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휴먼 동결 융해 배반포에서 Full Laser Assist Hatching 시술이 임신율에 미치는 영향

        박태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637

        시험관아기 시술 기법의 발전으로 임신율과 착상률이 크게 향상되고 있으며, 그러한 시술 기법 중의 한가지로 보조부화술이 있다. 시험관 아기 시술에 있어서 배반포의 이식은 일반적으로 5일 배양후의 배반포를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발달이 느린 경우에는 6일 배양후의 배반포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6일 배양후의 배반포는 5일 배양후의 배반포에 비해 임신율이 현저히 낮지만 보조부화술을 사용하여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체외수정된 우수한 등급의 배아를 이식한 후에도 임신에 실패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한 가지로 부화과정의 문제가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투명대 전체를 제거(FLAH: Full laser assisted hatching)하여 배반포의 부화에 대한 장애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임신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특히, FLAH를 시술하지 않는 5일 배양한 동결배반포(2176 cycles)와 6일 배양한 동결배반포(362 cycles) 그리고 FLAH 시술을 한 6일 배양한 동결배반포(79 cycles)에 대한 임신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각의 배반포를 이식한 환자들로부터 임신율을 조사한 결과, FLAH 시술을 하지 않는 5일 배양한 동결배반포(52.3 ± 2.3%)가 가장 높았으며, FLAH를 시술하지 않은 6일 배양한 동결배반포(20.0 ± 3.3%)에 비해 FLAH를 시술한 6일 배양한 동결배반포(31.6 ± 0.8%)의 임신율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 < 0.05). 특히, 임산부의 나이를 36세를 기준으로 임신율을 확인한 결과, 흥미롭게도 36세 이상의 임산부로부터 FLAH를 시술하여 6일 배양한 동결배반포는 비시술 배반포에 비하여 임신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FLAH 시술은 6일 배양한 동결배반포의 임신율을 비시술 동결배반포에 비하여 향상시키고, 특히, 고령의 환자나 반복적인 임신실패를 경험한 환자에게 조금 더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Despite of excellent blastocyst status, there are many reasons for pregnancy failure in human after transplanting. Lack of nutrients in uterus, in vitro culture environment, and abnormality in hatching process are some of the reasons. Recently,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of in vitro produced human embryos have improved thanks to various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Assisted hatching (AH) is known as one of ART techniques. According to a previous study, pregnancy rate of developed blastocysts until 6 days was improved by using supplementary AH. However, improvement of pregnancy rate by removing the whole zona pellucida in 6 days human blastocysts (slow development embryos) has not been reported. Therefore, in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of pregnancy rate by eliminating obstacles to blastocyst hatching, which is complete removal of zona pellucida by using full laser assisted hatching (FLAH) method. FLAH is one of the AH methods before transplanting human blastocysts. In case of blastocyst transfer, 5 days cultured embryos were generally used for pregnancy in vitro. However, if embryo development was slow, 6 days cultured blastocysts were used for transfer. The pregnancy rate of blastocysts cultured for 6 day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lastocysts cultured for 5 days. Here, I compared the pregnancy rates of FLAH applied patients (79 cycles) and non-FLAH patients (5 days frozen-thawed blastocysts = 2,176 cycles and 6 days frozen-thawed blastocysts = 362 cycles). According to the result, pregnant rate of FLAH applied patients on 6 days frozen-thawed blastocysts (31.6 ± 0.8%)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than that of non-FLAH patients on 6 days frozen-thawed blastocysts (20.0 ± 3.3%). Interstingly, pregnancy rate of 6 days frozen-thawed blastocysts was increased by using FLAH compared to non-FLAH in over 36 year olds wom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LAH applied 6 days blastocysts have improve the pregnancy rate than the non-FLAH 6 days blastocysts in human embryos in vitro. Moreover, improving pregnancy by using FLAH technic in developed 6 days human blastocysts can be helpful to older-aged patients or patients with repeated pregnancy fail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