 그 자체로 인한 효과와 신규 진입자의 진입으로 인한 기존 공급자의 제품 공급 변화의 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제안된 모형의 소비자는 근시안적인 소비자와는 상당히 다른 선택을 하였으며, 정책 상황에 따른 제품 라인 확장 변화를 고려하는 것이 미래 신기술 확산 예측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관찰되었다. New technology products diffuse gradually while competing with conventional products. The government may use various policy options to alter the speed of such diffusion, and long-term policies with different levels over time may affect consumers’ choice of product purchase timing. Moreover, different choice situations caused by different product supplies may also affect consumer choice. For example, in their early stage of diffusion, new technology products are likely to have limited a product line, but new products will be introduced over time through product line extension. Therefore, in this dissertation, I propose a model that can incorporate consumers’ intertemporal choice for new products, taking into account product line extension. Moreover, I apply the proposed model to the case of electric vehicle diffusion in South Korea.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the intertemporal consumer choice model and the other is the product line extension model. In the proposed model, consumers decide their purchase timing from a choice set with extended timeframe. The product line extension model derives a revenue-maximizing product line extension plan considering cannibalization between products. The empirical analysis consists of three main parts. In the first part, I focus on analyzing consumers’ intertemporal choice behavior under policy intervention while fixing product line extension. In the second part, I analyze the impact of a product line extension (change in product supply) on consumers’ intertemporal choice. Finally, in the third part, I analyze the impact of a new entrant on product supply and consumer choic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uggest that consumers in the proposed model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behavior compared to myopic consumers. Moreover, consideration of varying the product line extension from changing policy situ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ecasted diffusion of new technologies.

