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老人 特性을 考慮한 住居計劃에 관한 硏究 : 聯立住宅을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Housing Pl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d : Focused on the Row Hou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3548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本 硏究는 老人特性을 고려한 住居計劃에 관한 硏究로서 聯立住宅 居住老人들을 對象으로 1次 調査(1次 豫備調査), 2次 調査(2次 豫備調査)를 통하여 老人이 生活하는데 부적절한 住居環境 ...

      本 硏究는 老人特性을 고려한 住居計劃에 관한 硏究로서 聯立住宅 居住老人들을 對象으로 1次 調査(1次 豫備調査), 2次 調査(2次 豫備調査)를 통하여 老人이 生活하는데 부적절한 住居環境 要因을 把握하고, 그 把握된 要素들에 대한 槪念化된 對應方案을 예시안으로 綜合하여 老入을 위한 住居環境의 改選 方向을 提示하는데 目的이 있다.
      本 硏究는 총 Ⅴ장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각 장에서 硏究內容과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硏究의 背景, 目的, 및 範圍, 方法을 中心으로 全體的인 硏究의 方向을 技術하고 調査地域, 調査方法, 目的 등을 技術하였다.
      Ⅱ장에서는 理論的 考察로써 老人의 一般的 定義 및 特性과 老人의 問題 등을 技術하고, 老人住居의 國內外 現況, 聯立住宅의 特性 등을 技術하였다. 각 事項들을 定理하면 다음과 같다.
      (1) 老人의 定義 및 特性
      1) 老人의 定義: 老人의 一般的 定義, 社會, 文化, 經濟, 生理學的, 心理學的 定義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老人의 定義는 어느 基點을 基準으로 명확히 區分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각 개인마다 差異가 있으므로 本 硏究에서는 老人을 65歲 이상으로 定義하였다.
      2) 老人의 一般的特性: 老入에 있어 一般的으로 발생되는 特性을 身體的, 心理的 特性으로 살펴보았다. 각각의 特性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ⅰ. 身體的 特性: 身體크기의 變化, 감각기관의 쇠퇴, 회복능력의 저하, 운동기관의 저하 등이 발생된다.
      ⅱ. 心理的 特性: 자기 中心的, 강한 保守性, 猜忌와 嫉妬, ,適應力 低下, 習慣的神經質, 依存性, 柔軟性과 融通性 缺如로 固執이 세지는 特性이 있다.
      (2) 老人의 問題
      一般的으로 老人에게 나타나는 問題는 긴 餘暇時間, 役割의 喪失, 收入의 切感, 健康의 惡化 및 健康 保護, 扶養 및 保護, 社會的·心理的 孤立의 問題 등에 發生된다.
      (3) 國內外 現況
      1) 國內外 現況: 國內의 現況에서는 老人만을 위해 計劃된 것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2) 外國의 現況: 老人을 健康경도에 따라 住居施設을 3段階로 나누어 1段階는 完全自立 老人, 2段階는 반의존老人, 3段階는 完全依存 老人으로 區分하여 住居를 提供하고 있다. 1
      (4) 聯立住宅의 特性
      : 聯立住宅의 特性으로는 接地性, 獨立性, 融通性, 周邊環境과의 調和 등으로 要約될 수 있다.
      Ⅲ장에서는 1次 豫備調査와 1次 調査를 실시하였고, 2차 豫備調査와 2次 調査를 실시하였다.
      ·豫備調査는 先行硏究 및 文章 考察 檢討 후, 調査對象 및 地域을 選定하였다.
      1次 調査에 補完될 事項을 檢討하기 위해 說問紙 事前 檢査를 실시하였다.
      · 1次 調査: 調査對象 聯立住宅 住居老人의 一般的 特性, 內部空間 使用特性, 外部空間 使用特性, 選好度 등을 調査하였다.
      · 1次 調査結果를 간략하게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老人의 身體的 健康狀態는 대부분 慢性的인 疾病을 갖고 있었고, 不便部位를 살펴보면 神經系銃, 視力減退, 循環系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老人의 餘暇時間 活用에 있어 무료한 時間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로 가는 곳이 小規模 休息空間/놀이터, 집 앞의 階段과 屋外駐車場 근처, 老人停 순으로 나타났으며 周邊施設에 대해 不滿足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選好度에서 老人들이 選好하는 房의 갯수는 2개를 가장 選好하고 있었다. 이웃 構成은 같은 年輩의 年齡층으로 構成되는 것을 選好하고 있었다.
