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938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자비가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도권 소재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자비가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도권 소재 4년제 및 2년제 대학의 학생 19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는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Korean version of Percieved Stress Scale, K-PSS),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K-SCS), 삶의 만족도 척도(Korean version of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K-SWLS), 한국 정서경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고,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스트레스, 자기자비, 주관적 안녕감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와 자기자비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 또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자비와 주관적 안녕감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미한 관계가 있으며,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스트레스가 자기자비 수준을 낮추고 그로인해 간접적으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과도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대학생들을 상담할 때 스트레스 관리와 더불어 자기자비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self-compa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to see if self-compassion would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It has analyzed the information 191 i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self-compa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to see if self-compassion would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It has analyzed the information 191 interviewees who were 4-year and 2-year college stu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The measurement methods were Korean version of perceived stress scale (K-PSS),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K-SCS), Korean version of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K-SWLS), and Korean version of emotional experience scale. The gathered information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0 and the mediated effect was exam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stress, self-compa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correlation of stress and self-compassion was negative and the correlation of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also negative. However, the correlation of self-compa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positive.
      As a result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self-compassion partly showed a mediating effect with respect to the correlation of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By conducting this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tress, self-compa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also that self-compassion functioned as a mediating variable with respect to the correlation of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This means that the str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directly influences their subjective wellbeing and at the same time that the stress indirectly influences subjective wellbeing by lowering the level of self-compassion. Therefore, it indicates that mediation for managing stress and enhancing the level of self-compassion is needed in counselling undergraduate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9
      • Ⅱ. 이론적 배경 10
      • 1. 주관적 안녕감 10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9
      • Ⅱ. 이론적 배경 10
      • 1. 주관적 안녕감 10
      • 2. 스트레스 22
      • 3. 자기자비 29
      • 4. 스트레스, 자기자비,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34
      • Ⅲ. 연구 방법 38
      • 1. 연구대상 및 절차 38
      • 2. 측정도구 38
      • 3. 자료의 처리 및 분석방법 41
      • Ⅳ. 연구결과 43
      •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43
      • 2.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 44
      • 3. 스트레스. 자기자비,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45
      • 4.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46
      • Ⅴ. 논의 49
      • 1. 논의 및 결론 49
      • 2. 의의 및 제언 52
      • 참고문헌 54
      • 부록 65
      • ABSTRACT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