      • 學校選擇制에 관한 硏究

        김미성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41

        교육의 질적인 향상과 수월성 확보를 위한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세계 주요국 들은 교육분야에 시장 경제 논리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 전략 중 하나가 교육수요자들에게 학교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교육공급자들의 공정한 경쟁을 촉진하여 교육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학교선택제는 지난 1980년대 이후 자유 시장 경제 원리를 교육에 도입하려는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일환으로 국가가 통제하던 학교에 대한 선택권을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에게 돌려주어 교육의 권력구조를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하는 학교체제 이다. 우리 나라도 1974년 고등학교 평준화정책이 시행된 이래 학부모의 학교선택권 제한, 교육의 수월성 및 자율성 저하 등에 있어 허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1995년 발표된 교육개혁 방안에서는 학교선택권에 대한 논의가 구체화되었다. 최근 교육 인적자원부는 2002년부터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를 실험 운영하여 교육수요자에게 학교선택권을 부여한다고 발표하였다. 이 연구는 최근 주요국들의 정책 과제인 학교선택제에 대하여 고찰하고, 우리 나라 교육에 학교선택제를 도입할 때 필요한 선결조건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선택제에 대한 여러 이론들을 고찰하고 주요 선진국들의 예를들어 학교선택제의 유형 및 학교선택권 보장 정책을 탐구하였다. 이어, 우리나라 교육개혁 중 학교선택권과 관련된 내용을 탐색하였으며, 현 교육체제에서 학교선 택제가 도입된다고 가정할 때 생기는 문제점과 선결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학교선택제 찬성론자들은 학교선택제야말로 민주주의 정신과 기회균등의 실현, 교육의 책무성 증진 및 자녀교육의 적절한 역할수행에 필요한 조처이며 학교교육의 효과성과 자율성 촉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학교선택제 반대론자들은 학교선택제는 오히려 불평등을 야기시키고 교육의 공공성이 침해된다고 주장하면서 학교선택제 실시로 인해 추가로 발생하는 비용상의 문제와 학부모 선택의 공정성의 문제 등을 들고 있다. 영국의 학교선택권 보장 정책은 1980년 England 교육법안과 1981년 Scotland 교육법안 통과 이후 본격화되어, 원하는 학교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향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학교선택권 보장 정책은 1983년 “위기에 처한 국가”의 발표 이후 구체화되어 왔으며 Bush정부에 이어 Clinton정부도 공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해 학교선택제를 주요 정책으로 표명하였다. 학교선택제의 유형으로는 미국의 경우, 공립학교형 학교선택제도인 특성화 학교, 헌장 학교, 자유등록제 등이 있으며 공·사립 구분이 없는 선택제도로는 교육비지불보증제도와 교육비공제제도 등이 있다. 전통적으로 중앙정부의 통제 아래 획일화되고 경직된 교육체제를 지닌 우리 나라에 학교선택제의 시행은 매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학교의 자율성 보장, 학교교육의 다양화와 특성화, 자유로운 경쟁체제 확립, 학생 선발에서 기회 균등의 보장과 제도화, 교통편의 제공, 학부모에 대한 교육 정보체제의 효율적 운영 방침 마련, 학부모의 올바른 의식을 위한 교육의 체계화와 관련된 논의가 구체적으로 필요하다. 교육개혁 이후 더욱 관섬이 높아지고 있는 수요자중심 교육을 위해 학교선택제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학교선택제 도입으로 교육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질 높은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학교간 경쟁이 유도되어 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면 그 도입을 적극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rincipal nations in the world have introduced an economic market principle into the education area, and have conducted the principle as a strategy to improve educational quality, and to achieve an educational easiness. One of the strategies is to offer the choice of school directly to the education consumer, thus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by promoting competition between education suppliers. The school choice system has been one of the new-liberalism education policies, introducing the principle of a free competitive market to education since the 1980's. In addition, it is a school system that switches the power structure of education from the supplier oriented to the consumer oriented, through returning the school choice from the nation to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who are the education consumers. Our nation has had problems, such as a limitation of school choice, and a decline in educational easiness, and in self-regulation since 1974 when the equalization policy for high schools came into existence. The education reform plan established in 1995 discussed specifically the school choice right. Recently, the Education Ministry announced that the school choice right will be provided to education consumers after an experimental administration in self-supporting private high schools after 200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iscuss the school choice right, a recent policy of the principal nations, and to search for the prior conditions necessary to introduce the school choice right to education in our n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we discussed several theories of the school choice system and investigated types of the school choice system, and security policies for the school choice right, by providing examples from the principal nation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education reforms of our nation related to the school choice right. We also tried to deduce possible problems developing when the school choice system is introduced into the present education system. The pros for the school choice system insist that the system is a necessary measure to accomplish the democratic spirit, and the equal opportunity, to improve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and to play a proper role in childrens education. They also insist that the system will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and will facilitate self-regulation of school education. Whereas, the cons insist that the system will create inequality of education, and will infringe on the public spirit of education. The cons also presented possible problems regarding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such as extra costs, and unreliability for justice in parents' choice. Security policy for the school choice right in England has become serious after the passage of the England education bill in 1980, and the Scotland education bill in 1981. Choice for school has an increasing trend in England. Security policy for the school choice right in the USA has actualized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nation at a critical phase" in 1983, and the Clinton government succeeded to the Bush government manifested school choice system as a principal policy to improv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There are magnet schools, character schools, and open-enrollment plans for the public school-type school choice system, and voucher systems and tuition tax credits for the type of choice system, without a classification of public or private. It will be very difficult to practice the school choice system in our nation where the education system is traditionally standardized, and stiff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cretely discuss the security for the self-control of the school, diversity and specificity of school education. establishment of a free competition system, security and systematization for equal opportunity in student selection, provisions for convenient transportation, preparation of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about the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for the parents, and of education systematization so that parents are properly informed. The school choice system could be a plan for consumer-oriented education to receive more attention since the education reform. We should positively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into education, if a high quality education program, satisfying the various requirements from education consumers, could be developed, and educational quality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 Travel mode choice analysis to promote modal shift from private to public transport in Kigali City, Rwanda