      ·2次 豫備調査는 老人의 特性이 고려된 老人轉用 施設(성지원, 유당마을, 경노수녀회)을 禪定하였다. 1次 諸査 聯立住宅 중 구로구 우신빌라, 강남구 역삼빌라, 관악구 칠성공원 빌라를 2次 調査對象 地域으로 選定하였다. 그리고 2次 調査에 필요한 자료를 축적하였다.
      ·2次 調査는 1次 調査에서 확인된 事項들의 檢證 및 具體的인 把握을 위하여 老人의 外部空間 使用行爲 및 周邊施設의 問題點과 內部空間 使用行爲特性 및 부적절한 室內 環境要素 把握을 위해 訪問 인터뷰, 觀察, 실별 家具配置 스케치撮影 등의 方法을 사용하였다.
      ·2次 調査結果를 外·內부空間으로 구분하여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外部空間: 老人을 위한 憩息施設이 不足하고 劣惡한 形便이였다. 老人들이 餘暇活用을 할 수 있는 空間이 부족하였다. 聯立住宅의 획일적인 배치로 眺望이 확보되지 않았다. 보차가 분리되어 있지 않아 老人들이 보행시 危險한 障碍要因으로 나타났다.
      內部空間: 창턱이 높아 老人들이 밖을 구경하기에 불편한 障碍要因으로 나타났다. 불분명한 단차이는 老人 이동시 危險要素로 나타났다. 化粧室 및 浴室에 老人의 特性이 고려된 施設 등이 없어 安全事故 발생 要因으로 나타났다. 老人의 生活 행위特性 중 각 실의 구분없이 室의 機能이 混用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Ⅵ장에서는 Ⅲ장에서 나타난 不便事項 및 問題點에 대한 對應的 方案을 摸索하기 위하여 內 · 外部空間으로 區分하고 각각의 要素들을 槪念化하여 이를 綜合하였다.
      1) 外部空間 構成要素
      · 眺望 : 단지내 眺望을 확보하기 위하여 체인형 연립 배치.
      · 休憩: 이웃과 대화증진 및 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出入口 周邊에 평상을 設置, 老人들이 모여서 대화를 나누거나 거리를 眺望할 수 있는 파골라 設置.
      · 餘暇活動 : 老人들이 남는 餘暇時間을 活用할 수 있도록 집 周邊에 텃밭 조성 및 作業場 配置
      · 安全性 : 老人의 步行 動作을 고려하여 단지내 步車 分離.
      2) 內部空間 構成要素
      · 安全性 및 便利性: 방에서 浴室 出入이 可能하도록 出入門 設置, 房의 턱을 낮추고, 이로 인한 失足을 豫防할 수 있도록 빙잎에 발코니 設置, 浴室에 沐浴 중 事故를 豫防하기 위하여 손잡이(레일) 設置 및 便器 周邊에 손잡이(레일) 設置, 앉아서 소작업이나 沐浴을 할 수 있도록 욕조 옆에 補助施設(의자) 設置, 浴室에 미끄럼 防止 또는 욕신을 신지 않고 出入이 가능하도록 바닥에 매트 設置, 단차로 인한 事故豫防을 위해 단차를 제거할 수 있는 곳은 제거하였다.
      玄關에 老人이 앉아서 신발을 신을 수 있도록 의자겸 신발장 設置, 玄關 壁에 손잡이(레일) 設置.
      ·프라이버시 및 開放感: 방의 프라이버시 및 開放感을 確保하기 위해 안쪽 창호를 반투명 유리로 하고 밖의 창호는 투명 유리로 設置
      끝으로 Ⅴ장은 本 논문의 결론으로서 각 장을 통한 분석내용을 정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 study on the housing pl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aged, aims to understand the unconfortible factors of living environment for the aged through preliminary, first, and second examinations about the aged people who live in ...

      This thesis, a study on the housing pl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aged, aims to understand the unconfortible factors of living environment for the aged through preliminary, first, and second examinations about the aged people who live in tenement house, to present some reforming measures as examples synthesized after the individualizing and conceptualizing work with the factors, and to draw out a basic material available to use when planning house considered the character of the aged.
      The thesis consists in five chapters, and the sumerized results of each chapter's content are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I described the direction of study focusing on its background, goal, scope and way, and presented the region, method and aim of the survey.
      In the second, as a theoretic consideration, I described the general definition and character of the aged and their problem; the realities in domestic and oversea of their living: and the peculiarities of tenement house.
      In the third, I performed two preliminary and main researches. With the first preliminary research, I practiced pre-speculation of the questionaire through prior research and sentence consideration for investigating the items made up for the first research.