        Ndaruhutse, Jean Claude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1

        Transpor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he daily life of the inhabitants, their activities cannot be carried out without moving. In Kigali city, the rapid population growth and urbanization, coupled with increasing economic activities and opportunities in the cities, have resulted in rapidly growing travel demand. Due to this increasing mobility, the use of cars and motorcycle taxis has increased and, finally, they have been a source of great concern for their implications in terms of congestion, accidents, pollution and so forth. For this reason, the use of public transport should be increased to reduc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car and Motorcycle taxi use. In recent years, both national and city authorities in Rwanda have already recognized the important role of public transport. A series of policies, regulations and strategies were implemen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public transport, but it still remains on a basic level. Although many measures have been taken to improve public transportation, the use of private cars and motorcycle taxis continue to grow from day to day which increases the traffic jams, air pollution and other problems associated to them. So, in order to reduce car and Motorcycle use, it is vital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patterns of travel behavior of the people and their reasons for choosing one mode of transport over another. Thu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public transport services that can be improved considering commut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ttitudes and behaviors so that the private transport users can shift to more effective sustainable transportation which is a bus in case of Kigali. In this study, a sample of 530 respondents from Kigali City using a bus, a Motorcycle taxi and a car for commuting was used. By using Multinomial Logit, discrete choice models, the effect of mode-specific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ravelers’ preferences on mode choice behaviors were analyzed. This study showed that waiting time, in-vehicle time, fare and egress travel time for bus mod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us choice. travelers will choose to use public bus when In-vehicle time, waiting time and egress travel time are minimized and bus fare is affordable. It was also found that that females are more likely to use car than bus because women may not stay up for longtime if seats are not available. Apart from observable variables reflecting mode specific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unobservable, or latent variables reflecting individual preferences are used to examine whether manifested behavior in other areas of everyday can affect the individual choice decision. The attitudinal and behavioral indicator variables were used to construct preferences for environment, safety, flexibility, comfort and conven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sire for flexibility and convenience for MT users and the desire for flexibility, comfort and convenience for car users increase the tendency to use MT and car as a mode of travel. Therefore, in order to attract MT and car users for making modal shift to public transport, policy interventions that can reduce in-vehicle time, waiting time and egress travel time and increase flexibility, comfort and 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 have to be taken to pull travelers. However, this pulling measurement alone would not be enough to attract general public. Modal shift would occur if policy interventions were taken on both private and public transport based on push and pull measurement. 국문초록 NDARUHUTSE Jean Claude 도시개발정책학과, 글로벌도시개발 전공 중앙대학교 대학원 교통은 주민의 일상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이며, 이동하지 않고 활동을 수행 할 수는 없다. 키갈리시에서는 급속한 인구 증가와 도시화가 경제를 활성화 시켰고, 여행수요를 급속히 증가시켰다. 이러한 이동성의 증가로 자동차 및 오토바이 택시 사용이 증가했으며, 결국 이로 인한 혼잡, 사고, 오염 등의 측면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대중교통 이용은 자동차 및 오토바이 택시 사용과 관련된 문제를 줄이기 위해 증가되어야 한다. 최근 르완다의 국가 및 시 당국은 대중 교통의 중요한 역할을 이미 인식하고있다. 대중교통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련의 정책, 규정 및 전략이 실행되었지만 아직까지는 기초 수준에 머물러있다. 대중교통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조치가 취해졌지만 개인 차량 및 오토바이 택시 사용은 날마다 증가하여 교통 정체, 대기 오염 및 기타 관련 문제를 야기하고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 및 오토바이 사용을 줄이려면 사람들의 여행 행태의 기본 패턴과 운송수단을 선택하는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통근자의 사회-인구통계적 특성, 태도 및 행동의 관점에서 개선될 수 있는 대중교통 서비스를 평가하여 버스를 개인교통보다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교통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버스, 오토바이 택시, 통근용 자동차를 이용한 키갈리 시의 530명의 응답자 표본을 사용하였다. 이산 선택 모델인 다중 이항 로짓(multinomial logit)을 사용하여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여행자의 모드 선택 행동에 대한 선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버스의 대기 시간, 차내 시간, 요금, 출퇴근 시간이 버스 선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여행자들은 차내 시간, 대기 시간, 출퇴근 시간이 최소화되고 버스 요금이 저렴할 때 대중 버스를 이용하는 것을 선택했다. 또한 여성이 버스보다 차를 더 많이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왜냐하면 여성은 버스에 자리가 없을 때 장시간 동안 서있는 것을 버티지 못하기 때문이다. 모드의 특성 및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관측 가능한 변수와 달리 개인의 선호도를 반영하는 관측 불가능한 잠재적 변수들은 매일 다른 장소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이 개인의 선택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 가능하게 한다. 환경, 안전, 유연성, 편안함 및 편의성에 대한 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인의 특성과 행동을 반영한 지표 변수를 사용했다. 그 결과 오토바이 택시 사용자의 유연성과 편의성, 자동차 사용자의 유연성, 편안함 및 편의성에 대한 욕구가 오토바이 택시와 자동차를 운송 수단으로 선택하는 경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중교통으로의 수단 전환을 위해서는 차내에서의 시간을 줄이고, 출퇴근 시간을 줄이고, 대중교통의 유연성, 편안함, 편리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정책적 개입을 통해 오토바이 택시 사용자와 자동차 사용자들을 끌어들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인 요소만으로는 일반 대중을 끌어들이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대중교통의 장점은 강화하는 반면 오토바이 택시와 자동차의 장점은 감소시킬 수 있도록 민간 운송과 대중 교통에 정책 개입이 이루어진다면 교통수단 전환이 가능해질 것이다.

      • (The) impacts of parents' social and cultural capitals on school choice and English acquisition atrategies : case of government secondary girls' schools in Kolkata, India

        Maya Buser D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7 국내박사

        RANK : 2941

        부모의 사회문화적 자본이 여아의 학교 선택과 영어능력 획득 전략에 미치는 영향: 인도 꼴까따의 공립 여자중학교 사례 연구 신자유주의적 경제개혁과 세계화의 영향으로 인도의 교육 부문은 지난 20여 년 간 크게 변화했다. 민영화와 시장화 때문에 보다 많은 교육 기회들이 도입된 반면 학교들 간의 차이도 커졌으며, 이렇게 변화된 교육환경에서 자녀에게 최선의 교육이 무엇인지를 선택할 때 부모가 겪는 어려움도 증가했다. 부모가 속한 사회계급이 자녀의 교육 기회를 선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한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자원을 가진 하층계급 부모는 수준이 떨어지는 학교를 선택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 연구의 목표는 여러 종류의 자본들에 관한 부르디외(P. Bourdieu)의 이론을 바탕으로, 인도의 대도시 꼴까따의 공립 여자중학교에서 계급에 따라 차이가 나는 부모의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자원이 부모가 자녀의 상급학교를 선택하는 과정을 비롯해 교육에 참여하는 데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을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학비가 무료인 공립학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경제적 자본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으면서도 이 논문의 주된 관심사인 사회적, 문화적 자본에 초점을 맞출 수 있었다. 상급학교 선택에 대한 조사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10학년에서 11학년)로 진학하는 단계에 초점을 맞췄으며, 이와 더불어 도시의 중간계급으로 인정받는 데 필수적인 지표인 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의 태도와 전략도 조사했다. 조사대상은 꼴까따의 2개 공립 여자중학교에 재학 중인 10학년 학생 35명의 가족들이다. 이 학교들은 둘 다 주 공용어인 벵갈리를 사용하는데, 공립학교지만 수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재학생 가족들의 계급이 서로 다르다. 두 학교를 중심으로 행한 다장소 질적 사례연구(multisite qualitative case study)에서 주된 조사방법은 학부모들과 행한 심층면접이며, 이와 병행해서 수업을 비롯한 각종 학급활동 관찰, 표적집단 면접, 서술형 설문조사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학부모들과의 심층면접 때 주요하게 등장했던 화제들에 따라 자료를 분류한 후 주제별로 정리했으며, 다른 경로로 수집한 자료들도 이 주제들에 따라 분류해서 교차분석에 이용했다.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사회계급이 높은 부모일수록 자녀를 위해 보다 수준 높은 고등학교를 선택하고 개인교습이나 학원 등을 통해 보다 많은 지원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세 종류의 자원으로 구분해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선택 가능한 학교들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학교 관계자들을 접촉하기 위해 부모가 가진 사회적 자원인 각종 연망관계들(친척, 직장동료, 친구 등)이 동원된다. 둘째, 부모 자신이 고등교육을 받아본 경험을 통해 얻은 문화적 자원 덕분에 각종 정보들을 비교해서 적절한 학교를 추려내고 입학에 필요한 진학지도와 보충학습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학교 관계자나 교사들을 대할 때도 자신감 있는 태도를 보일 수 있다. 셋째, 통학에 필요한 교통편, 학습교재 구입, 개인교습, 영어회화 학원 등을 위해 경제적 자원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학비가 무료인 공립 여자중학교처럼 경제적인 장벽이 낮은 경우들에서조차 사회적, 문화적 자본이 부족한 가족은 자녀가 진학할 고등학교를 효과적으로 선택할 능력이 제한된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참고교재 구입비, 교통비, 과외교습비 등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비용들이 증가하는데, 이것은 경제적 자본이 취약한 집의 자녀들에게는 극복하기 어려운 장벽이 될 수도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서로 다른 계급에 속한 여러 가족이 자녀의 고등학교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동원하는 다양한 자원들 및 그에 따른 선택의 폭과 한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도 대도시의 공교육 제도를 통해 계급이 재생산되는 메커니즘을 보다 심층적이고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화된 정보사회에서 IT를 비롯한 각종 전문직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좋은 대학을 졸업하는 것이 필수조건인데, 이 연구에서 분석한 고등학교 선택 과정은 장차 대학교 진학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바로 자녀의 장래에 대한 선택이자 계급재생산의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고등학교와 대학교 선택, 미래의 진로 선택, 영어 능력 갖추기 등의 과정에서 서로 다른 계급에 속한 가족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점과 한계들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이 논문에서는 교육 인프라, 학생 안전, 숨은 교육비용, 학급 내에서의 친구관계를 포함한 전반적인 교육의 질 등 공립학교 교육의 다양한 측면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학생과 학부형들이 공교육에서 원하고 기대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정책입안자와 행정공무원, 교사 등이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적절한 개선책을 마련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연구를 출발점으로 삼아, 앞으로 학생과 가족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고 원하는 내용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한 공교육 프로그램을 심층적으로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어 사용, 여학교, 공립중학교, 대도시 위치 등 조사대상 학교들이 갖춘 특징들뿐 아니라, 심층적인 현지조사를 통해 학교 선택과 부모의 교육 참여에 관한 자료를 수집했다는 점에서도 이 논문은 인도 교육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에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으며, 특히 계급 불평등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사실 이 논문처럼 인도에서 사회계급이 자녀의 학교를 선택하는 과정을 비롯해 교육에 대한 부모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현지조사에서 수집한 자료를 통해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The Impacts of Parents' Social and Cultural Capitals on School Choice and English Acquisition Strategies : Case of Government Secondary Girls' Schools in Kolkata, India The education sector in India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in the last two decades because of globalization and neoliberal reforms. Privatization and marketization have introduced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but also contributed to greater stratification of the sector. This situation makes it more challenging for parents to decide on the best schooling options for their children. Social class has been shown to have a strong impact on parents' ability to make effective choices about education. Disadvantaged families tend to end up in low-quality schools as a consequ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Bourdieu’s theory of capitals, wa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social and cultural resources of parents from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on school choice processes and English acquisition strategies for their daughters in secondary government schools in Kolkata. By studying free-of-cost government schools, it was possible to focus the analysis on social and cultural capitals, while, at the same time, not discounting the importance of economic capital. The process of school choice was analyzed at the crucial transition from secondary to higher-secondary education. In addition, parents' attitudes towards English and strategies for language acquisition were investigated. This is important because English functions as a major marker of middle-class identity in urban India.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35 families of class 10 students from two Bengali-medium government schools for girls in Kolkata. The methodology used was a multisite qualitative case study in schools of different quality catering to different social groups. In-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were the main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In addition, classroom observations, focus groups, and descriptive surveys were used. The data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opics emerging from the interviews and then refined into abstract themes. The other sources of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ame themes and used for triangulation. Findings from the study show that the participants from higher-class backgrounds are able to access better schools and provide more support for their children in terms of home and private tutoring. The findings show that three types of resources are used in these processes. Parents’ social networks are us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schooling options and to reach out to professionals in the field. Parents’ cultural resources, in the form of educational experiences, are used to make sense of information about schools, evaluate the quality of available options, as well as provide concrete help in terms of guidance and tutoring. They are also useful to interact confidently with educators and other professionals. Economic resources are needed to pay for transportation, textbooks, private tutoring, and spoken English courses. Conclusions reached are that disadvantaged families’ lack of cultural and social capitals limits their ability to make informed choices, even when, like in free-of-cost government schools, there are fewer economic barriers to quality education. However, in higher grades, there are hidden economic barriers, such as extra textbooks, transportation, and private tuition, which can become insurmountable hurdles for the most disadvantaged girl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constraints and preferences of families in the government education system at the transition between secondary and higher-secondary education. This is important in today’s global knowledge society because crucial sectors like servic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quire large numbers of highly qualified workers. The study highlights actual and potential bottlenecks in terms of access to higher-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career selection; and English skills acquisition. Most importantly,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needs and expectations of government school students and their families for policymakers, administrators, and educators. Several of these are touched upon, like infrastructure, safety, hidden costs; but also the quality of education beyond exam results, including classroom relations. For researchers, this study is a starting point for inquiries into designing government education that is more attuned to needs and expectations of thes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is study thus contributes to the emerging field of sociology of education in India, and specifically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social class in the reproduction of inequalities in education. The study’s setting at the secondary level, in vernacular-medium, single-sex, urban government schools makes it unique in the domain. In fact, to date, it is one of very few in-depth fieldwork-based studies on the role of social class in school choice and parental involvement in the country.