      With the first research I investigated the general feature, housing life, social feature and preference of the aged who live in the tenement house.
      With the second preliminary research, I visited the facilities for the aged, measured it and investigated its components, and then accumulated the data required in the second research.
      With the second research, I visited again the facilities so as to understand it in detail and seized the acting features and problems when they utilize their internal or external space.
      To seek for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unconfortibles and problems showed in the third, in the fourth chapter I separated the space into internal and external one, conceptualized each feature, and put them together.
      1) The component of external space
      * Resting area: Establish outdoor floor near the gate in order to make conversation with neighbor or simple work. Establish a pagola in which the aged could make chat together or from which they could overview street.
      * Leasure area : Set up vegetible garden or working area around the house in order that the aged could use their spare time.
      * Securing the overview : Lay out the tenement houses as chain style so as to secure the overview within the complex
      * Securing the safety : Distint footway and caniageway within the complex considering the walking action of the aged.
      2) The component of internal space
      * Safety and convenience : Establish a door through which they could go to bathroom from room, a threshold lowered and a terras which may prevent from falling down, a rail for preventing from an accident happened in bathing, or relieving themselves, a chair near bathtub which may allow them to do something or bath, and a mat on the floor which may prevent from sliding or allow them to enter without wearing bathshoes. To prevent from the accident by stair difference, minimize its height. Establish a combined chair and shoecase and a rail on the wall in order to let the aged wear their shoes sitting in the lobby.
      * Privacy and openness : To make secure privacy and openness of room, set up an opaque glass in the inner side and a transparent glass in the outer side.
      Lastly, I rearranged the analysed contents studied above in the fifth chapter a conclusion of the the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國文要約 = ⅰ
      • 감사의 글 = ⅴ
      • 목차 = ⅵ
      • 表目次 = ⅷ
      • 그림目次 = ⅸ
      • 國文要約 = ⅰ
      • 감사의 글 = ⅴ
      • 목차 = ⅵ
      • 表目次 = ⅷ
      • 그림目次 = ⅸ
      • 寫眞目次 = ⅹⅰ
      • Ⅰ. 序論 = 1
      • Ⅰ-1. 硏究의 背景 및 目的 = 1
      • Ⅰ-2. 硏究의 範圍 및 方法 = 2
      • Ⅱ. 老人 및 聯立住宅에 관한 一般的 考察 = 6
      • Ⅱ-1. 老人의 定義 및 特性 = 6
      • Ⅱ-1-1. 老人의 定義 = 6
      • Ⅱ-1-2. 老入의 一般的 特性 = 9
      • Ⅱ-2. 老人住居의 國內外 事例 = 14
      • Ⅱ-2-1. 國內의 現況 = 14
      • Ⅱ-3-2. 外國의 現況 = 16
      • Ⅱ-4. 聯立住宅에 관한 考察 = 21
      • Ⅱ-4-1. 聯立住宅의 槪念 = 21
      • Ⅱ-4-2. 聯立住宅의 特性 = 22
      • Ⅱ-4-3. 聯立住宅의 類型 = 26
      • Ⅲ. 實態調査 = 30
      • Ⅲ-1. 調査의 槪要 = 30
      • Ⅲ-1-1. 1次 調査 = 30
      • Ⅲ-1-2. 2次調査 槪要 = 36
      • Ⅲ-2. 1次 實態調査 = 39
      • Ⅲ-2-1. 調査對象 老人의 一般的 特性 = 39
      • Ⅲ-2-2. 內部空間 生活 特性 = 43
      • Ⅲ-2-3. 外部空間 利用特性 = 46
      • Ⅲ-2-4. 調査對象老人의 選好度 = 48
      • Ⅲ-2-5. 1次調査內容 整理 = 49
      • Ⅲ-2-6. 小結 = 51
      • Ⅲ-3-1. 外部空間 사용 實態 및 問題點 = 51
      • Ⅲ-3-2. 內部空間 使用實態 및 問題點 = 56
      • Ⅲ-4. 종합 = 69
      • Ⅳ. 基本 計劃 = 71
      • Ⅳ-1. 外部 空間構成 要素 = 71
      • Ⅳ-1-1. 각 要素別 對應 = 71
      • Ⅳ-1-2. 綜合 構成圖 = 75
      • Ⅳ-2. 內部空間 = 77
      • Ⅳ-2-1. 각 要素별 對應 = 77
      • Ⅳ-2-2. 內部空間 綜合 예시안 = 84
      • Ⅴ. 결론 = 96
      • 참고문헌 = 100
      • 附錄 = 102
      • ABSTRACT =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