      • Essays on Boundedly Rational Choice Functions

        Bjorke, Isaac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New York Universit 2022 해외박사(DDOD)

        RANK : 2941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This dissertation contains a collection of essays on individual decision-making. Each of the three chapters consists of an analysis of choice functions whose behavior are intended to model decision-making with limited information.In the first chapter I propose a model of decision-making (seemingly rational choice) in which choices from menus are maximal according to a given preference relation, but only amongst alternatives which are chosen themselves in some menu. Choices are not restricted to outrank any alternatives that have never been sampled by the decision-maker. These choices play a dual role of maintaining consistency among themselves with respect to a given true welfare ordering, while also defining the knowledge available to the decision-maker about their preferences. This model is observationally equivalent to rational choice, but may differ significantly from welfare-optimal choices depending on the sparsity of the choice space. I characterize the multiplicity and sub-optimality of seemingly rational choices in finite choice spaces. I then analyze some competitive models of sampling in which two senders reveal alternatives to a receiver, as well as possible forms of seemingly rational consumer choices. The second chapter introduces a choice model (sequential choice functions) that maps sequences of menus to sequences of single alternatives that belong to those menus, modelling a “one-at-a-time” choice procedure. My coauthor Mauricio Ribeiro and I discuss consistency conditions of sequential choice procedures as well as reasonable representations of a sequential decision-makers’ “choosable” alternatives from a given menu. In particular, we characterize the dynamic consistency and rationality properties of learning procedures and recency-biased procedures. The learning models discussed in this chapter can be viewed as a foundation of the seemingly rational choice model introduced in the first chapter. The last chapter contains an alternative analysis to a standard asymmetric information setting: a sender wishes to persuade a receiver. Unlike the typical probabilistic analysis, the model in this chapter describes a receiver who holds point-prediction beliefs (a choice function over possible states). The sender reveals a sequence of hard evidence that evokes a belief consistent with the evidence presented, but this belief contains more specificity than the evidence itself. The evocability of beliefs are characterized under particular functional forms of belief formation inspired by the heuristics literature. When the sender is uncertain of the true state, speeches that maximize the probability of implementing their preferred state are characterized by a maximally-agreeable revelation of evidence that solve a class of set-cover problems. A dynamic extension of the model with feedback to the sender is included to provide examples that capture the phenomenon of “phishing”.

      • 階層化分析法을 利用한 住居選擇의 重要度 決定方法에 관한 硏究

        정금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940

        본 연구에서는 다양성, 개성화를 지향하는 현대사회에서, 주택의 수요자이자 이용자인 거주자의 주거 욕구충족을 위해서는 주거선택요소 중요도 분석이 필요하며, 이제까지의 공급자 중심의 주거계획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주거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규범적 접근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수요자 중심의 주거계획의 근간이 되는 주거지 계획시 계획가의 목표설정, 문제해결 우선순위 및 평가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론적 모색과, 주거선택시 사용자는 "무엇을 얼마만큼" 중요시 생각하는가에 대한 주거선택 의사결정에 대한 문제의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를 다음의 네 개의 연구목표로 나누었다. 첫째, 주거선택요소 파악. 둘째, 이들 요소들간의 상대적 중요도 도출. 셋째, 주거선택요소 중요도 구조 파악 및 이를 위한 방법론. 넷째, 전문가와 거주자간의 상대적 중요도 비교라는 네 개의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연구진행은 가장 단순한 물음이면서도 또한 포괄적인, 주거 "선택"시 "무엇"을 "얼마나"나 중요하게 생각하는가에서, 선택(의사결정), 무엇(주거선택요소), 얼마나(중요도)의 세 분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방법인 계층화분석법(AHP)에 대하여 이론적 배경을 서술하였다. 계층화분석법을 이해하는데 기본이 되는 퍼지이론부터 계층화분석법의 장점, 공리, 문제해결방식, 이원비교(pair comparison) 등 계층화분석법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방법을 서술하였다. 이상의 문헌연구는 첫째, 개성과 선호가 주거선택 전 과정에 관여한다. 둘째, 개인은 주거선택요소들을 이원비교 한다. 셋째, 주거선택을 속성들의 집합으로 표현 할 수 있다. 넷째, 수많은 주거선택요소들 중 사용자는 자신이 얻을 수 있는 정보들을 종합하여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 다섯째, 시간의 경과에 따라 거주자들은 주거지나 이웃에 소속되어 잠재 이주를 반대한다는 가설에 근거하여 설문조사분석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실증적인 연구로서 전문가와 아파트 거주 주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주거선택구조, 주거선택요소의 상대적 중요도, 주거선택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문가와 사용자간의 주거선택요소 상대적 중요도간의 차이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분석방법을 약술하여 전체 분석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은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시기적으로 2001년, 지역적으로 순천, 광양시로 한정하고, 주거이동 범위도 도시내이동으로 한정한다. 조사분석 대상자는 건축전문가 및 입주 5년 이내 아파트 거주 주부라는 국한된 범위에서 실증적인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아파트 주거선택시 고려할 요소를 실내공간(주택의 크기, 방의 수, 프라이버시, 평면구성, 안방의 크기, 거실의 크기, 주택관리의 편의성, 욕실의 수), 실내설비(실내장식, 주방설비, 설비노후, 소방설비, 승강기, 난방방식, 정보통신시설), 실내쾌적성(전망, 소음, 통풍, 향, 일조, 층수, 대기공해 및 진애), 주거단지내 시설(주차시설, 조경시설, 어린이 놀이터, 단지내 상가, 단지내 복지시설, 옥외조명, 보행자도로, 급배수설비), 단지내 공간(어린이 안전성, 단지의 크기, 주동의 배치, 단지내 경관, 단지의 밀도, 자연과의 친화성, 단지의 지형, 단지의 평판), 경제성(주택의 가격, 건축년도, 투자가치, 관리비, 시공회사 지명도, 주거비, 소유형태, 난방비), 위치특성(교육환경, 통근거리, 통학거리, 대중교통, 도심과의 거리, 친지와의 거리, 주위환경, 학군, 시장과의 거리)으로 추출하였다. 둘째, 주거선택요소 중요도 구조 파악 및 방법론에 있어서는 계층화분석법은 주거선택이란 의사결정에 적용함으로써 정성적 요소와 정량적 요소 모두에 있어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할 수 있어, 주거선택의 문제를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였다. 또한 계층화분석을 이용한 주거선택요소 중요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문가는 주거선택요소 문제를 주거환경, 경제성, 단지의 특성을 세분하여 파악하고 있다. 이들의 상대적 중요도는 주거환경이 47.70, 경제성이 22.74, 단지의 특성이 29.56이다. 주거환경은 실내공간(중요도 14.23), 실내설비(8.87), 실내 쾌적성(13.43), 단지내 시설(11.17)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거주자의 경우는 전문가에 비해 보다 단순하게 주거(33.12), 비주거(근린특성 : 66.88)로 구성되어 있다. 주거특성으로는 실내공간(14.53), 실내설비(10.53), 실내쾌적성(8.06)으로 구성된 요소들로 구분되었으며, 근린특성은 단지내시설(12.25), 경제적 특성(22.04), 단지특성(10.90), 위치특성(21.69)으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전문가와 거주자간의 주거선택요소의 중요도에 차이를 통계적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향, 대기공해, 주차시설, 소유형태와 같은 요소에 있어서는 전문가가 거주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이고 있다. 역으로 거주자는 방의 수, 관리의 편의성, 욕실의 수, 승강기, 전망, 단지의 크기, 단지의 지형, 단지의 평판, 친지와의 거리, 주위환경, 학군, 시장거리 등을 전문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전문가들이 이제까지 공급자 위주의 주거공급에 치우쳐 주거단지나 주거공간구성에만 관심을 가져왔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넷째, 거주자를 대상으로 주거선택요소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현재 주거나 주거단지 만족도는 주거선택요소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주거선호, 주거소유의식, 이주의사 등과 같은 주거태도는 주거선택요소 중요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현재 주거상황, 거주이력, 사회·경제적 특성,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주거선택요소 중요도가 차이가 있음을 설문조사분석을 통하여 얻었다. This dissertation studies a normative approach that should provide residential plans for the consumer rather than the provider For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who are the consumers and users of houses, an analysis of the priorities in and elements of residential choice is needed at the present time that focuses on multiplicity and individualism. And this dissertation is intends to consider: 1) housing projects based on the consumer-centered approach, 2) the priorities behind problem solving, 3) the methods of examination-problem solving, 4) solutions to the problems behind decision-making in residential choice, That is, users considerations of 'what and how much' when they choose their house. Hence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devided into 4 parts: 1) understanding elements in residential choice, 2) deducing relative priority among elements respectively, 3)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at priority and the elements in residential choice and its method, 4) comparison of the relative priority between experts and residents. This study considers that 1) personality and preference participate in the whole process of residential choice, 2) individual pairs compare elements in residential choice, 3) the residential choice can represent a set of attributes, 4) users synthesize and choose reasonably from information gathered about elements in residential choice, 5) a hypothesis that,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residents belong to neighborhoods or a place of residence and oppose potential migrants. This offers the theoretical basis of a questionnaire-survey analysi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s a positive study that considers that the experts and the housewives who live in apartments are objects, this dissertation describes the structure of residential choice, the relative priority of elements in residential choice, factors influencing elements in residential choice and a distinction of the relative priority of elements in residential choice between experts and users. Furthermore, it summarizes the analysis method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analysis method. After the above theoretical study, the questionnaire-survey produced the results below by taking into account the experiences of experts and housewives who lived in the same apartment complex for 5 years in Sunchon and Kwangyang city in 2001. First of all, from the literature study, elements in residential choice are: indoor space (housing size, number of rooms, privacy, unit plan, bedroom size, size of the living room, convenience of house management and the number of bathrooms); indoor facilities (interior, kitchen facilities, facility condition, emergency supplies, elevators, heating system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indoor comfort (view, noise, ventilation, orientation, sunshine, stairs, a pollution and dust); facilities available in the residential complex (parking lots, landscape equipment, playgrounds, shops in the complex, welfare facilities in the complex, street lighting, pedestrian paths and drainage); space in the complex (safety of children, size of the complex, block plans of apartment houses, landscape, density of the complex,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topography of the complex, and reputation of the residental site), economical characteristics (housing prices, the year of construction, investment merit, management expenses, reputation of the construction company, housing expenditures, tenure, heating systems); location characteristics (educational environment, distance from workplace, distance from schools, public transportation, distance from the CBD, distance from relatives, the social environment, school groups, the distance from markets). Second, The AHP methodology in the priority of Residential choice elements considered the relative priority of quantitive and qualitive elements, so that we cleary illustrated a decision making framework in residential choice. And the results are determined by positive analysis of the priority of elements in residential choice that uses on AHP. The experts understand the problem of elements in residential choice are divided into residential environments, econom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pecificity of complexes. The relative priority of these is residential environment, economical characteristic and the specificity of complexes. The el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is composed of housing unit space, indoor facilities, indoor comfort conditions and facilities in the complex The relative priority of residents is composed of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characteristics(neighborhood characteristics). The elements of residential specificity are divided into housing unit space, indoor facilities and indoor comfort conditions. And the neighborhood specificity is composed of facilities in the complex, economical specificity, specificity of the complex and location specificity. Third, the results of the distinction of the priority of elements in residential choice between experts and residents follow. Research illustrates that the experts place more importance than the residents concerning elements such as orientation, air pollution, parking lots and tenure, But, the residents feel that the more important elements are the number of rooms, the convenience of house management, the number of bathrooms, elevators, view, the size of the complex, the topography of the complex, reputation of residental site, distance from relatives, social environment, school group, distance from markets, etc. This suggests indirectly that the experts were interested more in residential complexes and residential space structures because they harbor a provider-oriented bias.

      • 共同住宅 居住家口의 住居選擇 行態에 관한 硏究

        이영주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940

        People try to get a house which is well-corresponded with lifestyle and housing consciousness and housing space. If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re not balanced, residents move to and choose another house in order to embody their housing needs. This adjustment behavior stems from their housing dissatisfaction through housing choice consequence. So the residential mobility and the housing choice procedures play a significant role on household´s welfare. Households experience a typical procedure on the residential mobility and the housing choice. This procedure consists of several steps. We need to analyze the whole procedure because it makes us to predict the orientations and the concerns of the residents´ housing needs through the procedure. There may be some differences of residential mobility and housing choice from each group which exist in urban area, therefore we need to apply some policies about housing choice according to those various groups or classes.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housing choice process and behavior of multi-family housing residents in Pusan. The survey for 667 residents of apartment in Pusan was performed. The result in this thesis is the following ; 1. The housing choice procedure consists of ① a step for recognition of residential situation and for embodying moving motives(Moving motives step), ② a step for searching housing information(Housing search step), ③ a step for establishing a standard criterior of evaluation the housing choice alternatives(Assessment of housing alternative step), ④ a step for housing choice(Housing choice step) and ⑤ a step for having the intention to move(Intention to move step). 2. There are some linkages with each steps. The higher the level of moving motives, the higher the level of housing search efforts. The higher the level of housing search efforts, the higher the level of housing alternative evaluating. The higher the level of housing alternative evaluating, the higher the level of housing satisfaction after they choose a house. The higher the level of housing satisfaction after they choose a house, the lower the level of intention to move. So the whole procedure of housing choice has a main streaming throughout the steps. 3. We clarify the housing strata among urban multi-family housing residents. The housing strata were made of 5 indexes-tenure type, number of room, floor size, price per pyung(坪), subjective quality of neighbor. And we classified 3 groups which are the highest group, the medium group and the lowest group. 4. We reveal that the housing choice behavior differs on each steps according to the housing strata, and grasp the typical and important tendency of residents in deciding a housing issue through analysis of the housing choice behavior according to housing strata. So housing supply and housing policy should be applied distinctively according to housing strata. 5. The lowest group of housing strata was motivated with job oppertunity and period of house lease, buying an own house. The medium group with shortage of space and improvement of house facilities. The highest group with improvment for quality of neighbor. 6. The higher the housing strata, the more the level of searching efforts and evaluating housing alternative. The lowest group of housing strata choose a house in terms of accessibility to job and children´s school, market and prefer to intimacy of neighbor. The highest goup choose a house in terms of natural conditions and quality of neighbor. 7. The higher the housing strata, the higher the level of housing satisfaction, and also the lower the level of intention to move. But long-term intention to move is affected by family´s housing aspirations, expectation for their future quality of life, and family´s long-term plan eventhough housing satisfaction level is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